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은

(10)
편견은 애초부터 비이성적이다 꽃밭을 지나며 이렇게 많은 꽃들이 그들 몰래 피어 있다니! _송기원 다시 꽃밭을 지나며 저렇게 많은 꽃들이 그들에게 들켜 시들어 버리다니! _송기원 그 꽃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_고은 인간은 같은 사물을 보고 각기 다르게 느낀다. 같은 ‘꽃’이란 사물을 보고 다르게 표현한 글이다. 많은 이가 송기원의 그것보다 고은의 것이 좋다고 말할는지 모르지만 고은보다도 송기원이 더 절절하다. 아직도 송기원이 바라본 ‘꽃’이 많은 세상이다. 고은이 차라리 그 ‘꽃’을 보지 않았으면. ‘꽃’을 보고 생각한 게 아니라 송기원과 고은을 보고 ‘꽃’을 바라보며 생각했다.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글보다도 다른 편견으로 보고 있다. 편견은 “생활환경 속에서 사회적으로 학습되어 간다. 타당한 증거나 직접적인..
아직도 고은인가? 고은 시집 2권 3개국어로 번역 · 출간한다는 한겨레 기사를 보았다. 왜 고은이지, 아직도 고은 타령을 하는 이유가 무얼까? 아무리 곰곰히 생각해도 모르겠다. 아직도 노벨문학상에 미련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고은이 미련이 있는 것인지, 그를 내세운 출판 권력이 노벨문학상을 필요로 하는 것인지. 올해 중국인이 받았으니 지역 안배라는 허울좋은 말도 안되는데 아직도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가. 친구에서 장동건이 한 말이 떠오른다. 고마해라, 마이 묵었다 아이가. 번역한 시는 고사하고 한국어 고은의 시를 읽은 이가 얼마나 될까. 고은의 시가 이 땅에 살고 있는 민초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사골도 계속해서 고아먹을 수 없다. 새 뼈를 넣고 끓여야 국물이 진해진다. 신선한 사골 국물을 먹고 싶다. 아직도 사라지지 않..
세노야로 바라본 우리말 속 일본말 세노야 세노야 / 산과 바다에 우리가 살고 / 산과 바다에 우리가 가네 세노야 세노야 / 기쁜 일이면 저 산에 주고 / 슬픈 일이면 님에게 주네 세노야 세노야 / 산과 바다에 우리가 살고 / 산과 바다에 우리가 받네 세노야 세노야 / 기쁜 일이면 바다에 주고 / 슬픈 일이면 님에게 주네 는 양희은의 노래로 잘 알려진 노래다. 구슬픈 멜로디에 아름다운 시가 어우러져 많은 이의 사랑을 받고 있다. 며칠 전 한겨레신문에 '세노야'가 우리말이 아닌 일본어라는 내용의 칼럼이 실렸다. "'세노야'는 일본 어부들이 배에서 (주로 멸치잡이) 그물을 당기면서 부르던 뱃노래 후렴이다. 남해 지역에서 취재한 여러 자료를 분석하면 동쪽으로 갈수록 일본말이 많아진다. '세노야'는 우리말이 아닌 것이 확실해 보인다."라고 말한다..
노벨문학상, 호들갑 떨지 말자 당연(?)하게도 201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고은이 아니다. 고은이 되면 더 이상하다. 한국인이라서 한국인이 노벨문학상을 받는 것을 기뻐해야 하는가?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스웨덴의 시인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가 누구인지 모른다. 그의 시집으로는 2004년 간행된 (들녘)이 있다. 지금은 절판이다. 올해도 여지없이 언론들은 고은이 노벨문학상을 타는 것을 당연시하고 있다. 몇 년째 계속하고 있으니 자기세뇌가 되어 선정이 안 되면 이런저런 이유를 대기 시작한다. 번역이 중요하며 개개인이 할 수 없는 일이니 사회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늘 반복되는 레퍼토리의 하나이다. 한국 문학, 노벨상서 또 고배라니 무슨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고 '또'라는 표현이 몹시 거슬린다. 노벨상은 교황선출방식이기에 후보가..
찌라시를 통해 고은을 다시 바라보다 아침 뉴스에서 고은이 노벨상문학상의 유력한 후보라고 호들갑을 떠는 언론을 보았습니다. 또 때가 되었나보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나이가 먹어도 명예욕은 사라지지않고 더욱 더 커지나 봅니다. 거기에 찌라시같은 언론이 합세를 하는 형국이더군요. 고은 시인의 시를 읽어 본 국민들이 얼마나 될까요? 만인보를 25년간 연작으로 간행해 왔지만 그 시집을 얼마나 많은 국민들이 보았을지는 의문입니다. 저도 1권과 2권이 있습니다. 저가 워낙 시詩를 읽지않아서 그렇겠지요. 초기(민중시를 쓰던 시기)의 시를 알뿐입니다. 한데 왜 고은이 국민 시인이 되었는지 의문입니다. 블로그에도 안타깝다는 글을 많이 보았습니다. '그들만의 리그'라고 말하면서 노벨상에 목을 메는 이유가 있으런지도 의문입니다. 고은이 받았다면 좋은 노벨상이고 ..
