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술 사주는 읽고쓰기

드라마를 가진 이야기의 힘이 나꼼수 흥행의 성공 요인이다

반응형


나꼼수는 호불호가 명확하다. 인터넷을 비롯한 SNS에서 그들의 영향은 지대하다. 나꼼수에 대한 몇 가지 ...에서의 생각과 같이 호好보다는 불호不好에 가깝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드라마와 관련된 것이다.

김어준은 대중을 이끄는 힘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그것을 기반으로 오늘의 나꼼수가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는 나꼼수의 호불호를 떠나 나꼼수가 가지는 인기의 비결을 다시 돌아보며 대중 선동(?)에 필요한 비결을 알아보자. 김어준은 약(?)을 어떻게 팔아야 하는지 잘 알고 있는 장돌뱅이다. 장터에 모인 대중이 무엇에 호기심을 가졌는지, 무엇을 보여주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

나꼼수의 가장 큰 장점을 '드라마'라 말한다. 드라마는 이야기의 힘이다. 이야기는 스스로 자라 새로운 이야기가 탄생한다. 이것이 이야기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다. '카더라통신'으로 변질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나꼼수는 그 특유의 드라마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나꼼수가 '아니면 말고'라는 던지기식으로 더 변질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진정성이다. 김난도 교수는 2012년 트렌드 예측에서 "SNS시대의 맞아 중요한 키워드를 뽑으라면 자생, 자발, 자족의 경향과 진정성의 힘이 세진다는 점"이라고 한다. 진정성은 올해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시대를 아우르는 키워드이다.

+

많은 평론가가 나꼼수의 인기비결로 주류언론이 입을 닫고 있는 현실, 정권에 대한 불만이 팽배한 현실 등을 꼽고 있다. ... 수위 높은 비판이 나꼼수의 인기요인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왜 나꼼수여야만 하는가'를 설명할 순 없다. ... 문제는 나꼼수만이 가진 매력이 무엇이냐다.

나꼼수가 인간성을 바탕으로 사건을 재구성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드라마를 구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뉴스에 등장하는 시사에는 드라마가 없다. 단지 사건만 있을 뿐이다. 하지만 나꼼수의 설명방식엔 드라마가 있다. 인물이 등장하고 인물의 성격이 사건을 구성한다. 이제 청취자는 그 인물이 만들어낸 사건뿐 아니라 앞으로 만들어낼 사건까지 관심을 두게 된다. 드라마 애청자가 드라마를 볼 때 다음 회를 예측하고 본 방송을 보며 그 예측을 확인하듯, 나꼼수 청취자 또한 이 대통령의 행보를 눈여겨 보고 다음 회를 들으며 그 행보에 대한 분석을 확인한다. ... 나꼼수는 그걸 해낸 셈이다. 그 결과 곧 잊어버리는 복잡한 사건이 아니라 곱씹어보고 싶은 재미있는 이야깃거리가 됐다.


나꼼수가 드라마를 만들었다면, 이제는 청취자의 참여로 드라마가 완성되고 있다. 나꼼수는 시작부터 로고송을 공모하는 등 청취자에게 역할을 부여했다. 이로써 청취자는 나꼼수에 자신이 등장할 길을 찾았고 이는 여러 제보로 이어졌다. 나꼼수가 인기를 얻고, 울분의 플랫폼으로 작용하기 시작하면서 청취자의 참여공간은 더욱 커졌다. ... 나꼼수는 시사프로그램에서 시민의 자리, 청취자의 자리가 어디여야 하는지를 찾아주었다. 이제야 시민은 시사프로그램을 즐길 줄 알게 됐고, 그 사실은 다시 나꼼수의 인기로 이어지고 있다.

사실 정치, 시사를 드라마화하려는 시도는 이전부터 있다. 흔히 선거 때 언론의 보도가 승패를 중시하는 경마 저널리즘[각주:1]으로 이어지는 것이 그 예다. 하지만 그런 드라마들은 아이의 손을 잡고 눈물을 흘렸다는 사건에 그쳤다. 나꼼수는 한 발 더 나가 그 정치인이 왜 재래시장만 찾는지, 왜 하필 아이의 손을 잡았는지 그 정치인의 인간성을 들여다본다. ... 신도라 불리는 애청자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이런 드라마에 있다.

덧붙임_
북릿의 <나꼼수가 대박을 터뜨린 보이지 않는 이유> 참조.

덧붙임_둘
재미있는 이야기를 충족하기 위한 다섯 가지 요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야기하고 싶은 유전자를 갖고 태어난다
모든 사물에는 이야기가 존재한다



이야기의 힘
이창용 외 지음/황금물고기



  1. 경마 저널리즘(競馬-, horse race journalism, 경마식 보도 행태)는 흥미위주로만 보도하는 언론의 보도 형태를 말한다. 본래는 언론이 선거에 관한 보도를 할 때 마치 경마 경기를 보도하듯이 승패에만 초점을 맞추는 보도 행태를 뜻하였는데, 흥미 위주의 보도를 포괄하는 의미로 확대되어 쓰이고 있다.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