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정일

(27)
독서에도 습관의 때가 묻는다 : 장정일의 독서일기 4 좋은 책을 읽는 방법은 먼저 나쁜 책을 읽지 않는 것이라 한다. 그러나 그것을 알고 행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독서에도 습관의 때가 묻는다. 다음에는 더 좋은 책을, 방긋방긋 웃으며 읽고 싶다. 뭐가 나쁜 책인지 알아야 읽지 않을 수 있을 터인데 그것은 오로지 많이 읽는 수밖에는 없다는 말인가. 장정일의 말처럼 "알고 행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말이다. 며칠 전 을 읽었다. 많은 세상에 나오지 않은 책을 내가 세상에 꺼내 놓았다. 이번 4권에서는 몇 권 되지 않는다. 소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건너 띄고 읽었다. 지금껏 7권까지 나왔는데 (다른 이름까지 포함한다면 9권, 를 포함하면 10권이다) 번호를 채우지 못한 것을 구매해 모두 읽으려 한다. 읽으려 하니 구해진다. 인터넷 중고책방에서 배송비만 추가..
인민人民이 책을 읽지 않으면 우중愚衆이 된다 : 장정일의 독서일기 6 장정일을 읽을 때마다 그의 다독과 박식함에 부럽고 우울해진다. 이제 그것을 넘어설 때도 되었건만 부러움에 대한 시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장정일은 언제나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그처럼 책을 다독하지도 못하며 또한 자유분방하지도 못하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생각의 자유로움을 책장 너머로 볼 수 있는 책이다." 예전 장정일의 을 읽고 쓴 대목이다. 이 책도 그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아직도 장정일의 자유분방함을 따르지 못하고 있다. 민주사회란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하는 사회이다. 그래서 시민이란 타인의 의견과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과 다른 의견을 존중하고 그것과 함께 사는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요즘 이렇게 말하고 다닌다. 그래서 나는 요즘 이렇게 말하고 다닌다. 시민을 책을 읽는 사람이..
통조림처럼 유통, 소비되는 인문학 : 불온한 인문학 언젠가부터 인문학이라는 이름이 이곳 저곳 나온다. 인문학을 모르면 안그래도 무식한 인간이 더 무지한 인간으로 취급받는 세상이 되었다. 여기에 자기계발서가 독자를 기만하면서 교묘하게 인문학으로 위장하여 팔리고 있다. 여기에는 유통업체 문화센타들, 대기업 CEO 조찬 XXX도 한 몫 단단히 하고 있다. 그곳에는 소위 인문학을 했다는 먹물들이 앞장서 소비를 유통시키고 있다. 당연히 인간이 배제된 인문학이 소비되고 있다. 수유+너머에서 분화된 수유너머N의 새로운 인문학을 위한 선언서(?) 정도가 되는 책이다. 인문학과 싸우는 인문학 "불온한 인문학"이다. 인문학 열풍에 대한 비판서이다. 왜 인문학이 체제순응적이어야 하는가. 인문학이 과잉 소비되어 다시 인문학의 위기라 한다. 수유+너머는 인문학의 최대 수혜자라 ..
더 리더 : 그 이면을 다시 읽다 장정일의 책을 읽으며 다시금 를 다시 생각하다. 소설을 가지고 현실에 빗대어 말하는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장정일이 외설의 절대적인 피해자임을 그는 말하지 않지만 근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왜 나만 외설이냐'고 말하는 듯하다. 외설의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독자만 판단할 뿐이다. 장정일의 글을 읽고 다시 생각해 본 몇 가지. 물론 몇 가지는 처음부터 의구심을 가진 내용이지만 이번에 다시금 생각해본다. 왜 여주인공 한나 슈미츠는 문맹인가? 왜 연상(여자)연하(소년) 커플인가? 왜 섹스를 하였는가? 왜 고전을 읽어주었는가? 왜 자살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는가? 는 작년에 읽었다. 내가 읽은 것은 글자를 읽은 것에 불과한 것이 아닌지 그 내용의 근간이 무엇인지 고민한 흔적이 없다. 소설을 고민하면서 읽어야 하..
책을 파고들수록 현실로 돌아온다 :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장정일은 읽을 때마다 우울하게 만든다. 1년 전에도 그랬고 더 오래전에도 그랬다. 지금도 그러하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1년 전 장정일에 대한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장정일은 언제나 나를 우울하게 만든다. 그처럼 책을 다독하지도 못하며 또한 자유분방하지도 못하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생각의 자유로움을 책장 너머로 볼 수 있는 책이다." (시기, 질투, 부러움 그리고 아쉬움) [읽을 책]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 장정일이라는 포스팅을 올린 것이 2010년 9월이다. 거의 8개월 만에 장정일을 손에 잡았다. 책을 구매하려 하였으나 차일피일 미루다 도서관에서 빌려보았다. 하지만 구매를 하여야 한다. 꼭 필요한 책은 아니지만 간간이 읽어보면 책 읽기와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기 때문이..
