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

오 하느님 - 꺼비딴 리

반응형

이 사진 한 장으로 조정래가 소설을 내었다.

'오 하느님'.

'이 남자는 1939년 8월 소련과 일본의 만주 전투에 일본군으로 참전했다가 소련군에게 붙잡혀 붉은 군대에 소속됐다. 그러나 그는 독일군 포로가 되었고 이후 대서양 전선에 투입됐다가 미군에 의해 다시 붙잡혔다. 누구도 그가 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없었다. 그는 한국인으로 밝혀졌다.'(출처=www.worldwar2database.com)

소설에서 신길만은 스무 살 나이에 일본군으로 징집돼 관동군에 배치된다. 그러나 국경 전투에서 다른 조선인들과 함께 포로가 돼 소련으로 끌려간다. 이후의 일은 사진 설명과 얼추 비슷하다. 다른 게 있다면 결말이다. 사진 설명보다 소설은 한 발짝 더 나아간다. 이 파란만장한 삶을 산 조선인 청년 신길만은 다시 소련 땅으로 소환된다. 거기서 그는 총살당한다.

'만주군 → 붉은군대 → 독일군' 이렇게 이어지는 '신길만'의 굴곡의 세월에 어찌 '꺼비딴 리'가 떠오르는 것은 무슨 일인가?
'친일 → 친소 → 친미'로 이어지는 '이인국박사'의 굴욕적인 삶. 신길만과 이인국은 비슷한 삶의 굴곡이 느껴진다. 하지만 둘의 삶은 전혀 다르다. 한 명(신길만)은 강제징집으로 인한 타의에 의한 삶이고 또 다른 한 명(이인국)은 구차한(?) 삶을 영위하고자 굴욕의 삶을 영위한다.

이 사회에는 제2, 3의 이인국박사가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 그것도 '한국 사회에서 지도층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소설읽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