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품인

(3)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박남철 10주기 쓸쓸함 박남철(朴南喆), 1953년 11월 23일 ~ 2014년 12월 6일 지난 6일을 아무도 기억하거나 기록하지 않는다. 문단의 괴짜 사고뭉치 이단아를 생각하기 싫은 까닭이다. 그가 절정기를 살았던 중랑천변을 나 홀로 걷는다ᆢ. 강은 얼지 않았지만 시인은 여전히 꽁꽁 언 겨울강에 돌을 던지고 있다. 쩡쩡쩡쩡쩡ᆢ그의 초기 시 ‘시인의 집’을 떠올린다스승 조병화께서 악수로써 껄껄껄 세배를 받으신 다음 구라파적 술잔에 꼬냑을 따라주시면서, 스승의 연구실을 따뜻했습니다.얘 남철아, 시인에겐 집이 없지 여기 장영자씨도 계시지만 평론가에겐 집이 있지 소설가에게도 집은 있고 극작가에게도 집은 있고 심지어 수필가에게도 높은 집은 있는 법이지 그러나 얘야 남철아, 시인에게는 집이 없지 그냥 사람 인자 시인이지 뭐, 헐헐헐...
박남철 시인이시여, 분노와 핏대 없는 그곳에서 영원히 안식하시라 박남철(朴南喆), 1953년 11월 23일 ~ 2014년 12월 6일 박남철 시인과의 짧은 인연 6년 전 어느 초가을날 지성찬 시조시인과 함께 박남철 시인을 처음 만났다. 그를 선생님이라고 부르는 민경환 시인과 같이 안성에서 제법 규모가 있는 식당을 공동운영(적어도 형식적으로는)하고 있었다. 마을의 한 식당에서 술을 마셨고 다른 테이블의 손님과 시비가 붙었으며 그 시비는 고래심줄처럼 끈질기게 이어졌다. 여차하면 몸싸움이라도 벌어질 일촉즉발의 험악한 분위기였다. 물론 처음엔 뜯어말렸으나 상대편의 기세도 만만찮아 만약 집단패싸움으로 번질 경우 나도 거들기 위해 예비동작까지 머릿속에 그려 넣고 있었다. 다행히 마침 경찰이 출동하는 바람에 구체적인 몸싸움까지 가진 않았지만 덕택에 밤새 통음으로 시달려야 했다...
아직 시기상조인 "김대중을 생각하다" 이 책에 대하여 논하기 전에 이중텐의 품인品人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이중텐은 "역대로 중국에는 인물 품평의 전통이 존재해왔다. 인물 품평은 일종의 지혜의 표현"이라고 했다. 중국도 그러하지만 우리는 품인에 대한 글에는 인색하다. 좋은 평이든 나쁜 평이든 하기를 꺼리고 있다. 이중텐의 품인에 관한 이야기는 이 책을 읽는 동안 늘 뇌리를 떠나지 않았고 그러기에 이 책이 더 아쉽게 느껴진다. 문학 비평, 예술 비평은 있지만 인물 비평은 찾아볼 수 없다. 더러 인물에 대한 전기나 일화는 있지만 인물 감상은 없다. 사실 사람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감상 가치가 풍부한 존재 아닌가. 술과 차, 그림과 시도 품평을 하는데, 어째서 인물 품평은 없단 말인가? 이 책(품인록)을 그래서 쓰게 되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