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금도 잘 팔리는지는 확인할 길은 없지만, 한때 잘 팔렸던 한상복의 《배려》라는 책이 있다. 꽤 관심 있게 읽었다. ‘배려’라는 말에 많은 공감하고 다른 어느 것보다 ‘배려’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지금까지 “배려는 선택이 아니라 공존의 원칙이다.”, “배려는 큰 것을 용서하는 것이 아닙니다. 상대방을 생각하는 마음으로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했다. “상대에 관한 관심이 배려의 기본”이라고 생각하고 아이에게도 일러 주었다. 한데 이 ‘배려’에 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글을 읽었다. (권리를 배려한다?)
우리가 다른 이를 ‘배려’하는 게 정말 ‘배려’인지 의구심이 든다. ‘배려’를 빙자해 조삼모사하는 게 아닐는지. 원래 그들의 몫을 ‘배려’로 포장하는 것은 아닐는지. 역으로 내가 배려를 당하는 게 나의 당연한 몫을 가지고 사탕 하나 던져주듯 하는 게 아닐는지.
“무지가 바로 거짓에 대한 섣부른 믿음을 초래하며, 그로부터 오늘 이 시대를 지배하는 모든 오류가 생겨났다.” 모든 게 당연한 권리를 알지 못하는 ‘무지’ 때문이다.
+
노약자석의 경우 장애인, 임산부, 노인에게 우선권이 있는 것은 배려가 아니라 그들의 권리다. 당연한 권리를 상대방이 선심을 베푼다고 주장하며 고마워할 것을 요구한다면 불쾌감을 넘어 억울한 일이다. 배려나 관용은 ‘잘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베푸는 선의가 아니다. 배려는 동등한 적대자(適對者 혹은 敵對者)와 자기 자신에게만 국한되는 윤리다.
“우산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같이 비를 맞는 것”이 인생이라면, 배려는 우산을 독점하고 선별해서 우산을 나눠주려는 권력의 만행을 도덕으로 포장한 행위다. 정말 배려하고 싶다면, 원래 보장된 남의 권리를 시혜로 둔갑시키지 말고 자기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 아니, 타고난 타인의 권리에 대해 자신이 판관 노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식, 분별력, 주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모든 차이는 임의적, 허구적인 것이다. 차이가 만들어지는 방식은 차치하고라도, 다름의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에서 그 누가 생존할 수 있겠는가. 인간은 기준에 따라 모두 소수자다. 단적으로, 나이들지 않는 사람은 없다. “소수자 배려” 운운 말고 자신의 소수자성을 발견하고 드러내 다른 소수자와 연락하며 살아야 한다.
지금까지 “배려는 선택이 아니라 공존의 원칙이다.”, “배려는 큰 것을 용서하는 것이 아닙니다. 상대방을 생각하는 마음으로부터 출발”한다고 생각했다. “상대에 관한 관심이 배려의 기본”이라고 생각하고 아이에게도 일러 주었다. 한데 이 ‘배려’에 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글을 읽었다. (권리를 배려한다?)
우리가 다른 이를 ‘배려’하는 게 정말 ‘배려’인지 의구심이 든다. ‘배려’를 빙자해 조삼모사하는 게 아닐는지. 원래 그들의 몫을 ‘배려’로 포장하는 것은 아닐는지. 역으로 내가 배려를 당하는 게 나의 당연한 몫을 가지고 사탕 하나 던져주듯 하는 게 아닐는지.
“무지가 바로 거짓에 대한 섣부른 믿음을 초래하며, 그로부터 오늘 이 시대를 지배하는 모든 오류가 생겨났다.” 모든 게 당연한 권리를 알지 못하는 ‘무지’ 때문이다.
+
노약자석의 경우 장애인, 임산부, 노인에게 우선권이 있는 것은 배려가 아니라 그들의 권리다. 당연한 권리를 상대방이 선심을 베푼다고 주장하며 고마워할 것을 요구한다면 불쾌감을 넘어 억울한 일이다. 배려나 관용은 ‘잘난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베푸는 선의가 아니다. 배려는 동등한 적대자(適對者 혹은 敵對者)와 자기 자신에게만 국한되는 윤리다.
“우산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같이 비를 맞는 것”이 인생이라면, 배려는 우산을 독점하고 선별해서 우산을 나눠주려는 권력의 만행을 도덕으로 포장한 행위다. 정말 배려하고 싶다면, 원래 보장된 남의 권리를 시혜로 둔갑시키지 말고 자기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 아니, 타고난 타인의 권리에 대해 자신이 판관 노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식, 분별력, 주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모든 차이는 임의적, 허구적인 것이다. 차이가 만들어지는 방식은 차치하고라도, 다름의 공존이 허용되지 않는 사회에서 그 누가 생존할 수 있겠는가. 인간은 기준에 따라 모두 소수자다. 단적으로, 나이들지 않는 사람은 없다. “소수자 배려” 운운 말고 자신의 소수자성을 발견하고 드러내 다른 소수자와 연락하며 살아야 한다.
_2013.02.22.
보고 듣고 느낀 한 마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