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글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내가 매년 부고를 쓰는 이유
호프스트라 대학교 영문과 교수 켈리 맥마스터스(Kelly McMasters)는 지난 9월 29일 뉴욕타임스에 ‘내가 매년 부고(사망기사)를 쓰는 이유(Why I Write My Own Obituary Every Year)’라는 제목의 칼럼을 실었다. 한때 서점을 운영했고, 지난해에는 에세이 회고록 『떠나는 계절(The Leaving Season: A Memoir-in-Essays)』을 펴낸 작가이기도 하다. 맥마스터스는 지난주에도 부고를 썼다. 그는 해마다 한 번씩 자신의 사망 기사를 쓰는 일을 하나의 의식처럼 이어가고 있다. 그의 주변에도 해마다 부고를 쓰는 이가 있다. 어떤 교사는 그것을 새해 첫 문장으로 삼고, 또 어떤 이는 유대인의 새해인 로쉬 하샤나(Rosh Hashanah)에 부고를 쓴다. 또..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한국의 군인 출신 독재자 전두환, 90세로 사망
1931년 1월 18일 ~ 2021년 11월 23일, 90세 오래 살았다. 뉴욕타임스 전두환 부고기사. “한국의 군인 출신 독재자 전두환, 90세로 사망(Chun Doo-hwan, Ex-Military Dictator in South Korea, Dies at 90)”.한국의 군부 독재정권의 상징과도 같은 악명 높은 인물인 전두환은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찬탈한 뒤 1980년대 대부분 철권통치를 이어갔다. Nov. 22, 2021쿠데타로 집권하고 1980년대 대부분을 철권으로 나라를 통치하고 낙하산병과 장갑차를 파견하여 수백 명의 민주화 시위대를 진압했던 한국의 가장 비방받는 전 군부 독재자 전두환이 화요일 서울 자택에서 사망했다. 그는 90세였다. 그의 죽음은 한국 경찰청에 의해 확인되었다. 퇴임 8년..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동료가 말하는 말론 브란도를 추모하며
말론 브란도 주니어(Marlon Brando, Jr.), 1924년 4월 3일 ~ 2004년 7월 1일Marlon Brando를 추모하며“말론 브란도는 연기에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했고, 대변혁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아는 연기를 만들어냈다. 그리고, 말론 브란도에게서 여자를 뺏어 본 적이 있는 남자는 내가 유일하다.” —영화배우 토니 커티스브란도는 1951년작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 비비안 리와 함께 출연했다. 이 영화로 그는 일약 스타덤에 올랐고, 처음으로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오르게 된다. “나는 말론 브란도와 함께 일했던 멋진 순간들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그와 함께 연기했던 그 장면들을 언제나 소중히 간질할거다. 그는 가장 관대하고 능력있는 배우 중 한 명이었다.” —‘워터프론트’에서 에..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부고기사를 보면 사회의 공적 미덕과 민주주의 수준을 알 수 있다
부고는 기억할 만한 사회적 가치가 있는 내용을 보여주는 작은 창문이자, 특별한 역사적 순간을 개인의 삶과 연결해 해석하는 죽음의 사회학인 것이다. 신문의 뒤쪽을 보면 ‘부고’ 또는 ‘부음’이라고 적힌 부분이 있다. 한 사람의 죽음을 알리는 것으로, 언제 죽었으며 어디서 장례식을 하는지 말해준다. 우리나라에서 부고 제도가 시행된 시기는 고려 말 이후로 보고 있다. 신문에 부고 기사가 지면을 채운 역사는 100년이 됐다. 일제 강점기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 일간지 부고 기사 100년 사를 정치, 사회, 문화, 역사적 관점에서 추적하며 그 실체를 밝혀낸 책이 발간됐다. 책은 특히 이념적으로 정치적 대척점에 놓여 있던 박정희,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이 언론 부고 기사에서 어떻게 다르게 반영되어 기록됐..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내 부고는 내가 가장 잘 쓴다
