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새롭게 다시 태어나는 자기개발

창의력과 창의성에 대하여

반응형

아이도, 창업가도 필요한 두 가지 힘

아이 하나가 종이컵을 들고 와서 말한다.
“이걸로 로봇을 만들어볼까?”
이 짧은 말엔 두 가지 힘이 들어 있다.
하나는 ‘새로운 걸 떠올리는 힘’,
또 하나는 ‘그걸 진짜로 해보려는 마음’이다.

우리는 이걸 각각 창의력과 창의성이라고 부른다.

창의력: 아직 세상에 없는 걸 떠올리는 힘

창의력은 머릿속에서 전혀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면 이런 말이 그렇다.

- 자동차가 하늘을 날면 어때?
- 이 문제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풀 순 없을까?
- 나무가 말을 한다면 무슨 말을 할까?

이런 상상은 우리를 새로운 방향으로 데려간다.
창의력은 그 시작점이다.

창의성: 상상을 꺼내어 실현하는 능력

창의성은 머릿속에서 끝나지 않고, 직접 만들어보고 표현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 날개 달린 자동차 모형을 실제로 만들어보는 것
- 상상한 이야기를 글이나 영상으로 만들어보는 것
- 전혀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 보는 것

이건 상상에서 멈추지 않고,
그걸 꺼내어 세상과 연결시키는 능력이다.

그래서, 뭐가 더 중요할까?

종종 묻는다.
“창의력과 창의성 중 뭐가 더 중요할까요?”
이건 “생각이 중요할까, 행동이 중요할까?”라는 질문과 비슷하다.

결론부터 말하면, 둘 다 중요하다.

하지만 순서는 있다.

① 먼저 창의력이 있어야 한다.
남들과 다른 시선, 다른 상상력이 있어야 새로운 것이 시작된다.
② 그리고 창의성이 필요하다.
떠올린 생각을 실현하는 용기와 실행력이 있어야 한다.

비유하자면,

창의력은 씨앗이고, 창의성은 물과 햇빛이다.
물을 주어도 씨앗이 없다면 자랄 게 없고, 물과 햇빛이 없다면 자라지 못한다.

창업가에게는 어떤 힘이 더 중요할까?

창업가는 ‘없는 것’에서 ‘있는 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이 일은 생각만으로도, 실행만으로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창의력만 있는 창업가는 아이디어는 많지만 시작하지 못한다.
창의성만 있는 창업가는 열심히 만들지만, 차별화가 어렵다.

그래서 창업가에게 가장 필요한 건
창의력을 가진 실행가가 되는 것이다.
실행을 통해 창의력을 증명하는 사람이다.

일론 머스크는 이렇게 말했다.
“아이디어는 쉽다. 실행이 문제고, 실행이 전부다.”

하지만 우리가 무엇을 실행하느냐는
어떤 상상으로부터 출발했는지에 달려 있다.

결국, 이 두 가지 힘

아이에게도,
창업가에게도,
문제를 푸는 사람,
예술을 하는 사람,
새 길을 찾는 사람 모두에게,

창의력과 창의성은 함께 필요하다.

하나는 출발점이고, 다른 하나는 완성이다.

새롭게 보고, 직접 해보는 사람,
그런 사람만이 세상을 조금씩 바꿔나간다.

창의성은 그저 상상이 아니라, 세상을 다시 만드는 손길이다.
-心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