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외래어

(2)
역사적 우연 아이와 역사 이야기를 하다가 발견한 우연. 우연 偶然 아무런 인과 관계가 없이 뜻하지 아니하게 일어난 일. 어떤 사상(事象)이 인과 계열에 포함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것. 1392년 : 조선 건국 또는 고려 멸망 1492년 : 콜롬부스가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견의 여지는 있지만) 1592년 : 임진왜란우연은 없다. 단지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가 우연이라는 데두리에 가둔다.세기마다 92년에 일어난 일은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 몇 십년전이 지나도 기억하고 있는 역사적 사실의 연도, 교육의 힘은 위대하다. 연도를 기억하면 역사적 사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기 좋다. 즉 얼개를 잘 엮을 수 있다.덧_ 콜롬부스라고 써야할지 컬럼부스라고 써야 할지 혼란스럽다. 콜롬부스로 통용되고 있지만 구글을 검색하면 콜롬부스는..
미국은 왜 미국이고 불란서는 왜 프랑스인가 우리가 한자문화권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지금까지 북경을 북경이라 했지 베이찡이라 말하지 않았다. 지명도 그러하지만 인명에 대해서는 더 혼란스럽다. 노신을 루쉰이라 부르라 하며 모택동을 마오쩌뚱이라 부른다. 이 이름은 우리도 알기 어렵고 중국인도 알아듣지 못한다. 허울 좋은 한글 표기법이다. 더 우스운 것은 국가명이다. 미국은 미국, 미합중국 등으로 불린다. 일본은 일본, 중국은 중국 하지만 프랑스는 프랑스라 부르고 표기한다. 프랑스라 말하면 프랑스인들이 알아듣는 지는 알 수 없다. 표기법에 일관성이 없다. 표기는 소통을 위한 것이지 발음기호를 표기하는 것이 아니다. 이뿐만 아니라 그 나라의 발음을 표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권의 발음을 표준으로 삼은 예도 많다. 터키는 그렇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