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4)
양면시장과 카탈리스트 양면시장(Two-sided market)이란양면시장(Two-sided market)이란, 두 개의 상호 의존적인 사용자 그룹을 연결하여 각 사용자 그룹이 상대방 그룹으로부터 가치를 얻는 경제적 시장 구조를 말합니다. 이런 시장에서는 중개자 역할을 하는 플랫폼이 각 그룹의 사용자들을 연결해 주고, 플랫폼의 가치가 양쪽 그룹의 사용자 수에 따라 증가하는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합니다.예를 들어, 전통적인 신용카드 네트워크(비자, 마스터카드 등)에서는 소비자와 가맹점이라는 두 그룹이 있습니다. 소비자가 많아질수록 가맹점도 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동기가 생기고, 가맹점이 많아질수록 소비자들이 이 카드를 더 사용하게 됩니다. 이처럼 두 그룹이 서로의 존재로부터 가치를 얻는 구조가 양면시장의 특징입니다.또한 디지털 플랫..
치마 길이가 짧아진다 이번 뉴욕 패션 위크에 출품한 의상 가운데 80%는 지난해(2011년)보다 스커트와 드레스의 길이가 짧아졌다. 올해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는 '치마길이 이론(skirt-length theory)'이라고도 알려진 '헴라인 지수(Hemline Index)'에 근거해서다. 이 지수는 지난 1926년 경제학자인 조지 테일러가 주장한 것으로 경기가 좋을 때 여성이 실크 스타킹을 보여주기 위해 치마를 짧게 입고 경기가 나쁠 때는 스타킹을 살 돈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마를 길게 입는다.이 예측이 맞다면 디자이너들이 경제학자보다 더 필요한 세상이다. '치마길이 이론'은 지난 결과를 평가한 것이다. 경기가 좋아진다면 좋은 일이다. 스커트 길이가 짧아졌으니 경기가 좋아질거라 예측한다. 대중들은 그 예측을 믿고..
다시 써야 할 경제이론 8가지 ‘안 맞는 희소성 법칙’‘고용없는 성장’‘동반상승의 금리·주가’ 학자들도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경제이론과 상식 최근 크게 늘어 경제가 이론과 상식대로만 움직여 주면 얼마나 좋을까. 예측이 가능할 것이고, 정책을 세우기도 수월할 것이다. 기업하기도, 투자하기도 쉬울 것이다. 하지만 현실 경제는 그렇지 못하다. 아예 경제교과서를 비웃기도 한다. 최근에 부쩍 이런 일이 많아지고 있다. 따지고 들어가면 이론이 완전히 틀렸다고만 볼 수는 없다. 경제라는 것이 워낙 변수가 많아 경제학 원론으로는 다 설명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다양한 경제 이상현상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 경제이론도 분명 있다. 하지만 원론 수준만 알고 여기서 파생된 다양한 이론은 접하지 않은 일반인들이라면 ‘경제학의 기본 원론’을 상식으로 여긴..
2006년 10대 해외트랜드 삼성경제연 '2006년 10대 트렌드' 아시아가 뜬다 : 미국 언제까지 미국인가? 세계경제의 불안요인 여전 미국이 아시아의 영향으로 기침을 하니 그옆의 나라는 감기에 걸려 꼼짝을 못한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