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향기로운 시와 소설

詩가 나에게 주는 의미는

반응형

詩 안읽는 시대에 시집을 권하다는 포스트를 보니 기분이 우울하다. 예전에 쓴 詩가 나에게 무슨 의미가 있나가 생각나서 더욱 그러하다. 詩로 혁명을 꿈꾸던 시절의 詩와 지금의 詩는 나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 것인가.

정희성시인의 말처럼 '차라리 시를 가슴에 묻'을 수만 있다면 차라리 좋겠다. 지금은 '가슴에 묻'기를 희망한다. 또한 김남주시인은 '法이 없으면 詩도 없다'고 절규한다. 차라리 김남주시인의 말이 맞는 시대였으면 좋겠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시대에 살며 詩의 존재를 생각해야하는 것이 서럽다.

살아남은 자 모두 피고라는 하길종감독을 기리는 말처럼 지금 이시대에 살아가는 모든이는 '피고'일지 모를일이다. 하지만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 이길 것이다는 신동엽시인의 절규가 아직도 유효하다는 생각에 더 서글프다.

김지하시인은 애린 간행에 붙여에서 "모든 죽어간 것, 죽어서도 살아 떠도는 것, 살아서도 죽어 고통받는 것, 그 모든 것에 대한 진혼곡"을 들려주고 "그 죽고 새롭게 태어남을 애린이라 부른다"한다. 그의 마지막 말을 빌어 이 동시대에 살아가는 아니 지금 詩를 잊고 사는 모든 이에게 "부디 모두 애린이어라!"

덧붙임_

조태일 시인이 창간한 <詩人>지의 재재창간호이다. 제호 : 김지하시인
이 <詩人>도 오래가지 못했다. 詩가 안되는 시대에 전문지가 팔릴리 만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