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바이벌이 유행처럼 통용되고 있다. 시청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든다는 이상한 말로 시청료를 올리는 공영방송도 서바이벌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휴먼서바이벌 도전자>라는 이상하고 오묘한 제목의 프로그램이다.
18명의 남녀를 편을 나눠 매주 한 명씩 탈락자를 선발한다. 미션에서 실패한 팀에서 팀원이 투표하여 탈락자 한 명을 선발한다. 여론몰이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여기에 공영방송은 선발된 탈락자가 자기보다 패배에 더 책임이 크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1명 지목한다. 총 4명의 탈락 후보자들중에서 3명의 선발위원이 각각 한 명씩 구제한다. 3명은 탈락 후보자들에게 구원자가 된다. 그들의 말 한 마디에 생사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탈락 후보자들은 떄로는 자신있게 때로는 읍소한다. 제발 살려달라고. 의도된 기획은 아닐지라도 시청자들은 3명을 통하여 내가 마치 전지자가 된 듯한 착각에 빠지게 한다.
풍뎅이의 기도
- 김창완
하느님, 종아리를 모두 꺾으시옵고
하느님, 모가지를 비트시옵고
하느님, 뙤약볕 아래 발랑 뒤집어 놓으시옵고
하느님, 전능의 손가락으로 동그라미를 그리시는
하느님, 왼쪽으로 돌까요 오른쪽으로 돌까요?
그러면, 정말 그러면
버려진 이 땅도 짊어지고 날아갈 수 있을까요?
- 김창완
하느님, 종아리를 모두 꺾으시옵고
하느님, 모가지를 비트시옵고
하느님, 뙤약볕 아래 발랑 뒤집어 놓으시옵고
하느님, 전능의 손가락으로 동그라미를 그리시는
하느님, 왼쪽으로 돌까요 오른쪽으로 돌까요?
그러면, 정말 그러면
버려진 이 땅도 짊어지고 날아갈 수 있을까요?
얼마전 소설가 박범신 선생은 "서바이벌은 천박한 1인주의"라 일침을 가했다. 또한 "서바이벌은 도전이 아니다. 그저 오락으로 받아들여라"고 했다.
공영 방송인 KBS가 오락프로그램에 불과한 서바이벌을 '도전'이라는 것으로 포장하려한다. 그리고 그 장소가 왜 하와이일까? 국내에서 충분히 가능할 것을 굳이 많은 비용을 들여 하와이로가 간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장동건을 대신해서 간 것일까?)
일반인을 거액의 상금과 부상으로 낚시질하여 연예인들의 출연료를 줄여 제작비를 줄이려는 의도가 아닌가. '도전정신'이라는 말로 포장하지 말고 상금 1억원에 위한 치열한 경쟁이라고 말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을 보면 같은 KBS에서 방영하고 있는 광개토대왕의 '개싸움'만 떠오를뿐이다. 상대를 죽여야 내가 살 수 있는 개싸움일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