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이 ‘다타키’(たたき)인 이 말은 일본어로 두들김, 다짐이란 뜻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재료를 다진 양념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다진 양념'으로 순화되어야 한다. _《우리말 속 일본어》, 박숙희
하지만 다른 의견도 있다. “함경도 지방을 대표하는 함흥냉면에는 고춧가루 양념이 애용되어 ‘다대기’라는 말이 이곳에서 나왔을 정도”(한국민족문화대백과)라는 설명이 있는가 하면 <우리말큰사전>(1995)은 ‘다대기’를 우리말로 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대기
양념의 하나. 끓는 간장이나 소금물에 마늘, 생강 따위를 다져 넣고 고춧가루를 뿌려 끓인 다음, 기름을 쳐서 볶은 것으로, 얼큰한 맛을 내는 데 쓴다. ‘다진 양념’, ‘다짐’으로 순화.
현재 다진 양념으로 순화하여 사용하기를 권하고 있다. 이견도 있으니 다대기를 일본어에서 온 말이니 다진 양념으로 사용해야 할는지, 우리말이니 다대기를 맘껏 사용해도 될는지.
덧붙임_
[말글살이] 다대기
'쓰기 연습 > 우리말 바로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호한 것이 아니라 애매한 것 - 뭔 말이지 (0) | 2013.08.07 |
---|---|
대통령선거에 있어서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0) | 2012.12.21 |
애정남은 애매하다를 계속 사용해야 하나? (1) | 2011.12.18 |
이제 짜장면이라 불러도 된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1) | 2011.09.01 |
촌지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0) | 201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