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 (12 Angry Man)

반응형

12인의 성난 사람들 (12 Angry Man) - 시드니 루멧(1957)

영화는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 한다. 대신 영화는 세상의 환부를 읽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사회제도의 모순을 소재 삼아 일침을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잠자고 있는 대중의 비판의식을 깨워 문제의식을 공유함으로써 관계기관의 최소한의 각성을 촉구해 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시드니 루멧(sidney lumet) 감독의 1957년 작품 [12인의 성난 사람들 Twelve Angry Man]은 영화가 어떻게 사회의 구멍 난 시스템에 문제제기를 하고 대중의 동의를 이끌어내는지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2000년 '명작 시리즈'란 이름을 걸고 국내에 출시된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원작이 있는 작품으로, 영화언론매체와 출시사의 설명에 따르면 1954년 TV드라마 [Studio One]이 그것이다. [Studio One]은 1948년부터 1954년까지 약 10년 간 CBS를 통해 방영된 인기 있는 시리즈인데, 대머리로 유명한 율 브리너(Yul Brynner)와 [혹성탈출]의 감독 프랭클린 J. 샤프너는 이 시리즈의 연출자 중 한명이기도 하다. 그리고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그 중 작가 레지날드 로즈(Reginald Rose)의 에피소드를 영화로 재구성한 것이다.

덧붙이자면 레지날드 로즈의 이야기는 원래 무대공연을 위해 집필한 단편 소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영화의 첫 부분과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내내, 마치 연극무대처럼, 한 공간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며, 카메라의 움직임은 인물의 주관적 시점 없이 객관적인 시점으로 관객의 눈을 대신하고 있다.

영화는 18세 소년이 아버지를 살해한 혐의로 재판을 받은 뒤, 이를 참관한 12명의 배심원들이 판결을 위해 논의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여기서 잠시 미국의 재판제도 즉, 배심재판에 대해 설명하자면, 보통 판사와 12명의 일반시민으로 구성된 배심원의 협력을 통해 재판하는 제도를 말한다. 배심재판에는 소배심(the petit jury)과 대배심(the grand jury)이 있고, 소배심은 또 형사사건과 민사사건으로 구분된다. 형사사건의 경우 배심원의 만장일치로 유죄여부를 판단하며, 민사사건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책임을 결정한다. [12인의 성난 사람들]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소년의 살인은 전자로서 소배심에 속한다.

영화의 이야기를 좀더 밝히자면, 11명의 배심원이 소년의 유죄를 확신하는 반면 단 1명의 배심원만이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무죄를 주장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소년의 대변인이 국선변호사인 점, 증인들의 증언이 믿을 수 없다는 이 두 가지 사실을 들어 누가 보아도 유죄인 사건을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결국 문제는 [12인의 성난 사람들]이 다루고있는 살인과 같이 예민한 사안, 기술적으로 접근해 들어가야 할 부분에 대해 과연 일반시민에 불과한 12인의 배심원들이 정확하고 정당한 판결을 내릴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게다가 영화 속 유죄를 주장하는 배심원들의 상당수가 판결보다 개인 사에만 관심이 있어 한시라도 빨리 논의를 끝내고 싶은 심정뿐이다. 바로 이 상황이 배심재판의 모순을 비판 대에 올리는 지점이다. 그리고 영화의 힘이 발휘되는 순간이기도 하다. 

사실 영화가 제시하는 이 부분은 실제 소배심에서 가장 논란이 많이 일고있으며, 주요 비판의 표적이기도 하다. 게다가 만장일치제도를 채택하여 최대한 공정성을 유지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론이란 것은 흔히 다수의 의견에 휘둘리는 경향이 있다. [12인의 성난 사람들]의 주인공 데이빗(헨리 폰다)도 영화초반 1대 11이라는 수적 열세를 감당하지 못하고, 자신을 제외한 투표에서 모두 유죄가 나올 경우 그 의견에 동의한다고 하지 않았는가.

그럼 현재 미국의 배심제도는 어떨까. 문제가 된 소배심은 여전히 미국의 전체 주와 연방법원에 존재하고 있고, 형사사건 역시 그대로 행하여 지고 있다. 서두에서 의견을 회피했듯이 불행히도 이것이 영화의 한계이다. 영화는 상처를 발견하는 눈은 가졌지만 대안은 제시하지 못 하는 것이다.

[12인의 성난 사람들]을 연출한 시드니 루멧 감독은 아서 밀러(Arthur Miller), 유진 오닐(Eugene O'Neill), 피터 샤퍼(Peter Shaffer)의 희곡을 각색한 [Vu du pont]에서부터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그리고 [에쿠우스 Equus]까지 유달리 이름난 무대극을 자주 영화화하였으며, 특히 [The Pawnbroker]의 전당포, [네트워크 Network]의 방송국 등 연극무대를 연상시키는 특정 공간에서의 연출력에 남다른 재능을 발휘하였다.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이 같은 연출력의 시발점이자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볼 수 있다.

