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行間/향기로운 시와 소설

(88)
김수영의 詩는 읽지 못하고 詩 김수영만 읽다 가을이라는 이유로 을 빼들었다. 예전에는 김수영이 난해하다고는 생각했지만 어렵다고는 느끼지 못했다. 몇 년만에 꺼내 본 김수영은 어려웠다. 그의 시가 바뀐 것도 아닌데 어려워졌다. 이유는 아직도 모른다. 또 몇 년 후에는 어떻게 다가올지 궁금하다. 김수영전집을 옆에 두고 를 꺼내들었다. 김수영의 詩를 보고자 한 것이 아니라 김현의 해설이 보고 싶었다. 김수영의 詩 보다는 김현이라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었다. 김수영의 시적 주제는 자유이다. 그는 자유를 시적 시적, 정치적 이상으로 생각하고, 그것의 실현을 불가능케하는 여건들에 대해 노래한다. 그의 시가 노래한다라고 쓰는 것은 옳지않다. 그는 절규한다. 결국 김수영을 들추다가 옆에 있는 김준태를 꺼내들었다. 이다. 거기서 생각치도 않았던 김수영을 만났다. ..
익명의 섬은 필요할지도 모를 일이었다 뉴요커에 이문열 소설 이 실린다는 기사를 보았다. 신경숙의 미국 진출이 성공적이라는 기사를 오래전에 보았다. 이번 기사는 독자의 한 사람으로 기쁘다. 이문열이 보수주의 처지를 대변하고 페미니스트를 싸잡아 비판하는 등 한동안 논란의 한 가운데 있었다. 그 이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언론 보도는 전달의 의미가 강하다. 물론 단편소설이 번역되어 실리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겠느냐마는 만일 민족시인이라 불리는 이의 시 몇 편이 번역되어 실렸다면 이런 반응일까? 또 부질없는 상상을 한다.내용은 잘 알려졌다. 비교적 짧은 단편이다. 병신이라 불리는 깨철이는 그 마을을 유지하는 익명의 섬이다. 성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누구에게나 익명의 어떤 것이 필요하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이다. "그때, 착각이었을까, 나는..
이들과 공감하기에는 난 너무 많이 떨어져 있다 : 클릭 미 (고예나)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을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것은 2000년 이만교의 이다. 먼저 기억에 남는 것은 이문열의 이다. 고예나가 2008년에 작가상을 받았으니 한 세대 이후의 작가의 책을 읽었다. 세월이 많이 지나갔음을 새삼 느끼게 한 책이다. 고예나는 84년생이다. 20대 후반의 젊은 작가의 책을 내가 이해하기가 힘들정도가 되었다니 서글프다. 섹스를 이야기해도 서글프다. 아마도 최인호나 박범신의 신간을 읽어야 공감이 가려나. 그래도 김영하의 책은 공감이 많이 가고 신선함을 느꼈다. 고예나의 이 책은 공감대가 전혀없다. 주인공과 몇 명의 여자 친구들의 일상을 말한다. 일상이라는 것이 찌든 삶과 섹스다. 섹스를 나쁘다고 말하고 싶지않다. 당연하다. 예전에도 섹스는 존재했고 앞으로도 존재할 것이다. 채팅과 인스턴..
남의 속도 모르면서, 우주를 말할 것인가? 남의 속도 모르면서, 섹스를 논할 것인가? 한기호의 글을 구독하고 있다. 그의 책도 보았다. 그와 나와의 관계는 이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나는 그의 글에서 通함을 전달된다. 진정성을 느끼는 몇 안되는 글쟁이다. 라는 단편집에 관한 율려국의 섹스문학상이라는 포스트이다. 도발적인 제목이라 읽어나갔다. 율려와 섹스라 멋진 궁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율려라고 하니 김지하가 떠오른다. 율려와 섹스가 잘 어울리는 이유는 김지하의 말을 들어보면 알 수 있다. 김지하의 한 마디 율려는 치유다. 우선 병든 인간, 그를 둘러싼 사회적 예절, 그 다음에 정치, 경제적 구조, 지구생태계, 우리를 둘러싼 태양계와 은하계의 여러 이변들의 전체적 변화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이치의 구조에 합당하게 삶을 치료, 개혁할 수 있는 기본 출발점을 인간 내면에 있는 춤성과 음악성으로부..
혹성탈출의 원작은 소설 혹성탈출이다 : 책 권하는 心香 올 여름 개봉하는 혹성탈출의 원작을 찰톤 헤스톤 주연의 영화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혹성 탈출'은 원래 프랑스 소설가 피에르 불의 소설이다. 전 세계에서는 이미 수백만 권이 팔린 베스트셀러이나, 한국에서는 이제야 책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1963년 프랑스에서 초판이 출간된 지 48년 만이다. 인간이 지구의 주인이 된 것은 얼마되지 않은 일이다. 그전에는 공룡이 한동안 주인이었다. 그렇다면 다음의 주인은 누구일까? 아무도 알 수 없다. 핵전쟁이 일어나도 살아남는 종은 바퀴벌레라고 하였는데 미래의 주인은 바퀴벌레일지도 모른다. 혹 영화처럼 우리안에 가두고 바나나를 던져주는 원숭이가 인간 다음으로 지구의 주인이 될지도 모른다. 오만한 인간에 대한 경고이다. + 서기 2500년, 앙텔 교수..
