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쓰기 연습

(40)
애정남은 애매하다를 계속 사용해야 하나? 개그콘서트 애정남 최효종이 사용하고 있는 '애매하다'는 우리말이 아니다. 물론 우리말의 '애매하다'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전혀 다른 의미이다. 그 뜻은 '억울하다'의 의미를 가진다. 애정남이 사용하고 있는 '애매한' 것은 일본어 '애매(曖昧,あいまい)'이다. 우리는 '흐리멍텅하다, 흐리터분하다, 어정쩡하다'라거나 '모호(模糊)'라는 한자말을 쓴다. 더욱이 '애매모호'라는 중복된 말을 쓰는 것은 더욱 안 될 말이다. KBS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이하 ‘애정남’)은 이런 애매하지만 중요한 문제에 대해 명쾌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는다. ‘애정남’에 대한 환호는 비단 연인간의 문제에서 ‘애매모호한’ 문제를 처리해주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위는 개콘의 '애정남'..
이제 짜장면이라 불러도 된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국민 모두가 홍길동으로 만든 짜장면, 이제는 짜장면이라 불러도 된다. 25년만이다. (조선일보 이젠 짜장면이라 불러도 좋다… 25년 만에 표준어 복권 참조) 짜장면 이외에도 많은 단어가 표준어로 추가되었다. 지금까지 몰랐던 말중에 택견이 표준어가 아니것을 처음 알았다. 아래 표를 보면 지금까지 표준어로 알고 잇던 많은 단어들이 비표준어라는 것을 새삼 알게되었다. 택견, 품새, 짜장면, 간지럽히다, 남사스럽다, 등물, 맨날, 묫자리, 복숭아뼈, 세간살이, 쌉싸름하다, 토란대, 허접쓰레기, 흙담, ~길래, 개발새발, 나래, 내음, 누꼬리, 떨구다, 뜨락, 먹거리, 메꾸다, 손주, 어리숙하다, 연신, 휭하니, 걸리적거리다, 끄적거리다, 두리뭉실하다, 맨숭맨숭, 맹숭맹숭, 바둥바둥, 아웅다웅, 야멸차다, 오손도..
발바리 : 연관글 이어가기 누더기를 걸친 사람이 지나가면 발바리가 컹컹 짖어댄다. 그러나 이것은 꼭 개주인의 뜻이거나 주인이 시켜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발바리는 종종 그의 주인보다도 더 사납다. - 노신 느낌의 단편 中 + 어떤 관료 - 김남주 관료에게는 주인이 따로 없다! 봉급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다! 개에게 개밥을 주는 사람이 그 주인이듯 일제 말기에 그는 면서기로 채용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근면했기 때문이다 미군정 시기에 그는 군주사로 승진했다 남달리 매사에 정직했기 때문이다 자유당 시절에 그는 도청과장이 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성실했기 때문이다 공화당 시절에 그는 서기관이 되었다 남달리 매사에 공정했기 때문이다 민정당 시절에 그는 청백리상을 받았다 반평생을 국가에 충성하고 국민에게 봉사했기 때문이다 나는 확신하는 바이다 ..
촌지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마디 촌(寸)과 뜻 지(志)로 이우어진 일본식 한자어이다. 직역하면 손가락 한마디만한 뜻이다. 달리 말하면 아주 작은 정성 록은 마음의 표시라는 뜻이다. 작은 정성, 마음의 표시, 작은 뜻 등의 우리말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사전에서 지금은 사용되고 있지 않는 말이라는 것이 보고 싶다. 촌지(寸志) 1 . [같은 말] 촌심(寸心)(1. 속으로 품은 작은 뜻). 2 . 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비슷한 말] 촌의(寸意)ㆍ촌정(寸情). 3 . 정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주는 돈. 흔히 선생이나 기자에게 주는 것을 이른다. 그 기자는 촌지를 받긴 했지만 나중에 조용히 되돌려 주었다. 나는 받아서 모아만 놓고 아직 어떻게 쓸지를 모르고 있는 촌지를 꺼내서 그 총액을 셈해 보기 시작했다.출처 : 박완서,..
