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의 언어로 남은 시인, 김지하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

살림의 언어로 남은 시인, 김지하
—별세 3년, 오늘 그를 다시 기억하며
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난 지 어느덧 3년이 흘렀다.
2022년 5월 8일, 강원도 원주의 집에서 향년 81세로 생을 마감한 그는
지금도 여전히, 이 땅의 언어와 양심 속에서 살아 있다.
그는 시인이었고, 사상가였으며, 시대의 양심이었다.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뒤
1970년대 초 시 「오적」으로 세상의 위선을 벼렸다.
권력과 재벌, 언론, 종교를 신랄하게 풍자한 그 시 한 편으로 그는 감옥에 갇혔다.
하지만 철창 속에서도 그는 언어의 무기를 놓지 않았다.
그가 남긴 「타는 목마름으로」는 자유를 향한 갈망의 상징이 되었고,
억눌린 시대의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기도로 남았다.
1980년대 이후, 그는 저항의 언어에서 생명의 언어로 방향을 틀었다.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
그는 인간의 문제를 넘어서 생명의 문제를 물었고,
시를 통해 파괴의 시대를 넘어서는 길을 모색했다.
그 변화는 논쟁을 불러왔지만, 김지하는 늘 그랬듯
자신의 신념이 이끄는 쪽으로 걸었다.
그가 떠난 지 3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여전히 그의 물음 앞에 서 있다.
과연 우리는 ‘살림의 문명’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그가 경고했던 ‘죽임의 체제’는 정말 끝났는가.
전쟁과 폭력, 경쟁과 소외가 일상이 된 오늘의 세계에서
그의 언어는 다시 살아난다.
김지하의 시는 분노와 연민, 절망과 희망이 한몸처럼 얽혀 있다.
그의 언어는 시대의 상처를 파헤쳤고, 동시에 그 상처를 꿰매려 했다.
그는 싸우면서도, 끝내 살리고자 했던 시인이었다.
이제 그의 육성은 들리지 않지만,
그의 언어는 여전히 살아 움직인다.
‘타는 목마름’은 여전히 우리 가슴 한켠에서 타오르고,
그의 ‘살림의 말’은 오늘의 파괴된 세계 속에서
조용히 다시 빛을 찾고 있다.
김지하,
그는 시로 싸우고, 시로 화해했으며, 시로 돌아간 사람이다.
그의 부재는 크지만,
그의 언어는 여전히 생명을 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