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질문커뮤니티

(5)
질문은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이다 - 질문커뮤니티 질문은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이다. 뛰어난 철학자는 예외 없이 ‘왜’를 알고 추구하는 것, 즉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서 자신이 뜻하고 추구하는 진리를 찾아 나섰다. 이것은 공부에서도 마찬가지다. 《근사록》에 “배운다는 것은 의문을 풀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자신이 가진 의문을 없애고, 그다음 의문이 없는 곳에서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이 배움의 진전이다”고 실려 있다. 공부의 진정한 가치가 의문을 갖고, 질문을 통해 그 의문을 풀어가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조윤제, 『말공부』) '왜?'라는 질문은 어떠한 결과에 대한 질문이라기보다는 결과를 얻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해야 한다. 원래 사고력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성호, 『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
창의력과 창의성에 대하여 - 질문커뮤니티 아이도, 창업가도 필요한 두 가지 힘아이 하나가 종이컵을 들고 와서 말한다.“이걸로 로봇을 만들어볼까?”이 짧은 말엔 두 가지 힘이 들어 있다.하나는 ‘새로운 걸 떠올리는 힘’,또 하나는 ‘그걸 진짜로 해보려는 마음’이다.우리는 이걸 각각 창의력과 창의성이라고 부른다.창의력: 아직 세상에 없는 걸 떠올리는 힘창의력은 머릿속에서 전혀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는 능력이다.예를 들면 이런 말이 그렇다.- 자동차가 하늘을 날면 어때?- 이 문제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풀 순 없을까?- 나무가 말을 한다면 무슨 말을 할까?이런 상상은 우리를 새로운 방향으로 데려간다.창의력은 그 시작점이다.창의성: 상상을 꺼내어 실현하는 능력창의성은 머릿속에서 끝나지 않고, 직접 만들어보고 표현하는 능력이다.예를 들어,- 날개 달린..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야 한다 - 질문커뮤니티 요즘 젊은 친구에게 ‘어떤 사람이 되고 싶니?’라고 물어보면 많은 이의 대답이 거의 ‘직업’이다. 교사, 의사, 방송인, 운동선수 같은 것은 특히 인기 직업으로 꼽힌다. 공부하고 실력을 쌓아 나가는 목적이 직업이 되어가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요즘 대학교 광고에서 경쟁적으로 내세우는 것도 취업률이다. 고등학교까지는 좋은 대학교 들어가는 게 목적이고 대학에 입학해서는 좋은 직업을 갖는 것이 목표가 된다.“원하는 직업을 가졌다면 그다음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현세는 이렇게 묻는다. “무엇이 되겠다는 목적은 있지만 ‘어떤’ 무엇이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결론도 덧붙인다. 아이를 키우는 아빠의 한 사람으로 많은 생각이 든다. ‘커서 무엇이 되고 싶니?’라는 질문이 잘못되었음은 물론이고..
왜 궁금한지 나는 궁금해 - 질문커뮤니티 아직아무것도 끝나지 않았고아무것도 시작되지 않았다.履歷書누군가에겐 한평생의 기록, 누군가에겐 한순간의 채점표.《지식e, season 8》의 서문에 나오는 글이다. 《지식e》의 이력은 끝나지 않는다. 아직 진행형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이력을 살펴보면 2005년 9월 기획, 편성되어 1,000회가 넘었다. 그것의 전부는 아니지만 《지식e》 1권에서 7권까지 누적판매 부수가 100만 권을 돌파했다. 책은 많이 팔릴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 좋은 컨텐츠와 영상에서 말하지 못한 자세한 이야기가 있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하다.8권의 시작은 에릭 홉스봄이다. 세상은 어느 위대한 아니 특정한 영웅에 의해 바뀌는 게 아니라 농부, 주부, 광부, 목수, 직공 같은 ‘이름을 남길 수도 없고 남기지도 못한 흔해빠진 사람들’..
우리는 10분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질문커뮤니티 우리는 10분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10분이면 600초에 해당하고, 하루로 따지면 1퍼센트도 안 되는 짧은 시간이다. 그런데 이 10분으로도 많은 것을 해낼 수 있다. ······ 열거한 일을 다 해내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각각의 일에 10분씩을 분배하면 수많은 일을 순서대로 척척 해낼 수 있다. 저자 이내화는 대표이다. 성공컨설턴트로 연간 500회 이상 강의와 방송을 하는 성공학 교수다. 이내화의 이력을 말하는 이유는 이 책이 저자가 강의를 많이 하는 사람이라는 걸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강사가 많이 사용하는 OO법칙이 나온다. 강의에서는 수강자의 집중과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 많이 사용한다. 예를 들면 나만의 스트레스 탈출법 혼자병법, 책을 고르는 동서남북, 독자생존법,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