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쓰지 않은 부고 - 서울신문 탐사보도
우리가 잠든 사이, 야간노동자들이 스러집니다… 올 상반기에만 148명
통계 숫자에 가려진 그들의 죽음과 고달픈 밤의 여정을 전합니다
2020-11-11
50주기 앞둔 전태일 열사 묘역
전태일 50주기를 앞둔 11일 경기도 남양주시 모란공원 전태일 열사 묘역에서 추모화가 가지런히 놓여 있다.
서울신문은 산재 야간노동자 148명(사고, 과로, 질병 등)의 사망 경위 등에 대한 정보를 모아 부고 기사로 이들의 죽음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위험성 등을 전한다. 기사에 담지 못한 야간노동자들의 부고는 서울신문 인터랙티브 사이트에서 더 살펴볼 수 있다.
올 상반기에만 최소 148명의 야간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스러졌습니다
지난달 12일 숨진 30대 택배노동자가 사망 나흘 전 오전 4시 28분 동료에게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에는 “저 너무 힘들어요”라는 절박한 호소가 담겨 있었습니다. 그는 사망 전날 밤에도 400개가
maggot.prhouse.net
새벽까지 재봉틀을 돌렸던 전태일, 2018년 12월 11일 충남 태안화력발전소 하청업체 노동자로 일하다 목숨을 잃은 김용균 씨(당시 24세)는 모두 야간노동자였다. 오는 13일은 평화시장 노동자 전태일이 스스로의 몸에 불을 붙여 참혹한 노동현실을 세상에 알린 지 꼭 50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의 노동 환경은 50년 전보다 얼마나 좋아졌을까.
서울신문은 강은미 정의당 의원실을 통해 근로복지공단과 산업안전보건공단의 2020년 1~6월 산업재해로 판정된 사망자 1101명에 대한 질병판정서와 재해조사의견서를 데이터로 변환시켜 148명의 야간노동자 사망 경위를 분석했다. 서울신문은 근로기준법 제56조에 규정된 야간노동 기준(오후 10시~다음날 오전 6시 근로)을 적용했다.
국내 야간노동자 규모는 정부가 2013년 실시한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기준 127만명이 마지막으로 집계된 수치다. 전체 노동자의 10.2% 이지만 현재 규모가 더 클 것으로 추산된다. 올 상반기 산재 사망자 1101명 중 야간노동자(148명) 비율은 이보다 높은 13.4%다.
아무도 쓰지 않은 부고
우리가 잠든 사이, 야간노동자들이 스러집니다… 올 상반기에만 148명 통계 숫자에 가려진 그들의 죽음과 고달픈 밤의 여정을 전합니다, 서울신문은 산재 야간노동자 148명(사고, 과로, 질병 등)
ww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