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399) 썸네일형 리스트형 개소리 우리는 상표를 선택하고서도 그 향으로 선택한다고 자위한다. _, 마크 트웨인 세상은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세상이 쉽게 바뀔 거라는 생각은 어리석은 생각이다. 십몇 년 전에도 똑같은 일이 일어났건만 그저 "담뱃값 올라간 것에 불만을 가질 뿐, 그 모순을 찾지 않는다." 우리는 기만적 세상에 살고 있다. 2000년 출간된 마크 트웨인의 《참혹한 슬픔》의 역자 강주헌의 '옮긴이 글' 중 일부이다. 1999년을 맞으면서 한 가지 소식이 들렸다. 담뱃값을 올린다는 소식이었다. 그런 발표 자체에는 아무런 관심도 없었다. 그러나 담뱃값을 인상하는 이유를 듣는 순간 마크 트웨인이었다면 그 핑계를 얼마나 멋들어지고 재미있게 표현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숨겨진 모순 때문이었다. 인상의 이유는 두 가지였다. 하나.. 십상시 후한 말기 대장군 하진이 "환관을 절멸시켜야 한다."라고 하자 조조는 고개를 저었다. "환관은 고금부터 있었다. 다만 군주의 총애를 빌려 국정이 이 지경까지 온 것이다." 조조는 망국의 책임은 환관이 아니라 군주가 져야 함을 지적했다.망국의 책임은 환관이 아니다. 조조가 하진의 말을 듣고 십상시를 절멸했다면 하진이 십상시 자리를 대신했을 것이다. 자기와 무리의 이익만을 챙기는 환관이 문제이지 환관 그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연산에게 호통친 김처선은 환관이 아니었던가. 같은 환관이라도 그 본분을 알고 어떻게 처신하느냐의 차이다. 달리 본다면 같은 환관이라도 황제나 왕에게 어떤 말을 했느냐에 따라 (결국, 죽임을 당하지만) 십상시는 살아남아 역공을 취하였고, 김처선은 죽임을 당했다. 어린 황제도 연산도 왕으.. 11월 13일 불에 몸을 맡겨 지금 시커멓게 누워 있는 청년은 죽음을 보듬고도 결코 죽음으로 쫓겨 간 것은 아니다. 희망공부 _정희성 절망의 반대가 희망은 아니다 어두운 밤하늘에 별이 빛나듯 희망은 절망 속에 싹트는 거지 만약에 우리가 희망함이 적다면 그 누가 이 세상을 비추어줄까 * '희망공부'라는 제목과 노랫말의 첫행은 백낙청선생의 글에서 따왔고, '희망함이 적다'는 표현은 전태일 열사의 일기에 나오는 구절이다. 아듀 Jack Bruce 같은 하늘 아래 사는 이가 하나둘 사라진다. 같은 하늘 아래 살았던 추억이 그때를 기억한다.Cream의 베이시트이자 보컬 잭 브루스가 71세 나이로 2014년 10월 25일 사망했다. 크림은 최초의 슈퍼그룹이며, 잭 브루스(B), 에릭 클랩튼(G) 그리고 진저 베이커(D)의 3인조 밴드다.덧_크림(밴드)Jack Bruce, Cream’s Adventurous Bassist, Dies at 71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Farewell Concert - Extended Edition) (1 of 11) 우리에게 지금 더 많은 문학이 필요한 이유 시인 _김남주 세상이 몽둥이로 다스려질 때 시인은 행복하다 세상이 법으로 다스려질 때 시인은 그래도 행복하다 세상이 법 없이도 다스려질 때 시인은 필요없다 법이 없으면 시도 없다 김남주 시인은 "세상이 몽둥이로 다스려질 때" 행복하다고 했다. 오늘 시인이 살아있었다면 시인은 많은 詩를 우리에게 줄 수 있어 행복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창작'하고 '비평'해야 할 때이지만, 누가 부여한 권위인지 알 수 없는 노벨상에 헛꿈을 꾸고 있다. 당연하고 다행스럽게도 노벨 문학상은 프랑스 작가가 수상했다. 세월호 관련 《눈먼 자들의 국가》가 나온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누군가 지겹다고, 잊고 싶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우리에게 아직 위로와 다짐이 필요"하다. "진실에 대해서는 응답을 해야 하고 타인의 슬픔에는 예.. 일은 다르지만, 이치는 같다 책(시나리오)이 좋다고 꼭 잘되거나 좋은 영화가 되는 것은 아니다. 좋은 감독이 책을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따라 영화의 질을 결정한다. 물론 감독 혼자 힘은 아니다. 감독의 의중을 이해하고 성실히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는 배우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거기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의 몫을 다하는 스태프의 힘을 더하지 않는다면 결코 좋은 영화가 될 수 없다. 