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게 이름을 지을 때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네 가지 요소를 알려준다. ‘가게’를 ‘회사’ 또는 ‘나’로 바꾸어 생각해 보라. 내가 필요한 내용을 설명하는 책에서 보다 다른 유형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게 독서의 묘미가 아니겠는가.
1. 우리 가게는 ‘무엇을’ 파는가.
가게 이름을 짓기 전에 무엇을 팔 것인지 ‘규정’해야 한다. 이것이 가게의 정체성이다. 아이템에 따라 가게 이름이 정해지고 주 아이템이 대표 얼굴이며 자부심의 표현이다.
: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무엇을 하고 싶은 회사인지 자신을 규정하라.
2. 우리 가게의 ‘위치, 주변 환경, 공간의 크기’는 어떠한가.
가게의 위치나 주변 환경은 참 중요하다. 가게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 SWOT 분석하라. 나의 강점, 약점 그리고 현재 위치를 파악하라. 어디에서 시작할지 알 수 있다.
3. 누구를 ‘대상’으로 팔고 싶은가.
가게 이름에 핵심 고객의 언어 성향이나 스타일 등을 반영하면 고객이 어떤 가게인지 파악하기 쉽고, 그 자체로 홍보가 시작된다.
: 타켓팅하라. 모든 사람이 다 좋아하게 만들 수 없다. 특정 부류를 고객으로 삼아라.
4. 우리 가게만의 독특한 ‘콘셉트’는 무엇인가.
비슷비슷한 가게는 많다. 스토리가 흥미롭다면 가게 이름에 활용할 수 있고, 인테리어도 반영할 수 있다. 다른 가게와 차별화하는 출발점이다.
: 콘셉트가 무엇인가? 콘셉트를 이끌어 줄 스토리는 있는가. 없다면 스토리를 만들어라. 그것으로 다시 콘셉트화 하라.
“이 책을 읽고 난 뒤 가게 이름을 스케치해보면 많은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기 보다 이 책에 나와 있지 않은 다른 유형, 콘셉트를 찾는 게 좋을 듯하다. 책이란 새로운 것을 알려주는 게 아니라 이미 나와 있는 유형을 패턴화, 카테고리화 해서 보여줄 뿐이다. 참조는 하되, 활용은 하지 마라.
![]() | 대박 나는 가게 이름 |
'行間 > 밥 먹여주는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 생존 전략 5가지 (0) | 2021.05.24 |
---|---|
콘셉트의 절반은 자기규정이다 :《무인양품은 왜 싸지도 않은데 잘 팔리는가》 (0) | 2015.08.25 |
정말 심플함을 원할까? : 《심플은 정답이 아니다》 (0) | 2015.02.22 |
2015년은 불확실성 속에서도 생존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2015 KOTRA 세계 경제 전망》 (0) | 2014.12.10 |
잘 되는 가게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장사의 신》 (0) | 201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