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달래

(3)
오늘로서 새로운 무대가 전개 된다 : 볼리비아 일기 (체 게바라) 1988년 진달래에서 나온 를 보았다. 얼마 전에도 일기라는 이름으로 출간된 것을 보았다. 이번에는 학고재에서 '공식적'으로는 최초로 출간되었다. 66년부터 채 1년이 되지 않는 기간의 기록이다. 진달래 간에서는 160여 쪽의 적은 쪽수의 일기와 라는 글이 수록되어 있다. 일기만 수록된 학고재의 책은 아쉽다. 이 짧은 기록은 체 게바라에게 있어서도 그 이후 살아남은 사람 모두에게 중요하다. 체 게바라의 마지막 기록이자 성공하리라 믿었지만, 실패의 기록이다. 수많은 오류를 범하고 그 때문에 고난을 겪으면서도 굴하지 않고 혁명에 대한 그의 의지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이 신념으로 스스로 영웅이 되기를 선택했다. 체 게바라의 죽음은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영향은 살아있을 때보다 죽은..
'차라리 시를 가슴에 묻'을 수만 있다면 : 정희성을 생각하면서 나는 나의 말로부터 해방되고 싶고, 가능하다면 나 자신으로부터 해방됐으면 싶다. "신동엽의 노트를 열다"을 포스팅하면서 신동엽을 생각하고 다시금 시집을 꺼내 보았다. 먼지가 뽀얐게 묻어있는 시집들이 안타까워 보였다. 한때는 '詩의 시대'라고 하였던 시기가 있었는데 지금은 詩는 찾아 볼 수가 없다. 정희성. 그를 알게 된지가 벌써 20년하고도 수년이 지났다. 지금까지 시집 4권을 내었다. "답청(1974- 재간 1997)", "저문 강에 삽을 씻고(1978)",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1991)" 그리고 "詩를 찾아서(2001)"이다. 詩를 찾아서 정희성 지음/창비(창작과비평사) 정희성이 나에게 준 가장 강한 두가지 인상은 74년 받은 것이다. 그 첫째는 어느 고등학교에 근무하던 그가 대학원을 수료하..
진달래 - 정희성 누군가가 울면서 토한 진달래 빛, 남한산성을 읽으면서 불현듯 정희성의 가 떠 올랐다. 한동안 잊고 있던 아련한 옛사랑의 기억처럼... 진달래꽃은 두견이의 전설로 인해 두견화라고도 불린다고 합니다. 옛날 촉나라의 임금 두우가 억울하게 죽어 그 넋이 두견이가 되었는데, 이 두견이라는 새는 목구멍에 피가 날 때까지 밤낮으로 운다고 합니다. 두견이가 울면서 토한 피가 두견화, 진달래가 되었다지요. 혹여 누군가 아침에 그 새의 울음소리를 듣게 되면, 그것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출 처 : GoldSoul] 이 전설과 詩를 읽어면서 '봄날의 간다'라는 노래가 떠오른다. 연분홍치마라는 가사 때문인지 몰라도 이 노래는 가슴을 힘들게 만든다. 정말로가 부르는 '봄날은 간다'가 제일 좋..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