모든 故人이 위인일 순 없다… 찬사 줄이고 실수도 기록하라모든 고인(故人)은 위인(偉人)이다. 부고 기사는 대개 고인에 대한 찬사로 차고 넘친다. 그나마 공과(功過)를 따지는 건 지도자나 정치인 등의 부고에 제한된다. 그러나 월스트리트 저널 부고 전문기자인 저자는 필부필부(匹夫匹婦)의 부음조차 찬사 일변도여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유명인 아닌 일반 부음은 빈소와 발인 날짜, 유족명 등만 간단하게 알리는 우리 언론과는 달리, 서구 신문은 부고(obituary) 지면을 별도로 마련, 망자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전한다. 이러한 차이를 감안하고서라도, 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한 관심사. 그렇다면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저자의 조언에 귀 기울여 보자. “헌사는 지면 낭비일 뿐” ‘훌륭한..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시대의 실천적 지식인 리영희 선생 별세
시대의 실천적 지식인 리영희 선생 별세 우리 시대 ‘실천적 지식인의 표상’이자 ‘큰 언론인’이었던 리영희 전 한양대 교수가 2010년 12월 5일 별세했다. 향년 81.지병으로 서울 중랑구 면목동 녹색병원에 입원했던 리 교수는 이날 오전 0시30분께 병원에서 가족과 지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눈을 감았다.그의 평생은 ‘반지성에 맞선 치열한 싸움의 역정’이었다. 근무하던 언론사와 대학에서 각각 두 번씩 해직됐고, 모두 다섯 차례 구속됐다. 1980년 신군부가 ‘광주소요 배후 조종자’ 중 한 명으로 그를 지목 · 투옥했을 때 프랑스 일간지 는 리 전 교수를 ‘메트르 드 팡세’(사상의 은사)라고 불렀다.1929년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난 리 전 교수는 57년 외신부 기자로 언론인의 삶을 시작했고, 64년부터..
-
술 사주는 읽고쓰기
오래 묵힌 글, 책과 세계 그리고 나
오래 묵힌 글을 방출합니다. 그동안 서랍 속에 쌓아두었던 글을 이제 하나씩 꺼내어 대방출하려 합니다. 완전한 글은 없다고 했습니다. 종이에 고정된 기록과 달리 온라인은 언제든 수정하고 덧붙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미완의 흔적이라도 남겨두는 편이 낫습니다. 짧은 책을 다시 읽는 일이 왜 이렇게도 어려운 걸까요.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내가 만나면서, 다시 한번 ‘책과 세계 그리고 나’를 돌아봅니다. 강유원은 말합니다. “이 지구에 살아 있는 사람 중 절대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다.” 사자의 위장이 탈이 나면 풀을 먹듯, 병든 인간만이 책을 읽는다고 그는 썼습니다. 오늘날만이 아니라 인류 역사 전체를 놓고 보아도 책을 읽은 이는 전체 숫자에 비해 극히 적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남과 같다면 그것은 김점선이 아니다
