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고마저 재미없다면, 죽는 데 무슨 낙이 있을까?



반응형



웨스 앤더슨의 기이한 가족영화 『로얄 테넌바움』(2001) 마지막 장면에서, 심장발작으로 세상을 떠난 로얄 테넌바움의 묘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침몰 직전의 전함에서 가족을 구출하려다 비극적으로 전사하다, 로얄 테넌바움(1932~2001).”

시대로 보나 그의 성정으로 보나 말이 안 되는 문구다. 콩가루 가족이 ‘죽은 사람 소원도 들어준다’는 말처럼 그의 유언을 쿨하게 들어준 것이다. 새빨간 거짓말이지만, 그 거짓말은 그의 허영심과 가족을 꾸리는 일에 대한 생전의 실패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적절한 부고다.

월스트리트저널 부고 담당기자가 쓴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는 자신의 부고를 직접 써보라고 제안한다. 물론 로얄 테넌바움처럼 진솔한 거짓말을 쓰라는 뜻은 아니다. 다만 저자는 “인생 최대의 실수는 무엇인가?”, “사람들에게 오해받는 점이 있는가?” 같은 부정적인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야 한다고 말한다. 밥 한 끼 얻어먹지 않은 사람이라도 부고에는 덕담 한 줄쯤 걸치려는 게 인지상정이지만, 자신의 실수나 실패를 냉정하게 들여다보기는 쉽지 않다. 남 앞에서 쉽게 말할 수 있는 실수란 ‘그때 집을 샀어야 하는데’ 정도다. 그러나 부고에 “아파트값이 오르기 전에 집을 사지 않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질렀다”고 쓸 수는 없다.

이 조언은 요즘 내가 맞닥뜨린 고민과 닮아 있다. 중년에 이르러 나이듦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쓰지만, 과연 나는 51살의 나 자신을 얼마나 정직하게 바라보고 있을까. 불안은 줄지 않고, 선택은 여전히 어렵다. 인생에 하나의 답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질색이지만, ‘우물쭈물하다가 이 꼴 날 줄 알았지’로 알려진 버나드 쇼의 묘비명은 묘하게 내 것이 될 것 같다.

나 자신에게 정직해진다는 것, 내 실수와 어리석음, 부끄러움을 직시한다는 건 사형수를 무죄로 이끄는 증언보다 어렵다. 회피하고 싶기도 하다. 대부분 사람은 남 탓하며 평화롭게 생을 마친다. 하지만 삶이 어떤 미로에 갇혀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불안이 든다면, 그 미로를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결국 내 안의 어둡고 깊은 우물을 들여다봐야 한다.

최근 읽은 최현숙 작가의 『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를 찾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그는 『작별 일기』에서 치매에 걸린 엄마의 마지막 3년을 기록했듯, 이번엔 그 시선을 자기 자신에게 돌린다. 어린 시절 엄마의 일수놀이 심부름을 하며 생긴 도벽, 친구 돈을 훔치다 들켜야 했던 ‘망신의 시절’, 사춘기 때 액취증으로 겪은 수치와 모멸감을 그는 숨김없이 써내려간다. 그리고 이렇게 적는다.

“우선 나부터 좀 후련해지기 위해서고, 까발려야 제대로 통과하기 때문이며, 내 사례를 통해 처한 수렁과 두려움에서 직립하자는 제안을 하고 싶어서다.”

까발려야 제대로 통과한다. 혹독한 이십대를 겪지 않았더라도, 인생의 단계를 통과해 제대로 된 부고를 쓰려면 결국 스스로를 까발려야 한다. 물론 그건 남에게 내 수치심을 드러내라는 뜻이 아니다. 나이 들어 인생의 참의미를 찾기 전에, 나의 치사함과 졸렬함, 속물성을 먼저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그래야 지금의 고인 물을 통과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괜찮은 부고를 남긴다는 건 결국 자기 자신에게 정직해지는 일이다.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의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부고마저 재미없다면, 죽는 데 무슨 낙이 있을까?”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 - 제임스 해거티

‘Yours Truly(그럼 이만 안녕히 계세요)’. 세상을 떠나는 사람이 남은 이에게 보내는 마지막 인사다.부고는고인이 살아온 이력을 요약하면서도 고인과 삶을 가장 잘 드러내는 이야깃거리를 풍성

maggot.prhouse.net

 

 

[김은형의 너도 늙는다] 재미있는 부고를 쓰기 위하여

김은형 | 문화부 선임기자 웨스 앤더슨의 기이한 가족영화 ‘로얄 테넌바움’(2001) 마지막 장면에서 심장발작으로 세상을 떠난 로얄 테넌바움의 묘비는 이렇게 새겨졌다. ‘침몰 직전의 전함에

www.hani.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