책(공약집)이 좋다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는 것은 아니다. 훌륭한 대통령이 책을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따라 나라의 격이 달라진다. 사불동이이동事不同而理同. "일은 다르지만, 이치는 같다."라고 했다. 더불어 배우는 책(시나리오)을 선택하는 혜안이 있어야 하고, 국민도 마찬가지로 책(공약집)을 선택하는 혜안을 키워야 한다. 결국, 배우는 책을 잘 선택해야 .. 박근혜는 참 좋은 대통령이다 지난 대통령이 모두 말도 안 되는 갖가지 핑계로 수많은 기업인을 특별 사면했다. 경제 활성화, 국제스포츠 유치 그리고 보은 등의 이유였다. 모두 국민의 정서와는 동떨어진 이유였다. 하지만 참 좋은 박근혜 대통령은 "대기업 지배 주주, 경영자의 중대 범죄에 대해 사면권 행사를 엄격하게 제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기업인이 대통령의 사면으로 풀려나는 것은 먼 옛날 이야기로만 할 수 있다. 사람은 하나를 보면 열 가지를 알 수 있다. 한 가지 약속을 지키는 사람이 다른 약속을 지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인간 된 도리이다. 이것만으로도 박근혜는 후세에 남을 참 좋은 대통령이다. 그것뿐이 아니다. "최악의 정치는 국민과 약속하고 지키지 않는 정치"라고 말했다. 약속을 지키고, 원칙을 준수하는 대통령이다. 지금.. 1등 "모두가 1등이 되는 세상"이 정말 행복한 세상일까. 모두 1등 하면 누가 2등하고 꼴등할까.모두가 1등인 세상이 아니라 꼴등도 행복한 세상이 진정 행복한 세상이다. 그게 사람사는 세상이다. 덧_ '1등이 되는'이 아니라 '1등 하는'이 적합하다. 다시 책을 독서는 마음의 산책이다. 산책할 때 뚜렷한 목적지를 두지 않듯 책을 읽는 데도 별 목적은 없다. 목적지가 있는 행위였다면 독서가 아니고 공부라 불러야겠다. 굳이 스스로 산책의 배경을 살핀다면 아마 궁금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세상은 왜 이렇게 생긴 상태로 나와 만나고 있는 것일까 하는 궁금증._서현 한동안 책을 잡지 못했다. 딱히 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기복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어 어디다가 쓸 것인가? 이런 의구심이 들면서 책을 잡는 시간이 줄어들고 필요에 의해서만 책을 찾았다. 처음부터 큰 목적이나 이유가 있어서 책을 읽은 게 아니다. 책을 읽은 원동력은 '딱히 몰라도 해가 없고, 알아도 득이 없는' 것에 대한 호기심이다. 호기심이 없다는 것은 무색무취한 것과 같다. 모든 것에 관심을 갖고 애착이 .. 事在易而求諸難 事在易而求諸難(사재이이구저난) _ 《孟子》, 어떤 일이든지 그 해결책은 아주 단순하고 쉬운 것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나가야 함에도 어렵고 힘든 것이 해결책으로 잘못 생각하는 문제점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민번호 수집 금지' 통신업계의 고민이라 말하는데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선급으로 받으면 요금 수납에 아무런 문제 없으련만. 수익이 줄어드는 것과 지금까지 누려온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으려니 답을 구하지 못한다. 더 많이 변할수록 더 똑같은 것이다 "더 많이 변할수록 더 똑같은 것이다."라는 공식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예는 아마도 우리나라 정당일 것이다. 인물도 정강도 이념도 바뀐 것이 전혀 없는데 그들은 매번 정당의 이름을 바꾼다. 이름이라도 바꾸어야 뭔가 변혁된 것이 있는 것처럼 눈속임할 수 있어서인지 그들은 기억하기도 힘들 정도로 정당의 이름을 갈아치운다. 그때마다 우리는 하나도 바뀐 것이 없다는 것을 안다. _조한욱보궐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민련)이 개박살났다. 새민련을 뽑지 않고 보수꼴통인 새누리에 투표하는 것을 보고 염려 어린 눈빛을 보내기도 한다. 한데 새누리당에 투표하지 않고 새민련에 투표해야 할 이유가 무언가? 