김점선 1주기 추모식너무나 보고 싶은 사람어린아이 같은 솔직함과 아름다운 그림, 파격적 언행으로 화제를 몰고 다닌 화가 김점선. 그가 우리 곁을 떠난 지 벌써 1년이 되었다. 꼭 1주기를 맞는 3월 20일, 하루 종일 싯누런 황사와 비구름으로 잔뜩 하늘이 흐렸다. 해를 보고 행복해하던 김점선이 보았더라면 버럭 소리라도 질렀을 성싶다. “그지같이! 해가 왜 하나밖에 없어!”김점선을 생각하는 사람그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남산 ‘문학의 집 서울’로 모여들었다. ‘김점선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가칭)’을 중심으로 유가족과 그녀를 아끼던 주변 사람들이 함께한 자리였다. 문화·예술계는 물론 학계와 종교계까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한데 모였다.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이들의 중심에는 ‘인간 김점선’이 있었다. 김..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박남철 시인, 영면에 들다
박남철(朴南喆), 1953년 11월 23일 ~ 2014년 12월 6일 박남철 시인, 영면에 들다—문계봉 시인한 시대를 다소 거칠고 위악적인 모습으로(친한 지인은 격정적이라고 표현하겠지만...) 통과해 온 시인이 있었다. 그가 있는 자리에서는 늘 활극이 벌어졌고, 피가 튀었고, 술상이 엎어졌다. 그를 아는 지인들은 그를 피했고, 그를 모르던 사람들조차 만난 적도 없는 그를 ‘미래의 기억’으로부터 단절시켰다. 그럴수록 세상과 사람에 대한 그의 ‘발길질’은 더욱 그악스럽고 집요해졌고, 곧이어 사람과 사회로부터 스스로를 격리시켰다. 내가 그를 마지막으로 본 것은 고 박영근 형(시인)의 빈소에서였는데, 그날도 그는 앞자리 동료 시인의 코뼈를 부러뜨렸고, 경찰이 왔으며 빈소는 아수라장이 되었다. 물론 그에게도 재기..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파격적인 말론 브란도 르몽드 부고기사
르 몽드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유력 일간지다. 이 신문의 1면 톱기사에 등장하는 뉴스는 프랑스와 국제 정치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무게 있는 이슈들이다. 그리고 1면 톱기사에는 좀처럼 사진을 싣지 않고 언제나 시사만화를 고집한다. 르몽드는 일요일과 월요일의 합쇄본인 지난 4·5일 자 1면 톱기사에서 이 관행을 깨고 사진을 실었다. 바로 1일 세상을 떠난 미국 태생의 배우 말론 브랜도의 사진이었다. 1면 톱기사의 제목은 ‘비바 말론 브랜도(말론 브랜도 만세)’였다. 그 밑에 ‘전설적인 배우가 80세를 일기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세상을 떠났다’는 부제도 붙어 있었다. 르몽드는 “영화계가 위대한 배우 중 한 사람을 잃었다”는 문장으로 말론 브랜도의 부음 기사를 담담하고 간결한 문체로 써내려 나갔다. 1면..
인기 글
-
거미줄
반팡 - 쿠팡 반품 상품 검색 사이트
쿠팡의 반품 상품을 찾아준다. 구팡의 반품 상품을 검색해 주는 사이트. '합리적인 쇼핑'인지는 몰라도 재미있는 프로젝트이다. 아직은 초기이지만 알려지면 트래픽은 충분해 보인다. 알려지기만 한다면... 현재 수익은 쿠팡파트너스 활동뿐이지만, 광고 삽입도 가능하겠다. 반품 상품 보다 더 저렴한 상품, 또는 다른 반품몰의 상품을 같이 보여 준다면 소비자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이 사이트에서 결재 등을 엮는 것보다 쿠팡의 제품보다 더 저렴하거나 동일 가격의 신상품을 등록받아 같이 보여주면 소비자는 반품보다 신상품을 선택하지 않을까? 물론 이 부분에서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 쿠팡에서 반품상품만 검색해서 보여줍니다. 슬기롭고 합리적인 쇼핑으로 한푼이라도 아껴봅시다! 개발하게 된 이유 (외부용) 쿠..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봄비’ 부른 박인수, 78세로 별세…“한국 최초의 솔 가수”