잡소리 법정스님의 유언을 보다보니 불현듯 이문열의 의 고죽이 생각났다. 지금은 기억이 아련하지만 당시에는 꼭 그러해야 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많이 들었다. 아마도 치기어린 고등학교 시절에 그 작품을 처음 대하여서 일지도 모른다. 아마도 내가 이문열의 단편들은 대부분 고등학교 시절 읽은 것으로 기억된다. 물론 대학시절 나온 작품들도 많지만 나는 그의 중단편을 좋아하기에 대부분 그시절에 읽은 기억뿐이다. 온라인서점에서 이문열의 책을 찾아보니 대부분이 절판이다. 독자가 찾지않으니 절판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최소한 독자들에게 읽은 기회를 남겨두는 것이 출판사와 저자들의 최소한 배려라고 생각한다. 이러저러한 이유에서 절판되었겠지만 아쉽고 어이(? 아마도 이 어이라는 말이 맘에 들지 않았나 보다)없는 일이라 말하..
2008. 08. 09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0_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 Beatles 01_ 물결이 다하는 곳까지가 바다이다 / 대기 속에서 // 그 사람의 숨결이 닿는 데까지가 / 그 사람이다 // 아니 그 사람이 그리워하는 사람까지가 / 그 사람이다 - 고은 내가 누구를 그리워 할 자격이 있는가. 02_ 뉴스 기사에서도 자주 틀리는 맞춤법들을 보고 늘 알고 있는 말이 자주 틀릴 수 있다는 점을 알았다. 더불어 잘못 알고 있는 한자성어들이 많이 있음을 새겨야겠다. 03_ 앙깡님의 책 이벤트에 응모를 하였는데 선정이 되질 않았다. 한데 댓글을 남겨 이번에 안되었으니 2~5차까지 응모를 하라는 요지였다. 새로운 느낌이었다. 비교가 될지 모르지만 국회의원 선거후 낙선인사와 유사함을 느꼈다. 기분이 좋았다. 이번 2..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 2008. 01. 18 00_ Just For Love - Quicksilver Messenger Service (Part 1) (Part 2) 오랫만에 듣는 노래다. ㅅ님께 들려드리고 싶다. 매일 한 곡씩. 01_ 詩歷50년 맞은 고은 시인에게 듣는다 50년은 결코 쉽지 않은 세월이다. 그의 굴곡 많은 生이 이제는 안타까워 보인다. "해마다 노벨 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지 수년. 시인은 외신에 이름이 나오고 국내에서 관심을 주면 어깨에 가당찮은 짐을 진 것 같다고 한다."는 가식적인 말투도 싫다. 사로잡힌 악령이 아닐지라도 그의 과거 행적은 묘연하다. 고은의 만해론을 비판한다를 보면 오만함의 극치임을 알 수 있다. 아 이리도 사람이 없단 말인가? 02_ 절대 변하지 않는 13가지 성공 법칙 왜 어떤 사람(어떤 회사)은 남들보다..
사로잡힌 악령 요즈음 신문을 보고있으면 왜 10년도 넘은 소설이 떠오르는지 모르겠다. 초판이후에 사라진 단편소설. 하지만 힘이 없는 악은 의미가 없다. 악이 악다워지려면 힘이 있어야 한다. 완숙한 악은 자신에 의해서가 아니면 파괴되지도 절멸되지도 않는다. 이 말이 머리를 맴돈다. 누구를 떠 올리는 것은 무리한 억측이라고 할 수 있겠다. 누구나 생각은 다르다. 그렇지만.... 세상의 모든 사물과 마찬가지로 악도 태어나고 자라고 성숙하고 늘고 죽는다. 악의 태어남은 여러 외형을 가지지만 거짓과 뻔뻔스러움과 천박한 허영은 그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힘이 없는 악은 의미가 없다. 악이 악다워지려면 힘이 있어야 한다. 그것은 권력이든 물리적인 폭력이든 재력이든, 지식이나 기술 혹은 특수한 재능이든 상대를 강제하거나 마비시킬..
그리움 물결이 다하는 곳까지가 바다이다 대기 속에서 그 사람의 숨결이 닿는 데까지가 그 사람이다 아니 그 사람이 그리워하는 사람까지가 그 사람이다 오 그리운 푸른 하늘 속의 두 사람이여 민주주의의 처음이여 그리움 - 고은 마지막 귀절을 추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