내세우는 이유는 단 하나 야당이라는 것이다. 정의당도 민주당과의 야권연합이라는 이상한 짓(?)을 계속한다면 '존.. 마리화나 불법화, 과학적 근거 없다 노예해방 이전까지 노예제도는 당연하였다. 대부분의 나라가 20세기 이전에는 여성 참정권은 없었다. 당시에는 당연시되었지만,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그것을 인권을 억압하는 도구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20년대 미국에는 지금 생각하면 우스운 금주법이 있었다. 여러 가지 이유로 당연한 법이라고 위정자는 생각했다. 이와 유사하게 마리화나는 비합법이다. (불법이 아니다.) 이제 비합법화 했던 것과는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마리화나를 비합법에서 제외하려 한다. 미국이 합법화하면 맹목적으로 쫓아가는 한국은 글로벌스탠다드를 앞세우며 당연히 합법화할 것이다. 뉴욕타임스 "대마초 불법화, 과학적 근거 없다" 덧붙임_ 마리화나는 왜 비합법화가 되었을까? 새들은 죄가 없다 : 대마초는 죄가 없다 '관문이론'을 아시나요.. 쓰레기 같은 데이터는 없다 "소득 수준과 교육열 높은 강남구는 책도 많이 살까. 정답은 '그렇다'이다." 예스24의 2013년 구매 이력을 분석한 결과라고 한다. 예스24의 회원이 서울시민을 대표하지 않는다. 회원을 서울시민의 분포로 표준화(?) 작업하여 분석한 것일까? 순수하게 구매 명세가 있는 회원의 분포가 우연히 강남에 많이 살고 있었던 것일까? 만일 어느 시골의 한 읍이 가장 많이 구매했다면 뭐라고 설명할까? 그저 예스24 구매 명세의 '일반화 오류'를 범한 것은 아닐까. "책 많이 사는 강남구 책 많이 읽는 3040"이라는 제목이 선정적이다. 잘 살고 교육열이 높아 책을 많이 사는 것인지, 아니면 교육열이 높고 책을 많이 사기 때문에 잘 사는 것일까. 결론적으로 내포하는 것은 잘살고 아이 잘 가르치고 싶으면 책을 많이 사.. 해마다 계획을 세우는 대신 해야 할 일 해마다 연말이나 새해가 되면 다이어리를 사고 새로운 결심을 한다. 해마다 반복이다. 반복되는 걸 보면 그리 좋은 효과를 내지 못한다. 인간을 바꾸는, 나를 바꾸는 방법은 단지 '결심'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간을 바꾸는 방법은 3가지뿐이다. 시간을 달리 쓰는 것, 사는 곳을 바꾸는 것,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아니면 인간은 바뀌지 않는다. '새로운 결심을 하는 것'은 가장 무의미한 행위다. _《난문쾌답》, 오마에 겐이치 3가지 중 내 힘으로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시간을 다르게 쓰는 것,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것은 자기가 아직 젊다고 생각하면 가능한 일이지만 살 날이 산 날보다 적게 남았다면 시간낭비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시간에 '시간을 달리 쓰는.. 알아서 기기 - 곁에서 지켜본 재벌 회장의 공통점은? 다른 사람과 눈을 못 맞출 만큼 수줍음이 많다. 그리고 웅얼웅얼하는 버릇도 공통적이고, (제가 보기엔) 사실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 같지 않은데 계열사 사장은 반드시 해석해야 할 말로 생각해 안달하죠. 누군가 그걸 해석해 결과가 좋으면 당연히 그건 회장님 뜻이 되니까 그런 이가 승승장구 하게 되겠죠.알아서 기면 자리보존 할 수 있다. 무슨 말인지 모르고 수첩에 적어 아랫사람에게 자기도 모르는 말을 전달하고 결과를 요구하는 많은 인간, 회사에만 있는 게 아니라 푸른집에도 과천에도 세종에도 널려 있다.덧붙임_ 나의 明堂은 신도림이지요 내 맘이 편하니까… (2013.12.21) 프리미엄 독자만 내용을 볼 수 있다. 3명 중 1명은 흡연으로 사망, 나머지 2명은? 담배를 피우면 암에 걸린다는 기사를 보았다. 담배 피우는 게 큰 죄를 짓는 것 같은 분위기이다. 담배가 그렇게 위험하다면 담배를 팔지 않으면 될 것인데 판매하고 세금도 많이 걷고 있다. 보도 내용이 틀린 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내용만 부각한다. 한 가지 의구심은 모든 기사가 전부 같은 내용이다. 모두 같은 뜻으로 이해했다니 정확한 사실로 보인다. 정말일까. 암으로 숨진 남성 3명 중 1명은 흡연 때문에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암으로 숨진 3명 중 2명은 흡연과 무관하다는 말인가. 