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최초의 질문은 사람이 하니까 - 질문커뮤니티
“생각은 답에서가 아니라, 질문에서 시작된다.”— 소크라테스세상은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다.인공지능이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음악을 만들고, 글을 쓰며, 새로운 생각을 제안한다.그러나 이 모든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그럼에도, 최초의 질문은 사람이 한다.AI는 질문에 답하도록 만들어진 존재다.그는 무한한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고, 문장을 이어붙이며, 그럴듯한 논리를 만든다.그러나 그 모든 작동의 시작점에는 하나의 물음이 있다.누군가 묻지 않으면, AI는 결코 말문을 열지 않는다.“왜?”, “무엇을 위해?”, “이건 옳은가?”이런 질문은 단순한 정보 요청이 아니다.그건 세계를 다시 바라보려는 의지의 발화다.질문은 불편함에서 태어나고, 불완전함에서 자란다.완벽하게 만족한 존재는 묻지 않..
야수의 피를 지닌 한 시인이 영면했다 - 박남철
박남철(朴南喆), 1953년 11월 23일 ~ 2014년 12월 6일 야수의 피를 지닌 한 시인이 세상을 떠났다. 그의 이름은 박남철. 이성복, 황지우와 함께 1980년대 한국 해체시를 대표하던 인물이다.1980년대는 리얼리즘과 민중시가 대세이던 시대였다. 시가 사회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는 요구가 강했고, 문학은 윤리의 도구로 동원되었다. 그런 시대에 그는 모든 금기를 정면으로 부수며 시를 해체의 언어로, 불화의 선언으로 바꾸었다.“이 좆만한 놈들이…” — 독자를 향한 도발그의 시 「독자놈들 길들이기」는 제목부터 전투적이다. 독자놈들 길들이기 —박남철 내 詩에 대하여 의아해하는 구시대의 독자 놈들에게— 차렷, 열중쉬엇, 차렷, 이 좆만한 놈들이…… 차렷, 열중쉬엇, 차렷, 열중쉬엇, ..
한 줄 부고에 묻힌 삶, 언론은 어떻게 기록할까
한 줄 부고에 묻힌 삶, 언론은 어떻게 기록할까신문이나 온라인에서 흔히 보는 부고 알림은 대개 이렇게 한 줄로 끝난다.“○씨 별세, ○씨 부친상=○일, ○장례식장, 발인 ○일 ○시. ☎️ ○○-○○-○○”전직 대통령, 정치인, 연예인처럼 널리 알려진 사람의 죽음은 긴 기사나 영상으로 남지만, 일반인의 죽음은 이렇게 한 줄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언론이 조명할 대상은 의미 있는 삶을 남긴 이들이겠지만, 현실은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형식도 단조롭다.그럼에도 최근 몇몇 기자들은 덜 조명된 죽음을 발굴하고 기록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가만한 당신, 못다한 말“(길게 읽고 오래 생각할) 긴 부고가 필요한 까닭”어떤 이의 죽음을 맞아 그의 삶을 알리고 기억하려 쓰는 글을 부고라 한다. 죽음은 모두 같지만..
살림의 언어로 남은 시인, 김지하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 살림의 언어로 남은 시인, 김지하—별세 3년, 오늘 그를 다시 기억하며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난 지 어느덧 3년이 흘렀다.2022년 5월 8일, 강원도 원주의 집에서 향년 81세로 생을 마감한 그는지금도 여전히, 이 땅의 언어와 양심 속에서 살아 있다.그는 시인이었고, 사상가였으며, 시대의 양심이었다.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그는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뒤1970년대 초 시 「오적」으로 세상의 위선을 벼렸다.권력과 재벌, 언론, 종교를 신랄하게 풍자한 그 시 한 편으로 그는 감옥에 갇혔다.하지만 철창 속에서도 그는 언어의 무기를 놓지 않았다.그가 남긴 「타는 목마름으로」는 자유를 향한 갈망의 상징이 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