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行間/부고사이트를 위한 메모

품인록 스타일의 글쓰기. 인물을 평하는 것이란···



품인록 스타일의 글쓰기. 인물을 평하는 것이란···.
부고기사 스타일의 인물론, 품인록.

누군가의 죽음을 알리는 글도 흥미로운 기사가 될 수 있다. <뉴욕타임스> 부고 기사는 대체로 고인이 생전에 한 일 이상 깊은 말들을 효과적으로 곧잘 인용하면서 그의 인생을 되짚어 보여준다.

고인의 삶에서 극적인 어떤 순간을 포착해 자세히 묘사하고, 주변인물이 그에게 붙인 별명을 언급하는 방식으로 한 개인의 삶의 특징을 드러낸다. 자칫 이력서나 경력 나열 중심이 되기 쉬운 밋밋한 부고기사 형식을 탈비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부고기사의 패턴을 나름대로 뽑아 간추러 본다.

1. 기사 첫 문단에 고인이 인생에서 남긴 업적을 간명하고 인상 깊게 묘사한다.

1995년 3월 12일자, 도먼 치즈 회사의 빅터 도먼 회장 부고 기사는 첫 문단이 “치즈 조각 사이에 종이를 끼워넣는 슬리이스 치즈‘를 발매해 미국 치즈시장을 바꾸어 놓은 도먼 치즈회사의 빅터 도먼 회장이 별세했다.”고 돼 있다. 치즈 패키징 역사에서 종이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미국인의 치즈 구매 방식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을 평생의 업적으로 꼽아 그의 삶을 압축적으로 기리고 있다.

2. 고인이 이름을 얻은 분야 그 뒤편에 숨겨진 시대적, 사회적 의미를 짚어낸다.

2014년 1월 17일자, 1940-50년대 미국 인기 여배우이자 가수였던 실리아 가이스 부고 기사는 흑인 여배우로서 인종 차별 장벽을 깬 점이 그의 인생에서 주목해야할 점이란 사실을 흥미롭게 제시하고 있다.

“1952년 제트 매거진에 실린 그녀에 대한 기사의 헤드라인은 ‘백인 남편을 둔 흑인 여성’이었다.” 거기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결혼의 어려움에 대해 생각하지 않기로 했다. 우리 같은 결혼이 성공하려면 지성과 이해가 필요하다. 그건 사랑을 넘어선 그 무엇이다. 스스로의 새각에 의지해야하고, 다른 사람들이 당신에 대해 말하고 생각하는 건 무시해버려야 한다.”

2014년 1월 21일, 세계적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부고기사는 음악과 정치에 대한 소신을 밝힌 어느 인터뷰를 인용하고 있다. “살다가’보면 사람들은 어떤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당신은 음악가인데 왜 정치 이야기를 하느냐?’는 말은 이해하기 힘들다. 나는 이탈리아 라 스칼라에서 파시즘 반대 콘서트도 했다. 어느 정당에도 가입하지 않고 있으나 파시즘에 반대해 공산당 지지 투표를 한 적도 있다. 난 단지 자유를 추구할 뿐이며, 자유를 부정하는 모든 것에 나는 저항한다.”

3. 삶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이나 열정을 쏟은 대상을 포착해 자세히 묘사한다.

2014년 1월 15일자. 캔자스 범죄탐정 켄 랜드훠 부고기사는 600여건의 살인사건 조사를 담당한 그의 활약상 중 가장 이목을 끈 연쇄 살인범 레이더 체포 신문 대목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레이더의 첫 희생자가 발생했을 때 랜드 훠는 아직 20살도 안 됐다. 살인범이 자기도취에 빠지도록 전략을 짠 인물이 바로 그다. (중략) 나와 그가 서로를 쳐다본 만남에서 레이더의 첫마디는 ‘헬로 미스터 랜드훠’였다. 레이더는 플로피디스크 추적과 관련한 합법성의 경계를 자신한테 잘못 알려줬다고 벌컥 화를 냈다. ‘당신이 나에게 그런 거짓말을 하다니’ 하고 그가 물었다. 그러자 랜드훠는 이렇게 대답했다. ‘난 단지 당신을 꼭 잡고 싶었을 뿐이다.”

4. 고인의 생애를 언급한 관련 책이나 언론 매체 인터뷰를 곧잘 인용한다.

2014년 1월 15일자. 금융 폰지 사기범 매도프 사태 해결을 주도했던 연방파산법원 법관 버튼 리프랜드 부고기사는 어느 금융학자가 2006년에 쓴 책에서 리프랜드를 ‘파산분야의 유명인사’로 묘사했다는 대목을 언급하고 있다. 파산 법관이 ‘유명인사’로 불린다는 점을 통해 그의 명성을 단박에 짐작할 수 있다.

5. 고인의 별명이나 종사한 직업과 관련해 흥미한 일화를 언급한다.

2014년 1월 10일자, 레이건 시절 백악관 대변인 래리 스피크스 부고기사는 “그는 백악관 사무실에서 조용한 모차르트 음악을 들으며 하루를 시작하곤 했다.... 당시 점점 적대적인 질문 공세를 퍼뭇는 출입기자들의 공세를 교모히 비껴나갔다. 친구들 사이에서 그의 별명은 거칠게 다루면 가시로 쏘아대는 ‘미시시피강의 메기’로 불렸다.”라고 쓰고 있다. 기사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도 나온다. “언젠가 그는 인터뷰에서 1만가지의 말하는 방식이 있는데 ‘노코멘트’를 제외하고 나는 9999가지 방식을 사용했다.”라고 말했다.

6. 기사 끝으로 ‘유족으로 누가 있다’가 아니라 고인의 평생 직업과 관련된 내면의 코멘트로 마무리하다.

2014년 1월 20일자 세계적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 부고기사는 다음과 같이 끝을 맺고 있다. 아바도는 객석의 커튼콜을 받고 무대를 나갔다가 돌아오는 매너에 어색해했다. 1973년 인터뷰에서 그는 “예전엔 그랬으나 요즈음 관객들에게 정중하려 애쓰고 있다. 나는 청중의 호응을 좋아한다. 청중의 반응에 무관심하다고 말한다면 그건 내 진심이 아니다. 하지만 고개 숙여 청중한테 답례하는게 여전히 쑥쓰럽다. 나는 쇼맨이 아니다.”

-조계환, 「신문 부고기사 ‘스타일’을 만들자」, 『관훈저널』, 여름호

 

「뉴욕타임스」의 부고기사 스타일 분석

「뉴욕타임스」의 부고기사 스타일 분석지금부터 사례로 드는 「뉴욕타임스」 부고기사들은 10 문단 이상으로 구성된 비교적 긴 글이다. 종이신문에 분량 제약이 있다면 온라인닷컴에서라도

maggot.prhouse.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