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왜 위기에 빠지는가 (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1년 12월 1주 - 새로 나온 책 글을 아는 새로운 인민이 개화기에만 있있던 것은 아닐진데 비약이 아닐까. 방영하고 있는 "뿌리깊은 나무"의 내용과 통한다. 글을 반포하고 500년후에야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가 어렵다. 책을 봐야겠다. * 성리학을 기반으로 500여 년간 강력한 통치 체제를 유지했던 조선이 무너진 이유를 분석한다. 송 교수는 글자를 읽고 쓸 줄 아는 ’새로운 인민’의 출현에서 조선이 무너지게 된 근본 원인을 찾는다. ’인민은 통치의 객체이자 교화의 대상’이라는 조선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명제가 유효성을 상실하고, 인민이 역사의 객체에서 주체가 되는 순간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는 것이다. 수동적인 객체였던 인민이 동학농민운동 등을 통해 정치 영역으로 나오고, 신분사회의 기초를 무너뜨리는 ’평등 의식’이 싹트..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