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은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가치이다. 뛰어난 철학자는 예외 없이 ‘왜’를 알고 추구하는 것, 즉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서 자신이 뜻하고 추구하는 진리를 찾아 나섰다. 이것은 공부에서도 마찬가지다. 《근사록》에 “배운다는 것은 의문을 풀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자신이 가진 의문을 없애고, 그다음 의문이 없는 곳에서 의문을 갖게 되는 것이 배움의 진전이다”고 실려 있다. 공부의 진정한 가치가 의문을 갖고, 질문을 통해 그 의문을 풀어가는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조윤제, 《말공부》)
+
'왜?'라는 질문은 어떠한 결과에 대한 질문이라기보다는 결과를 얻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해야 한다. 원래 사고력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이성호, 《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
![]() | 말공부 |
말이 그 사람의 인격과 품격을 말해준다 : 《말 공부》
'行間 > 인간이 되기 위한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애들도 나를 자랑스러워했으면 참 좋겠다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2) | 2014.08.08 |
---|---|
내가 지금 사랑하는 사람도 처음에는 모르는 사람이었다 :《이 미친 그리움》 (0) | 2014.06.19 |
말이 그 사람의 인격과 품격을 말해준다 : 《말 공부》 (0) | 2014.06.09 |
가난한 사람이야말로 비즈니스의 원천이다 : 《유대인의 비즈니스는 침대에서 시작된다》 (2) | 2013.12.28 |
필요에 따라 달리 해석하는 미국 노예제도 (0) | 201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