기형도와 장정일 그리고 김훈의 짧은 여행의 기록 얼마전 김훈의 을 읽으며 기형도를 보았습니다. 김훈은 "기형도는 내 친구"라 했습니다. 또한 그와는 "큰 인쇄업종에 근무하는 동직자"이기도 합니다. 1989년 봄, 기형도가 죽었을때 김훈은 그를 추모하는 글을 남겼습니다. "그래, 그곳에도 누런 해가 뜨더냐. 다시는 돌아오지 말아라" 이러한 계기로 기형도를 다시 꺼내 들었습니다. 또한 그의 글에서 장정일을 보았습니다. 참으로 기이한 인연입니다. 기형도와 장정일, 연관이 잘 되지 않습니다. 기형도는 장정일을 '소년장정일'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참 재미있습니다. 지금은 절판이지만 에는 같은 제목으로 여행기가 있습니다. 그중 대구에서의 장정일과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 대구로 가기로 했다. 그곳에는 장정일이라는 이상한 소년이 살고 있다. (...
[읽을책]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 장정일 장정일의 독서일기8에 해당하는 이 나왔습니다. 중요하게는 자기 안에 동기가 마련되지 않은 독서는 다 읽고 나서도 남는 게 없습니다. 어떤 책을 읽기 전에 ‘내가 왜 이 책을 읽는지’에 대한 세 개 이상의 이유를 먼저 떠올려보기를 권합니다. (15쪽) "내가 왜 이 책을 읽는지."라는 글로 책은 시작됩니다. 이 같은 물음은 저를 비롯한 누구에게나 주어진 물음이자 풀어야 할, 하지만 풀지 못하는 숙제와도 같습니다. 장정일은 "세 개 이상의 이유를 먼저 떠올려보기"를 권합니다. "동기가 마련되지 않은 독서는 다 읽고 나서도 남는 게 없"다고 말도 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참 단순한 질문이지만 아직도 풀지 못하고 있는 숙제입니다. 이 책으로 그 숙제가 풀릴 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단지 그 물음을 다시 한번..
또 하나의 통일이 '사용되는' 통일세 통일세를 바라보며 또 하나의 통일이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 통일보다 중요한 것은 누구에게 사용되는('하는'이 아니고 '되는'이다)가다. ... 분단을 사용해온 세력에게 통일마저 사용하게 한다면 더 이상 이 민족에겐 미래는 없다. 우리는 오직 한 가지 통일만을 지지한다. 장정일의 통일에 대한 글이 아직도 유효한 것이 부끄럽다. 하지만 앞으로 한참 더 유효할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불안하고 우울해진다. 그의 말처럼 우리에겐 (우리 민족이라 해야하나) 미래가 있는 것인가? 부도위기에 있는 국민연금을 대신하려는 것일까? 또 하나의 정크펀드를 만드는 것은 아닐까? 앞이 보이지 않는 민족의 미래가 우울하게 만든다. 덧붙임_ ( )에 적은 글은 원저자의 글이 아닌 글쓴이가 부언한 글이다. 2009-08-17 보고..
아침형 인간도 있고 밤샘형 인간도 있다 사회가 아침형 인간을 원한다. 나도 아침형 인간에 좀 가까이 가려고 노력 중이다. 아침형 인간이라는 책(오디오 북이지만)도 읽고 고민도 많이 했다. 하지만 잘 안된다. 아침형 인간이 되라는 요지는 간단하다. 아침에 일찍 행동하는 것이 몇 천년 이루어진 몸의 체질상 아침형 인간이 맞다.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자는 것이 모든 생물의 이치다. 모든 생물이 이치라는 것인데 야행성도 존재하거늘 아침형 인간만을 원한다. 그 틀에 맞지 않으면 게으름으로 치부한다. (물론 얼마나 노력을 했느냐에 달려있지만) 노력을 해도 안되는 것은 안된다. 이러한 고민이 나만이 하는 것은 아니었음을 알았다. * 많은 일반적인 아침형 인간 (이라기 보다는 그저 사회에 순응하는 일반적인간들) 이 아침형 인간을 원한다. 그것은 오..
밥벌이를 위한 영화평론을 보고 기죽지 말자 영화 리뷰를 포스팅 한 지가 오래되었다. 한동안 다른 여러가지 일로 정신이 없어 영화를 보지 못하였다. 그렇다고 아예 영화를 보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리뷰를 적지 못하였다. 이유는 허접한 리뷰를 한동안 적었지만 다시 읽어보면 부끄러움에 글을 읽을 수 없을 지경이다. 소위 영화평론이라 하는 글을 많이 읽고 많이 느꼈다. 많이 읽을수록 영화에 대한 글을 쓰기가 더욱 더 어려워졌다. 밥벌이로 하는 사람들의 글이니 당연히 나와는 차이가 나겠지. 차이가 나니 그들이 밥을 먹고 사는 것 이겠지. (물론 전부 다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이렇게 생각하고 그들의 글을 읽어 왔다. 일전에 읽은 장정일의 에서 그의 영화평론에 대한 글을 읽었다. 아, 무릎을 탁하고 쳤다. 그들의 글이 나와는 다를 수 밖에 없는 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