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책의 주인은 누구인가

반응형

개인적으로 서현 교수의 글을 좋아한다. 특히 책에 관한 잡문은 더욱 그러하다. 《또 하나의 벽돌》은 건축가 서현 교수의 서평집, 부제로 말하면 '건축가 서현의 난독일기'이다. 이 책 뒷부분을 보면 서평 한 책의 목록이 있다. 목록을 보고 다른 책을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기에 반갑다.


한데 이 목록의 특이한(?) 점은 책 제목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저자를 기준으로 정리해 놓았다. 예를 들면 《또 하나의 벽돌》을 찾기 알아보기 위해서는 저자 서현을 찾아야 한다. 물론 사전이 아니기에 찾기 기능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조금 생소하다. 한 저자의 책이 있다면 이런 방식도 같은 저자의 다른 책을 비교해 읽을 수 있으니 독자에게 도움이 된다. 대부분 한 저자의 책 한 권을 서평 하였기에 이러한 의도는 무의미하다. 아무런 의도 없이 편집자가 이렇게 하지 않았을 텐데 곰곰이 생각해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하겠다.

다른 하나, 저자 순으로 정리한 것은 편집의도라 충분히 이해한다 해도 알파벳 권 저자를 순서대로, 이름이 먼저이고 성이 나중인데 이름순으로 정리한 것은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 앞서도 말했듯이 인덱스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기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적인 통념이 있다. 베토벤을 찾을 때 'ㅂ'에서 찾지 루트비히 베토벤이라고 'ㄹ'에서 찾지 않는다. 신동엽을 동엽신이라 여겨 'ㅂ'에서 찾으면 어떻겠는가.


지금은 고인이 된 최성일의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에서도 같은 사례를 볼 수 있다. 고인이 된 후 출판사에서 그동안 나왔던 1권부터 5권까지 묶은 합본이다. 이 책은 앞에 목차에 이름순으로 정리해 놓았다. 인덱스 역할을 하는 목차이기에 혼란스럽다.

이 두 책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다른 업종은 모두 소비자 위주로 상품도 만들고 서비스한다. 하지만 출판은 선민의식(?) 때문인지 무지몽매無知蒙昧한 우둔한 대중을 이끌고 가야 한다는 생각이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때가 많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더라도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편집은 적정하다고 할 수 없다. 책은 저자의 것도, 만든이의 것도 아니라 읽는 독자의 것이기 때문이다. 《조선 지식인의 독서노트》에는 돈 주고 책을 산 사람, 책을 쓴 사람 그리고 책을 읽은 사람 중에서 책의 진짜 주인이 누구일까?라는 질문이 나온다. 책을 만든 이는 항목에도 들어가지 않음을 보면 씁쓸한 마음이 든다.

보도 듣고 느낀 한마디
_2012.09.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