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내 인생에서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었다니까 - 부고기사



최근 출간된 ‘부고의 사회학’(이완수 지음 · 시간의 물레)은 일간지 부고 기사에 담긴 사회적 가치관과 권력관계를 분석했다. 짧으면 몇 줄, 길어 봐야 200자 원고지 몇 장에 한 사람의 인생을 어떻게 모두 담을까. 고인이 저승에서 편지를 쓸 수 있다면 기자의 메일함은 이런 내용으로 가득할 것 같다. “내 인생에서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었다니까!”

최근 재개봉한 영화 ‘클로저’의 댄(주드 로)과 앨리스(내털리 포트먼).

“부장인 해리가 사망자를 알려주면… 내일 판 교정지를 보며 마지막 수정을 해요. ‘완곡어법’을 써가면서. 알코올중독자는 ‘풍류를 즐길 줄 알았다’, 게이는 ‘개인 생활에 충실했다’, 튀는 게이한테는 ‘사생활을 만끽했다’….”

지난달 재개봉한 영화 ‘클로저’에서 신문사에서 부고 기사를 쓰는 주인공 댄(주드 로)이 앨리스(내털리 포트먼)에게 자기를 소개하는 부분이다. 국내 언론도 부고 기사에서는 고인이나 유족이 불편하게 느낄 수 있는 대목은 완곡하게 쓰는 게 보통이다. 고인을 죽음에 이르게 한 질병 명칭을 쓰지 않고 ‘노환(老患)’ ‘숙환(宿患)’이라고 쓰는 것도 그 예다.

 

 

부고의 사회학 (한국 죽음기사의 의미구성) - 이완수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이처럼 ‘생물학적 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그러나 ‘사회학적 죽음’은 다르다. 죽음에 대한 미디어의 구성체계는 불공평하고 불합리하다. 사람은 누구나 죽는

maggot.prhouse.net

 

 

[종이비행기]내 인생에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었다니까!

“부장인 해리가 사망자를 알려주면…내일 판 교정지를 보며 마지막 수정을 해요. ‘완곡어법’을 써가면서. 알코올중독자는 ‘풍류를 즐길 줄 알았다’, 게이는 ‘개인 생활에 충실했다’, 튀

www.donga.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