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짜장면

(4)
이제 짜장면이라 불러도 된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국민 모두가 홍길동으로 만든 짜장면, 이제는 짜장면이라 불러도 된다. 25년만이다. (조선일보 이젠 짜장면이라 불러도 좋다… 25년 만에 표준어 복권 참조) 짜장면 이외에도 많은 단어가 표준어로 추가되었다. 지금까지 몰랐던 말중에 택견이 표준어가 아니것을 처음 알았다. 아래 표를 보면 지금까지 표준어로 알고 잇던 많은 단어들이 비표준어라는 것을 새삼 알게되었다. 택견, 품새, 짜장면, 간지럽히다, 남사스럽다, 등물, 맨날, 묫자리, 복숭아뼈, 세간살이, 쌉싸름하다, 토란대, 허접쓰레기, 흙담, ~길래, 개발새발, 나래, 내음, 누꼬리, 떨구다, 뜨락, 먹거리, 메꾸다, 손주, 어리숙하다, 연신, 휭하니, 걸리적거리다, 끄적거리다, 두리뭉실하다, 맨숭맨숭, 맹숭맹숭, 바둥바둥, 아웅다웅, 야멸차다, 오손도..
약을 팔려면 전유성처럼 : 구라 삼국지 김지하의 오적은 "시(詩)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시인의 말을 빌어 한마디 하자면 "약을 팔려면 좀스럽게 팔지말고 딱 전유성처럼 팔아라."라고 하고 싶다. 전유성은 말은 어눌해 보여도 그의 깊이가 있듯이 글도 약(? 나는 구라를 약이라 말하고 싶다)을 정말 잘 판다고 생각한다. 시골 장터에서 약을 팔떄 약의 효능을 분석, 검증하고 사는 이가 어디있겠는가. 모두 파는 사람의 약(말)에 넘어가 약을 사지 않았던가. 물론 거기에 약간의 유희, 장돌뱅이나 원숭이 또는 차력이 양념으로 곁들여진다. 는 집단창작으로 보여진다. 대표집필은 물론 전유성으로 되어있다. 글, 그림 그리고 가장 중요한 구라가 어우러져 있다. 이 책은 삼국지를 처음대하는 사람에게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깨진유리창이 될 농심 : 짜짜로니를 먹다 간사한게 인간이라고 하더니 내가 그렇다. 라면은 농심에서 삼양으로 바꾼지가 한참되었다. 짜장라면도 짜빠게티에서 짜짜로리로 바꾸게 될 줄이야 참 인간의 인식이란 무섭다. 작은 아이가 TV에서 나오는 짜장면(난 자장이 아니라 짜장이다. 괜히 짜증이 난다. 이것도 자증이라고 하라고 하지. 지랄..)이 먹고 싶다고 한다. 늦은 시간이라 짜빠게티를 사서 먹자고 하였더니 좋다고 하였다. 동네 슈퍼에 짜빠게티를 사러 갔다가 눈에 들어 온 농심의 로고. 작은 로고가 야구공만하게 보였다. 순간 스쳐간 새우깡의 모습, 짜빠게티를 살 수가 없었다. 삼양의 짜짜로니를 사가지고 왔다. 이경규의 예전 모습이 떠 오르면 입가에 미소를 머금었다. 아이들은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지만 마눌님에게는 농심이라 못 사오겠다고 하니 씩 웃더라...
짜장면과 한예슬 짜장면(자장면 ?) MSG파동과 한예슬의 짜장면 먹기. 의도된 간접광고이어도 좋다. 아니면 자연스러운 장면이어도 상관 없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지금의 중국집 또는 중국 음식에 대한 적개심(?)에게 다른 의미로 전달하여주고 있다. 이것이 대중에게 파고드는 입소문의 효과이다. 황우석파동과 마찬가지로 MBC의 의도가 무엇인지 궁금하다. 국민에게 올바른 것을 알린다는 방송 본연의 의지인가? 한탕주의 시청율을 노린 부풀리기 전략인가? 하나가 전체를 대변 할 수 없듯이....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우리나라 서민들이 가장 많이 먹는 자장면을 비롯한 중국음식에 글루탄산나트륨이라는 화학명을 가지고 있는 화학조미료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은 약간의 오해와 기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 자장면 매출이 대폭 떨어진 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