제한된 공간은 그 특수성으로 더욱 정교한 연출력이 필요한 법인데, [12인의 성난 사람들]은 서서히 긴장을 더해가는 이야기의 우수성도 물론이지만 다양한 인물의 창조와 날씨를 이용한 상황의 암시, 적절한 음악의 사용이 돋보인다. 그 중에서도 12명의 배심원들이 그저 이야기를 구성하기 위해 숫자로만 채워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물 하나하나마다 사연이 있고, 그 성격을 뒷받침하는 배경이 있는, 치밀하게 계산된 설정 덕에 더 빛을 발한 영화라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게다가 좌중을 압도할 만큼 생각과 언사가 논리적인 주인공, 앞에 나서지는 않지만 묵묵히 자신의 주장을 피력하는 사람, 확실한 자기 주장은 내 세우지 못 하면서 옆에서 신경질적으로 툭툭 얄미운 소리를 던지는 사람, 한 번 결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목에 칼이 들어와도(?)' 바꾸려 하지 않는 사람 등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캐릭터의 등장은 영화의 생기를 더한다.

이는 설득력의 문제로 치환할 수 있는데, 만약 인물의 성격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 했다면 이 영화는 생동력을 발휘하지 못 했을 뿐더러 결코 관객의 동의도 얻어내지 못 하였을 것이다. 결국 [12인의 성난 사람들]에 등장하는 인물은 곧 우리 자신이자 이웃이다. 다시 말해, 영화 속 사건은 관객자신에게도 일어날 수 있다는 어떤 경각심을 은연중에 일깨워 주는 것이다.

한편 인물의 설정과 관련해서 흥미 있는 점은 배심원 전원이 백인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다(배심제는 영국에서 발달하였는데, 11세기 경 영국의 배심재판을 살펴보면 배심원은 모두 백인이었다). 이는 [12인의 성난 사람들]을 통해 사법제도의 모순을 지적하면서 동시에 국민의 인권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자유주의 미국의 인종적인 모순도 함께 꼬집고 있는 것이다.

혹시 배심원들이 처음 소년의 유죄를 주장하며 성의를 보이지 않은 것은 그 소년이 순수 백인이 아니었기 때문은 아닐까.

덧붙여, [12인의 성난 사람들]의 다루어지는 내용이 법률적인 문제이다 보니 본의 아니게 영화 외적인 부분에 설명이 많았다. 걱정되는 것은 필자의 전문분야가 법학계열이 아니다 보니 본의 아니게 영화 외적인 부분에 설명이 많았다. 걱정되는 것은 필자의 전문분야가 법학계열이 아니다 보니 앞서 설명한 부분 중 틀린 것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너그럽게 양해해주시기를 바라며 잘못된 점에 대해서는 메일 보내주시기를 간절히 부탁 드린다. 참고로 법과 관련된 부분은 F. G. 켐핀 Jr.가 저술한 「영미법개론」을 참조했음을 밝힌다.
<출처 : www.movieclassic.co.kr >

*

내가 이 영화를 처음 언제 보았는지는 잘 기억이 없다.
하지만 내가 두번째로 보았을때는 한 4~5년전 TV에서 였다.
EBS인지 어디인지도 중요하지는 않다.
내 뇌리에 박혀있는 것은 민주주의를 가장한 다수의 폭력, 선입견이 우리를 지배하고 우리에게 강요한다.

우리는 그러한 다수의 폭력에 존재하는지 아니면 다수의 폭력에 당하는 소수인지도 분명하지 않다.
이 또한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내가 어느쪽에 속하여 있던지 지금은 폭력을 행사하는 쪽에 있을지 몰라도 또 다른 측면에서는 폭력에 당하는 그러한 소수이다.

물론 영화에서는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해법이나 대안은 없다. 영화가 가진 한계 또는 제도권에 존재하는 구성원으로서의 한계일지도 모른다.

영화는 영화로서만의 가치로 본다면 뛰어나 연출력, 치밀한 각본 그리고 각 맡은 12 캐릭터를 표출하는 연기자가 어울어진 명작이 아닐까한다.

DVD를 하나 사야겠다.

전에 대부 DVD전집을 샀는데, 전편을 다 본적이 없다.
이것도 그럴지는 모르겠지만 꼭 사고 싶고 우리 아이들이 크면 꼭 같이 보고 싶다.
다수의 폭력을 휘두르는 집단 이기주의를 가지지 않도록, 다수의 폭력에 당하는 무지목매한 소수가 되지말라고....


덧붙임_
러시아판 리메이크 : 다수의 편견(폭력) : 12명의 배심원

덧붙임_둘
어제(2010.07.17) EBS에서 다시 방송했다.
다수의 폭력은 영화를 만들 당시나 내가 영화를 처음 보았을때도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지금도 항상 유효하다.
이 고리를 어떻게 끊어야 할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