美 입양돼 뉴욕서 솔 창법 접해…신중현에 발탁돼 가요계 데뷔지병으로 무대 떠났다가 복귀도…아내와 37년만 재결합해 화제 히트곡 ‘봄비’를 부른 원로 가수 박인수가 2025년 8월 18일 폐렴으로 별세했다. 향년 78세.고인의 유족은 연합뉴스에 “고인이 오랜 기간 알츠하이머 등을 앓아왔다”며 “서울 시내 한 대학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었고, 폐렴으로 건강이 악화해 오늘 오전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고인은 생전 ‘한국 최초의 솔(Soul) 가수’로 불리며 ‘봄비’를 비롯해 다수의 유명한 노래를 남겼지만, 그의 삶은 파란만장했다.1947년 평북 길주 출생인 고인은 한국전쟁 도중 어머니와 둘이 피란길에 올랐다가 열차에서 어머니의 손을 놓쳐 혼자가 됐다. 이후 고아원을 전전하다 미군 선교사의 도움을 받..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선댄스영화제로 독립영화의 꿈을 이루게 한 로버트 레드포드 별세
찰스 로버트 레드퍼드 주니어(Charles Robert Redford Jr), 1936년 8월 18일 ~ 2025년 9월 16일 영화 ‘내일을 향해 쏴라’로 스타덤 ‘스팅’ ‘추억’ 등서 활약한 ‘할리우드 전설’ 선댄스영화제 창립·환경운동도 펼쳐미국 할리우드 스타이자 영화감독, 제작자이며 선댄스영화제의 설립자인 로버트 레드퍼드가 별세했다. 향년 89.뉴욕타임스는 16일(현지시각) 레드퍼드가 유타주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이날 보도했다.젊은 시절 가장 미국적인 미남 배우로 사랑받았던 찰스 로버트 레드퍼드 주니어는 1936년 캘리포니아주에서 태어났다. 고교 시절 야구와 미술 등에 두각을 나타내며 뉴욕 프랫인스티튜트에서 무대미술을 공부한 뒤 미국 드라마 예술 아카데미에서 연기를 전공했다. 1960년대 브..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송재호, 그리움과 존경을 담아서 그를 생각하다
2024년 11월 7일, 많은 이들이 배우 고(故) 송재호의 4주기를 맞이해 그를 기억하며 추모의 마음을 전하고 있습니다. 국민에게 오랜 시간 사랑받아 온 배우 송재호는 2020년 숙환으로 세상을 떠났고, 그의 존재는 아직도 많은 이들의 마음속에 깊이 남아 있습니다.1. 이야기다채로운 연기 경력, 200편을 넘나든 대배우평안남도 출신의 송재호는 1959년 KBS 부산방송총국 성우로 연예계에 첫 발을 내디뎠습니다. 이후 영화 학사주점으로 영화배우의 길을 시작하며, 그의 연기 인생은 쉼 없이 펼쳐졌습니다. 1968년 KBS 특채 탤런트로 발탁된 후 드라마와 영화를 오가며 200편이 넘는 작품에 출연했습니다. 스크린에서는 영자의 전성시대, 살인의 추억, 해운대와 같은 다양한 작품으로 관객과 소통했으며, TV ..
-
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사나이, 아버지, 그리고 배우… 故 송재호 배우를 추모하며
그가 남긴 수많은 작품이 있는 한, 작별인사는 쉽게 끝나지 않을 것 같다.쉼 없이 긴 연극 같은 삶이었다. 막간을 둘 새도 없이 배역을 달리하며 무대 위의 성실함으로 삶을 채웠다. 60여 년의 배우 인생을 뒤로하고, 지난 11월 7일 배우 송재호가 영면했다. 향년 83살. 1년 가까이 지병으로 투병했지만 마지막은 평온했다고 전해진다. 에서는 베트남전쟁에서 돌아온 당대의 열혈 청년으로, 드라마 에서는 인자한 아버지로, 에서는 묵직한 기둥이었던 수사반장으로, 에서는 지고지순한 순애보를 간직한 노인으로 출연하며 송재호는 배역을 따라 나이 들었다.혹여 그의 이름을 기억하는 데 둔감했던 관객에게조차, 송재호의 푸근한 미소는 영화와 드라마 곳곳에 스며들어 미더운 약속처럼 기억된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한 영화인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