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중립적이지 않다.
말이나 글은 언제나 목적을 띄게 마련이다. 그러한 목적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사람이 어떤 단어, 구문, 문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겉으로 드러날 때도,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이처럼 드러나든 감춰지든 언어는 무기가 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치명상을 입히는 흉기가 되기도 한다.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영어가 국제 공용어로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반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저자는 영어의 성공 요인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영어는 높은 개방성과 수용력을 자랑한다. 맞춤법처럼 복잡한 요소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유연한 특성을 지닌다는 점이 영어의 성공 요인이다."
한국도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영어는 제1외국어이다. 영어 때문에 천문학적 비용이 들어가는 사교육 시장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작고 힘없는 나라의 설움이겠지만,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대부분 나라가 겪는 일이다. 한데 이 모든 게 자비롭지 않고 자신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을 인정하지 못하는 괴팍한 성격의 소유자 하나님 때문이다. 태초에는 온 세상이 한 가지 말을 쓰고 있었다. 물론 단어도 같았다. 하나님과 좀 더 가까이 가고자 하늘에 가까이 갈 수 있는 건물을 지었다. 후대 사람이 말하는 바벨탑이다. 하나님은 이를 자신의 권위에 도전한다고 화를 참지 못했다. 언어를 혼잡하게 하고 한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이들을 각자 다른 언어를 쓰게 했다. 서로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으니 같이 일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서로의 말을 알아듣지 못하여 혼란이 생기고 분쟁이 생겼다. 자신의 창조물을 조금이라도 어여삐(?) 여기는 너그러운 창조주였다면 이 세상은 언어의 장벽이 없는 살기 좋은 세상이었을지도 모른다.
이 모든 게 바벨탑 때문이다. 한데 바벨탑이 역사적 사실일까?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서아시아, 중동, 인도, 유럽을 아우르는 지역 대부분은 수 천 년 전 하나의 언어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이외에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영어가 오늘날 공용어로 자리 잡고 가장 큰 성공을 이룬 언어가 될 수 있던 요인 중 하나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현대 영어의 기원이다. 하지만 달리 본다면 영어로 본 세계사다. 많은 나라의 지배를 받던 유럽 변방 섬나라에서 쓰던 언어가 세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언어로 성장하기까지의 역사를 담고 있다. 영어의 역사를 표현하면 잡탕이다. 영어는 영국인 사용하는 언어이다. 최초의 (아직 영국인이 아니라 섬 원주민이지만) 영국인은 켈트인이다. 유럽에서 건너온 이주민이다. 하지만 이들은 영어를 사용하지 않고 켈트어를 사용했다. 켈트인은 단일 민족으로 볼 수 없다. '켈트'도 그리스, 로마 학자가 붙여준 이름이다. 섬나라의 켈트인은 로마 지배를 받는다. 라틴어를 쓸 수밖에 없었고 켈트 문화는 로마로 흡수된다. 400년 동안 로마의 지배를 받지만, 이들이 돌아간 후에는 라틴어의 흔적이 거의 사라졌다. 다시 섬은 우리가 흔히 앵글로색슨이라 부르는 앵글인, 색슨인, 유트인이 영국을 지배한다. 이들은 저마다 다른 언어를 사용했다. 모두 게르만 어파에 속한다. 이들이 지배하면서 켈트어는 침략자인 게르만어에 동화된다. 이후 우리가 영어라 부르는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다시 바이킹의 침공을 받았다.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바이킹은 앵글로 색슨어(고대 영어)를 넘어서지 못했다. 하지만 노르드어는 영어 큰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흔적이 남아있다. 또다시 새로운 정복자를 맞이한다.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에서 온 노르만인이다.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노르만인은 섬 곳곳에 진출했다. 상류층과 공식 문서는 노르만 프랑스어를 사용했다. 하층민은 고대 영어를 사용해 두 가지 언어를 사용했다. 노르만 프랑스어는 영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피지배층의 언어인 영어는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노르만인은 자신이 정복한 앵글로색슨인의 언어를 뿌리 뽑지 않았을까? 그 이유는 그럴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어가 승리를 거둔 가장 큰 이유는 노르만인이 노르망디를 빼앗겼기 때문이다. 이후 백년전쟁이 터지면서 영국과 프랑스는 적이 되었다. 이후 왕족과 귀족이 영어를 쓰기 시작했다. 영어가 섬나라의 언어로 자리 잡은 시기이다.
이후 섬이 대영제국으로 변신하면서 영어도 세계로 나간다. 영어가 영어를 넘어 국제어로 지위를 확보하는 계기가 된다. 영어가 이렇게 세계로 나가면서 영어는 영국인이 사용하는 언어가 아닌 소통을 위한 언어로 변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영어는 각국의 단어를 수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영어는 영국과 미국의 언어가 아닌 글로비시가 되었다. 한데 하필이면 영어일까? 영국뿐 아니라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독일 등 많은 제국이 있지만 왜 영어일까? 대영제국이 마지막 제국의 패권자이기 때문일까? 부분적인 이유는 된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이 지닌 막강한 힘 때문이다.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400년 동안 로마의 지배를 받지만, 이들이 돌아간 후에는 라틴어의 흔적이 거의 사라졌다."라는 설명이 있다. 왜일까? 그 이유는 무엇인지가 더 궁금한데 이에 관한 언급은 없다. 저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영역을 벗어난 내용일 수도 있지만, 영어의 역사를 설명하는 책이기에 자세한 설명을 필요하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을 수 있는 영어 사용자가 부럽다. 세계사를 품은 영어사, 영어를 통해 본 세계사를 내용을 가지고 사회, 문화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확인하지 못했지만, 한국사를 품은 한국어, 한국어로 본 한국역사라는 내용의 책은 왜 없을까? 영어를 통해 세계사를 바라보는 것도 좋지만, 한국어를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 그런 날이 꼭 올 것이다. 그전에 이 책으로 아쉬움을 달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