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인간이 되기 위한 인문

고양금정굴 학살사건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위원회



반응형

 

 

 

 

과거사 - 고양 금정굴 사건

 

1993년 9월 25일 오후 2시경 경기 고양시 탄현동 고봉산 기슭에서 금정굴양민희생자유족회와 진상규명위원회 회원, 고 백기완 선생, 제정구 국회의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43주기(1회) 금정굴양민희생자위령제가 열렸다.

위령제에 참석한 유족들은 “1950년 9·28수복 후 조직된 치안대와 경찰, 그에 더해 인민군들에게 가족을 희생당한 일부 주민이 합세해 인민군 점령 기간의 좌익 활동자와 부역자 및 그들의 가족들을 떼죽음시켰다”며 “이들 희생자의 주검은 대부분 이곳 금정굴에 묻혔다”고 증언했다. 금정굴은 일제 말기에 금광 개발을 위해 50m 깊이로 뚫어놓고 방치한 굴인데 당시에는 흙으로 입구가 메워져 움푹 팬 구덩이만 남아 있었다.

 

첫 위령제가 열리고 2년 뒤인 1995년 9월 24일 45주기(3차) 합동위령제와 함께 유해발굴 작업이 진행되었다. 발굴을 시작해 9월 28일까지 5m 정도 파 내려갔으나 아직 유골은 출토되지 않았다. 유족들 손에서 손으로 흙을 퍼 나르다가 굴이 깊어지면서 입구에 가로 걸친 통나무에 합판을 올리고 그 위에서 마대에 담긴 흙을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작업을 했다. 자칫 안전사고가 날 위험도 있었다.

그런데 더 큰 난관은 따로 있었다. 발굴 이튿날 고양시청 녹지과 공익요원들에 의해 발굴 장비를 빼앗기고 작업을 중지당한 것이다. 유족들은 굴하지 않고 장비를 구해 다음 날부터 발굴을 재개했다. 9월 29일, 조금씩 유골이 나오기 시작하자 MBC 등 언론이 다투어 보도했다. 이튿날인 9월 30일에 희생자의 것으로 보이는 두개골 조각과 정강이뼈 등 유골과 머리카락, 신발 등 유품 70여 점이 발굴되었다. 이와 함께 몸을 묶은 것으로 보이는 전선줄과 총알 탄피 23점도 함께 발굴되었다. 비로소 금정굴 사건이 실제로 확인되는 순간이었다. 사건이 일어난 지 45년 만이었다.

 

 

 

빨갱이 낙인 무서워 아무도 유해 근처에 안가려 해, 유족회장 마임순씨

2011년 9월 24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설문동의 봉안시설 청아공원에 들어선 마임순(64) 고양금정굴유족회 회장은 흐르는 눈물을 가누지 못했다. 가슴속에서는 ‘그동안 헛고생한 것은 아니었다

maggot.prhouse.net

 

 

 

금정굴 진상규명 이끈 마임순 전 회장 별세 향년 73세

마임순, ~ 2025년 9월 16일, 향년 73세 ‘금정굴 진상규명’ 이끈 마임순 전 회장 별세 ‘빨갱이 시댁 며느리’에서 인권운동가로 1993년 유족회 결성, 30년간 진실규명 앞장 금정굴 학살 국가 불법

maggot.prhouse.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