백년의 시간 : 책 권하는 心香 철학과 소설의 만남, 이 책에 대한 (책을 읽기전) 나의 생각이다. 프란시스 코폴라의 영화 의 원작이다. 영화를 볼때 의구심을 가진 부분들이 보인다. 소설의 자신의 삶의 투영이라 말했다. 루마니아, 인도 그리고 장자가 나오는 이유를 알게되었다. 미르치아 엘리아데 1907년 3월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부터 종교 철학과 종교사 등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배웠다. 이후 이탈리아를 방문했을 때 투치 도서관에서 인도철학자 다스굽타의 『인도 철학사』에 큰 감명을 받게 된 엘리아데는 1928년부터 그 문하에서 3년간 인도철학을 연구하여, 『요가: 불멸성과 자유』 등을 펴냈다. 1933년부터 1940년까지 부쿠레슈티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영국과 포르투갈에서 루마니아 대사관..
가상현실 - 김영무 암은 언제나 진단이 아니라 선고다 모든 것이 선고일 경우가 많다. 내 의지보다는 누군가가 나에게 선고를 한다. 가상현실 - 김영무 암선고를 받은 순간부터 (암은 언제나 진단이 아니라 선고다) 너의 세상은 환해진다 컴퓨터 화면 위를 떠도는 창문처럼 기억들이 날아다닌다 원시의 잠재의식도 살아나서 뚜벅뚜벅 걸어오고, 저 우주에 있는 너의 미래의 별똥들이 쏟아진다 어둠은 추방되고, 명암도 무늬도 사라진, 두께도 깊이도 무게도 지워진, 노숙과 밥굶기와 편안한 잠과 따뜻한 한끼의 경계가 무너지고, 모든 칸막이가 허물어진 환하디 환한 나라 시간의 뿌리와 공간의 돌쩌귀가 뽑혀나간 너의 현실은 안과 밖 따로 없이 무한복제로 자가증식하는 아, 디지털 테크놀로지 최첨단 암세포들의 세상 지독한 오염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
더 리더 : 그 이면을 다시 읽다 장정일의 책을 읽으며 다시금 를 다시 생각하다. 소설을 가지고 현실에 빗대어 말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장정일이 외설의 절대적인 피해자임을 그는 말하지 않지만 근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왜 나만 외설이냐'고 말하는 듯하다. 외설의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독자만 판단할 뿐이다. 장정일의 글을 읽고 다시 생각해 본 몇 가지. 물론 몇 가지는 처음부터 의구심을 가진 내용이지만 이번에 다시금 생각해본다. 왜 여주인공 한나 슈미츠는 문맹인가? 왜 연상(여자)연하(소년) 커플인가? 왜 섹스를 하였는가? 왜 고전을 읽어주었는가? 왜 자살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는가? 는 작년에 읽었다. 내가 읽은 것은 글자를 읽은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닌지 그 내용의 근간이 무엇인지 고민한 흔적이 없다. 소설을 고민하면서 읽어야 하..
또 하나의 낭만이 사라짐을 애도하며 : 박완서 선생의 영면을 추모하며 박완서 선생이 어제(22일) 돌아가셨습니다. 평소 돌아가셨다는 말을 참 좋은 표현이라 생각했습니다. 소풍을 마치고 돌아가셨으니 편히 쉬시길 빕니다. 1978년 11월 두번째 소설집 의 서문에서 선생이 한 말입니다. 서문과는 다르게 평생 업으로 문학을 해오셨다. .... 하다못해 죽는 날까지 나의 업業으로 삼을 자신마저도 종종 흔들린다. 나의 문학이 나를 떠나 무엇이 되어 이웃과 만나질 것인지 나는 점점 더 모르겠다. ..... 선생의 단편은 대부분 좋아합니다. 특히 초기의 단편의 셈세함은 특히 더 좋아합니다. 이 단편의 마지막에 꽁트가 하나 나옵니다. 입니다. 몇 번 인용하였습니다. "나는 낭만을 꿈꾸었나 봐."라는 푸념이 남의 말처럼 들리지 않습니다. 지금도 유효하다고 느껴지니 말입니다. 선생의 돌아가..
결코 죽음으로 쫓겨간 것은 아니다 - 다시 1970년 11월 13일 1970년 11월 13일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이 근로기준법을 외치며 몸을 던졌다. 1970년 11월 13일 ..... 사랑하는 아들을 잃은 어머니의 절규가 있었다. 2010년 11월 13일 ..... 40년전 몸을 던진 청계천은 많이 변했습니다. 하지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은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은 결코 죽음으로 쫓겨간 것은 아닙니다. 전태일君 _이성부 불에 몸을 맡겨 지금 시커렇게 누워버린 청년은 결코 죽음으로 쫓겨간 것은 아니다. 잿더미 위에 그는 하나로 죽어 있었지만 어두움의 入口에, 깊고 깊은 파멸의 처음 쪽에, 그는 짐승처럼 그슬려 누워 있었지만 그의 입은 뭉개져서 말할 수 없었지만 그는 끝끝내 타버린 눈으로 볼 수도 없었지만 그때 다른 곳에서는 단 한 사람의 自由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