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향기로운 시와 소설

너무 쉽게 잊혀져 가는 김성동

반응형


홍대근처에 갔다가 <만다라>초판본을 보았다. (얼마전 다시 가보았더니 없었다. 아쉽다.)

고등학교때 이 책을 처음으로 읽었다. 한참동안 읽은 기억이 난다. 집에 와서 책을 찾아보니 없다. 어디갔을까? 다음에 가면 사야겠다.

책의 내용은 잘 기억은 나지 않지만 누워있는 창녀의 벗은 몸을 보고 "... 낡은 칫솔처럼 생긴 음모가 짓밟힌 풀잎처럼 ..."이런 귀절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마지막에 있는 그녀들의 가장 치부이자 생활 수단을 이러히게 비유한다니, 고등학생인 나에게는 커다란 충격이었다. 그래서 다른 부분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 부분은 머리에 새겨져있다.

안성기와 전무송이 열연한 영화로도 유명하다. 임권택감독의 초기 작품으로 기억에 남는다. 한데 가물가물(매사가 그렇다)하다. 다시 봐야겠다. 지금 다시 보아도 그때의 그 감정이 남아있을까?

"병 속의 새"는 어떻게 되었을까? 세상속으로 간 법운(소설 속의 나)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김성동과 같이 파계하고 작가가 되었을까? "비워내지 않고서는 채울 수가 없다."는 저자의 말처럼 병 속의 새를 마음에서 비웠을까?

만다라

<만다라> - 솔뫼 김성로 화백


얼마전 김성동과 김성종을 구분 못하는 국문과교수라는 포스트를 썼다. 한심한(?) 국문과 교수[각주:1]를 말했다. 하지만 사태의 해결에 대한 문학과지성사는 아무런 대응이 없다.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인가?

(나중에 트위터로 물어보았더니 잘 해결되었다는 말을 들었다. 어떻게 잘 해결되었는지 내용의 전말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문지의 처사(?)보다도 학자(요새 대학교수 보고 학자라고 부르진 않는다. 그냥 밥벌이를 하는 직업인이다. 물론 전부 다가 그런 것은 아니다. 내가 아는 몇몇 만 그럴것이라 굳게 믿는다.)적 양식이라고는 추호도 없는 그가 더욱 더 궁금하다.

평생을 글로 살아온 작가 김성동에게는 치명적인 것이다. 더불어 작가 김성종에게도 마찬가지다.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하다. (지금은) 출판권력의 하나인 문학과 지성이 작가를 무시하는 행동은 옳지않다. 또한 이렇게 쉽게 잊혀져 가는 것이 너무 무섭다.

덧붙임_




  1. 아직도 근무하나. 국문과출신이 귀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인가 보다. 그 대학 총장은 아무것도 모르나. [본문으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