단순하게 말을 바꾼다면 암으로 숨진 3명 중 2명은 흡연하지 않아도 사망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09년 신규 성인 암 발생의 33.8%, 암 사망의 45.2%가 감염, 흡연, 음주, 비만, 부족한 신체활동, 출산력 .. 《성경》이 가장 많이 팔린 이유 《성경》이 부동의 1위를 차지한 이유는 무엇이며, 그다음이 《모택동 어록》인 이유는 또 무엇일까? 이를 강유원은 책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책을 수용하는 집단의 크기에 비례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예나 지금이나 스테디, 베스트셀러는 성서라고 한다. 이는 성서 자체의 내용에도 기인하겠지만, 성서를 경전으로 삼는 신앙인 집단과는 결코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그 집단의 성원이 계속해서 그 정도로 생겨나는 한 성서의 판매는 여전히 그러할 것이다. 이 경우 우리는 성서가 널리 읽히는 결정적인 요인을 그 텍스트를 수용하는 집단에서 찾을 수 있다. 그 텍스트를 수용하는 집단이란 꼭 신앙집단이 아니어도 된다.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도 신앙인 집단과 같은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로서는 한국어로 쓰인 텍스트는 .. 아직도 면밀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영화제에는 인기상이라는 게 있다.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는 지는 알 수 없지만 인기가 있는 사람에게 준다. 인기상을 받았다고 꼭 연기를 잘하는 것은 아니다. 영화제의 꽃은 작품상이지만 대중에게는 여우주연상과 남우주연상이 가장 뇌리에 남는다. 존재도 없는 '안철수당'이 민주당보다 지지율이 높다. 영화제의 인기상을 떠오르게 한다. 인기상을 받은 배우가 주연상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그저 인기상이다. 그 인기에 현혹되어 어떄에 힘이 들어가거나 전부로 생각한다면 오래가지 못하는 반짝 배우가 될 것이다. 안철수의 별명이 '간철수'라 한다. 간을많이 보면 음식이 짜진다. 짜면 물을 더 넣고 그래서 싱거우면 소금이나 간장을 더 넣게 된다. 제대로 된 음식이 나오기 어렵다는 말이다. “국민과 함께”는 좋지만 무엇을 함께 .. 2014년 박스권 돌파한다는데 2014년 경기 회복에 관한 낙관론이다. 장기적인 낙관을 말한다기보다 2014년 박스권 탈출을 말한다. '미국의 긴축은 빨라야 2016년'이라고 하니 2015년까지 상승세 또는 유지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대부분 언론에서 낙관론을 말하면 막차를 타거나 누군가의 손털기 수혜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2014년 주가 최고치 경신은 가능성도 많고 믿고 싶다. 하지만 고점 돌파 후 얼마나 지속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막차를 타더라도 주식을 다시 사야 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한다. 시기에 관해서는 공감하지만 무엇을 사야 하나. 박스권 돌파한다… 3가지 이유 1. 美 등 선진국 본격 회복 2. 內需 경기도 좋아져 3. 외국인 대규모 순매수 기대 내년에 주목할 만한 업종으로 IT(정보기술), 조선.. 노동자, 거지 그리고 도둑 영국의 한 작가가 모든 사람을 세 가지 범주, 즉 노동자, 거지, 도둑으로 구분한 적이 있다. 이런 분류는 자존심이 강한 상류층과 부유층의 마음에는 들지 않겠지만, 경제학적으로 볼 때 옳다. 개인이 부를 획득할 방법은 세 가지, 즉 노동, 타인의 증여, 도둑질밖에 없기 때문이다. _헨리 조지 어느 부류에 속하고 싶은가? '거지'다. 거지를 비하하는 게 아니라 다른 두 부류에 비해 비교적 쉽다. 할 일이 별로 없다. 고개를 조금 숙이면 된다. 비굴해 보이지만 결승점에 가장 먼저 도착할 확률이 높은 '가족마'를 타고 있다. 자신의 성실함을 믿고 달리기는 '근로마'는 성공확률이 1/100이다. 그에 비해 가족마를 타고 달리면 성공확률이 2/3이다. 따지자면 세 가지 부류가 아니라 두 가지다. 꼭 그렇진 않겠지.. 이전 1 2 3 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