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의 아들

(3)
신이여, 언제나 깨어 있도록 보살피소서 : 『사람의 아들』 - 주책(이주의 책) 『사람의 아들』 - 주책(이週의 冊) 1979년 오늘의 작가상 3회 수상작. 1979년 발표 당시에는 중편소설이었으나 1987년 장편으로 개작하였으며, 이후 1993년과 2004년(은경축(銀慶祝)판) 그리고 2020년 작품을 개정했다. 사람의 아들에 관한 많은 자료가 있다. 그중 작가 서문의 변해가는 모습으로 이자에서 사람의 이들로 변해 간 모습을 살펴보자. 수상 소감, 심사평, 수상이유서, 초판 부터 개정 5판 까지의 서문을 시대 순으로 나열하였다. 이문열 소설가는… △1948년 종로 출생, 본명 이열(李烈) △1965년 안동고 중퇴 △1970년 서울대 국어교육과 중퇴 △1977년 대구매일신문 신춘문예 입선('나자레를 아십니까')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새하곡') △1979년 오늘의 작가..
사랑과 배리(背理) - 기독교적 비극성(基督教的 悲劇性) : 이문열 《사람의 아들》 이문열 《사람의 아들》 초판본에 실린 곽광수의 해설이다. 40년 이란 시간이 거슬러 보면 지금의 문체와 많은 차이가 난다. 중편소설에 해설을 덧붙여 출간했다. 소설보다 해설이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지금은 개작하여 장편이지만 이 해설은 중편에 대한 해설이다. 이문열이 장편으로 개작한 이유이기도 한 점을 말히도 한다. 해설의 제목이기도 한 '背理'를 알아야 이 글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배리(背理) 도리에 어긋나는 일. 사리에 어긋남. 부주의에서 생기는 추리의 착오. 반리(反理). 역리(逆理). 《사람의 아들》 - 주책(이週의 冊) 사람의 아들 - 주책(이週의 冊) 《사람의 아들》 - 주책(이週의 冊) 1979년 오늘의 작가상 3회 수상작. 1979년 발표 당시에는 중편소설이었으나 1987년..
전지자가 되고 싶은 충동은 가지고 있다 - 왜 지나가는 아가씨의 엉덩이를 걷어찼느냔 말야, 왜? 갑작스런 김형사의 신경질적인 고함소리에 남경사가 퍼뜩 정신을 차렸다. 그의 맞은편에 앉은 김형사는 조금전부터 폭력사건의 진술조서를 받고 있었다. - 저놈의 가죽장화때문에... 김형사의 고함소리쯤 안중에도 없다는 식으로 심드렁히 대담하는 피의자는 머리를 박박깍은 스물 대여섯의 청년이었다. - 뭐 가죽장화가 어쨌다구? 김형사는 아직도 울고 있는 피해자의 미끈한 다리에 신겨 있는 가죽장화를 흘깃보며 어이없다는 듯 물었다. 거리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평범한 가죽장화였다. - 그게 너무 길어서 ... 여전히 심드렁한 청년의 대꾸. - 야, 너 술 취했어? 다시 신경질적인 김형사의 고함소리가 형사실을 울렸다. - 천만에요. - 그럼 이거 순 미친놈 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