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김열규

(5)
한국학의 거장 김열규 명예교수 타계 이 주일의 죽음 - 한국학의 거장 김열규 명예교수 ‘한국학의 거장’이라 불리던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가 2013년 10월 22일 타계했다. 향년 81세. 고인은 숨을 거두기 하루 전인 21일, 그날 오후를 오롯이 ‘아흔 즈음에’라는 제목의 글을 퇴고하는 데 썼다. 책 읽고 글 쓰는 일을 인생의 전부로 여기며 살았던 김 교수는 평생 70여 권의 책과 한국학, 민속학 연구의 족적을 남기고 숨을 거뒀다. 저서인 에서 김 교수는 “죽음을 생각함으로써, 인간은 명료하게 정신 및 영혼 앞에 나아가게 된다. 그때 사람들은 그것이 삶의 최종적인 여행 목적지였다고 생각할 것이다”표현했다. 고인은 자신의 바람대로 밝음과 환함으로 끝을 맞이했을까.김열규 교수는 혈액암 투병생활을 하던 중에도 “책을 읽거나 글을 쓸 때만큼은 ..
‘한국학 거장’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 별세 올해 초까지 매년 한 권 이상의 책을 낸 김열규 교수. 그는 “요즘 사람이 공부를 통해 자신의 영혼이 자라고 우거지는 즐거움을 누렸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한국학 분야의 거장으로 꼽히는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가 혈액암으로 투병하다 2013년 10월 22일 오전 10시 별세했다. 81세.고인은 1932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그는 병약했다. “밥보다 약을 더 많이 먹었다”고 할 정도였다. 친구들이 운동장에서 뛰어놀 때도 그의 자리는 책상이었다. 당번과 함께 그는 늘 열외였다. 조회 시간도 체육 시간도 그랬다. 그만큼 약했다. 대신 고인은 그 시간에 책을 읽었다. 몸은 약했지만 생각의 근육을 키웠다. “그 시절이 없었더라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거다”라고 회고한 적도 있다.고인은 문학과 여행을 좋..
마땅한 곳으로 돌아감 -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 미리 쓰는 부고(訃告) —김열규 서강대 명예교수 ‘미리 보내는 부고장’을, 그것도 나 자신의 것을 나 스스로 쓰자니, 손이 떨린다. 컴퓨터 자판기에 얼핏 손이 나가지 않는다. 초등학교 이후로 다니던 각급 학교에서 시험지 받아든 순간이 이 지경이었다면, 오직 낙제만 거듭했을 것은 뻔하다. 만만치 않는 머뭇댐을 간신히 가라앉힌 끝에 겨우, 쓰게 되는 게 이 부고장임을 우선 강조해두고 싶다. 일찍이 무슨 일에 손대게 되면서 이토록 미적댄 적은 있었던 것 같지 않다. 한데 막상, 첫 글자를 쓰게 되면서 그 머뭇댐이 겁먹은 것이나 질린 것만은 아니기를 스스로 다짐 두고 싶어졌다. 뭔가 뜻깊고 보람된 것이 되기를 바라고 싶어지기도 했다. 예로부터 죽음을 두고는 ‘돌아간다’고 했다. 그것은 으레 가야 할 곳..
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9. 01 2009년 1월은 8권 구매하고 서평단과 지인에게서 7권을 받다. 매달 10권 정도는 읽어야 하는데 7권을 읽었다. 01월 : 07권 (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9. 01) ▣ 2009년 1월 읽은 책 위기의 책 길을 찾다 : 한기호 - 백석도서관 공항전야 - 10년전을 반복하고 타산지석일 될 일본을 답습하는 모습이 안타깝다. 개인적으로 책이 좀 어렵다. 지금껏 내가 읽은 경제관련 책은 개요서에 불과함을 느꼈다. 2주에 1권 책 읽기 - 나를 발전시키는 첫 번째 습관 : 윤성화 - 마두도서관. 독서를 처음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책. 사실 2주 1권은 너무 적다. 하지만 마지막 '책 속의 책 - 세계 독서광들에게서 배우는 독서의 기술 5W1H'이 많이 도움이 된다. 초심자(?)에게 도움이 된다. 웹..
책과 함께 우리가 될 그날을 위하여 : 독서 책 읽기와 함께한 지난날을 돌아보니, 그 오랜 자국들이 새삼스럽다. 눈밭에 찍힌 발자국 같아 보인다. 이제 눈꽃이라도 필까? 그런 인생의 역정에 띠끌만큼도 뉘우침이 껴들 틈은 없다. 그래도 아쉬움이 있다면, 그건 미처 못 읽은 책들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때문일 것이다. 독서 김열규 교수의 의 후기에서 저자가 아쉬움을 토로하면서 한 말이다. 70년의 독서생활에서 아쉬움을 '미처 못 읽은 책들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때문' 이라고 말한다. 그의 생의 절반정도를 산 나에게 아쉬움은 무엇일까? 아니 아직도 남은 생에서 김 교수와 비슷한 아쉬움이라도 남는다면 나쁘지않은 책과 한 삶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노학자의 책에 대한 생각을 논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 그의 책에 대한 여정을 그냥 따라 가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