삼겹살은 돼지고기이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돼지고기를 제육이라고도 하지만 돼지고기로 바꾸어 말해야 한다. 제육볶음은 돼지볶음으로 제육갈비라 잘 말하지 않지만 돼지갈비로 불러야 한다. 또한 삼겹살은 '돼지 갈비에 붙은 살'이다. 돼지 삼겹살이 아니고 삼겹살이다. 삼겹살 돼지의 갈비에 붙어 있는 살. 비계와 살이 세 겹으로 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고기이다. 덧붙임_ 알 만한 사람들이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1234가지 - 권오운 지음/문학수첩 by 행간을 노닐다
발자국은 소리를 내지 않는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발자욱, 발자죽 등의 방언과 혼동하는 발자국은 발로 밟은 곳에 남아 있는 자국, 족적이다. 짐승의 그것은 자귀이다. 그리고 많이 쓰는 표햔 중에 하나가 '발자국소리'이다. 하지만 자국(흔적)이 어찌 소리를 낸단 말인가. 당연히 발소리나 발걸음소리여야 한다. 발자취에는 '발로 밟고 지나갈 때 남는 흔적. 또는 그때 나는 소리'라는 의미가 있으나 '지나온 과거의 이력'아른 뜻으로 더 많이 알려져 혼돈의 우려가 있다. 발자국[발짜국] 1.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 2.발을 한 번 떼어 놓는 걸음을 세는 단위. 1.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 [비슷한 말] 자국1. 짐승의 발자국 깨끗한 벽이 발자국으로 더럽혀졌다. 사냥꾼은 노루의 발자국을 따라 노루를 추격해 갔다. 예문보기 깊은 밤 골목길은 사람의 발자..
멍게 와 우렁쉥이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표준어는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다. 단어는 퇴출되기도 하고 표준어로 지정되기도 한다. 한데 방언에 대한 두 가지 기준이 있다. 어느 것을 적용할지는 보는 이에 따라 다른다. 1)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 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 2)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이 경우 원래의 표준어는 그대로 표준어로 남겨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빈자떡 → 빈대떡, 생안손 →생인손, 귓머리 →귀밑머리 등이 1)의 경우에 해당된다. 한데 멍게와 우렁쉥이는 나란히 표준어로 남아있다. 표준어였던 우렁쉥이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방개와 선두리도 같은 경우이다. 잘 쓰이지 않는 말을 표준어로 ..
굴삭기가 아니라 굴착기이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본디 일본에서 자기들의 상용한자에 착(鑿)자가 없어 대신 쓰게 된 삭(削)을 대용하여 사용하여 굴삭이 되었다. 우리는 굴삭으로 아직도 사용하고 있다. 헉 구글에서 굴착기를 검색하면 오타라고 인식하여 굴삭기를 알려준다. 검색 결과도 굴착기는 약 574,000개이고 굴삭기는 약 6,290,000개이다. 잘못쓰고 있는 굴삭기가 11배나 많이 쓰이고 있다. 한데 국립국어연구원이라는 곳에서 굴삭기가 일본어 투 용어인데 굴착기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는 것은 뭘 의미할까?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라는 것인가? 굴착-기掘鑿機[발음 : 굴착끼] 1 .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비슷한 말] 굴삭기. 2 . 토사, 암석 따위를 채굴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소갈비구이에는 갈비가 없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소갈비란 소의 갈비이다. 표준말은 소갈비 또는 쇠갈비이다. 하지만 소갈비구이는 소의 갈비 구이가 아니다. "고기 없이 채소만으로 갈비구이처럼 만든 음식"을 가리킨다. 소갈비구이에는 갈비가 없다. 구글에서 소갈비구이를 검색하면 약 709,000개, 쇠갈비구이는 약 39,500개가 검색된다. 소갈비구이가 18배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명중에 1명만 제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다. 19명 중에 나도 포함된다. 소와 곤련된 대부분의 합성명사의 접두사는 소와 쇠이다. 쇠(소)가죽, 쇠(소)간, 쇠(소)똥, 쇠(소)뿔, 쇠(소)털 등이 있다. 그런데 쇠~가 붙으면 안 되고, 반드시 소~가 붙어야 표준어가 되는 말이 몇 있다. 소달구지, 소도둑, 소몰이, 소바리(소의 등에 짐을 실어 나르는 일), 소싸움(소쌈) 등..
깡통 불놀이는 쥐불놀이가 아니다 : 잘못 쓰고 있는 우리말 쥐불놓이(쥐불놀이)는 우리 전통 민속놀이이다. '농가에서 음력 정월의 첫 자일(子日)에 쥐를 쫒는다고 하여 논두렁이나 밭둑에 놓는불' 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청년들이 동네별로 편을 나누어 둑에 불을 놓고 먼저 끄기를 겨루었던(이긴 동네 쥐가 진 동네로 모조리 몰려간다고 믿기에) 전통 민속놀이'가 쥐불놓이의 사전적 의미이다. 깡통이 일반화 된것은 한국전쟁이후 일 것이다. 깡통 불놀이는 그 이후에 시작되었을터인데 전통 민속놀이로 깡통 불놀이를 쥐불놓이로 설명하는 것은 말이 되지않는다. 국립국어연구원의 쥐불놀이의 설명을 보면 친절하게도 깡통 불놀이의 사진까지 첨부해 놓았다. 쥐불놓이(쥐불놀이)와 깡통 불놀이는 다른 것이다. 물론 시대가 변하여 전통도 현대화를 할 수 있다고 말 할 수도 있지만 깡통은 아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