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214) 썸네일형 리스트형 보여주는대로 보는 세상 남북한 그리고 일본의 야경 사진을 보니 묘한 느낌이 든다. 북한의 존재는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은 조그만 섬나라다. 하민혁님의 말처럼 왜 저 사진일까? 그나저나 나사 홈페이지에서는 왜 하필 저 사진을 야경으로 올려둔 것일까? 실제로 기사에서는 미국 동부와 서부의 야경 불빛을 언급하고 있으면서 말이다 보고 싶은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보여주는대로 보는 세상이다. 더불어 눈에 보이는 것만이 진실이 아니다. 덧붙임_ My favorite image of Earth is the composite view of Earth at night, which shows the light over the USA East and West Coasts, Europe, Japan and along the Nile river.Da.. 나쁜방송 <개그콘서트>를 즐겨보다 한동안 를 보지않다가 '달인' 덕분(?)에 개콘을 보기 시작했다. 작은 아들이 제일 좋아한다. 나도 좋아한다. KBS연예대상에서 개콘이 나쁜방송이라는 황현희의 말을 들었다. 무슨 말이지 당췌... 가 '나쁜 방송'인 이유?를 보니 왜 나쁜방송인지 알게되었다. 내가 그런 나쁜 방송을 보고있었다니... 민언련에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 한데 기준이 무언지... 이유가 무엇인지 모를 일이다. 개그는 개그야. 현실로 착각하는가. 자기들 뺴고 나머진 머리를 구색으로 달고 다니는 줄 아는 모양이다. 이끌어주지 않으면 무지목매한 대중은 질질끌려다닌다고 생각한다. 나도 그들의 안내대로 프로그램을 보아야겠다. 질질 끌려다니며... ■ 민언련 방송모니터위원회 선정 2008년 올해의 나쁜 예능프로그램 - KBS ‘외.. 정치적 결정으로 추첨제를 도입한 국제중 선발 마치 종교집단의 집회를 연상케한다. 번쩍든 오른손의 주황색 공에 지원자의 2/3를 넘는 학생들이 좌절이 빠지고 있다. 탁구공의 색깔로 국제중 신입생을 선발한다. 미친놈의 세상이다. 3 X 8. 급조한 국제중학이다 보니 '변별력'을 가진 선발기준이 없다는 말이다. 스스로 누어서 침을 뱉고있다. 여기에 먹물깨나 먹은 교수라는 사람의 변(? 똥덩어리가 아니다)이 더 웃긴다. 중앙대 이성호(교육학과) 교수는 “국제중의 설립 취지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키우겠다는 것”이라며 “실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해야 제대로 된 교육을 할 수 있는데 비판을 줄이기 위한 정치적 결정으로 추첨제를 도입했다”고 지적했다.선발을 어떻게 '정치적' 결정으로 '추첨제'를 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학부모의 한 사람으로 미친짓거리에 .. 새로운 실패를 위해 그린비출판사에서 레닌에게 질문하기, 레닌을 넘어서기 - 이진경 인터뷰를 보았다. "지금 레닌을 불러낸다는 것은 뼈아픈 실패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라는 말로 시작하고 있다. 레닌을 말하는 것은 실패를 통하여 새로운 실패를 위한 것이다. 나는 실패를 넘어선 실패를 보았다. 아직도 넘어야 할 실패가 많다. 실패를 실패로만이 아니라 새로운 실패를 위하여 넘어서야 한다. 성공이 진정 성공일 수 있는 것은 그런 실패를 넘어설 수 있을 때이기 때문이다. 그 실패 속에서 실패를 사유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실패를 사유한다는 것은 단지 그 실패의 원인을 찾는 것도, 그 실패의 책임자를 찾는 것도 아니다. 거꾸로 실패를 사유한다는 것은 실패로 귀착된 어떤 성공의 요인을 찾는 것이다. … 실패가 진정 실패인 것은 그것이 거대.. 산타를 믿는 우리 아이들 초등학교 2학년인 아이가 방학을 하였다. 학교에서 돌아와서 엄마와 나눈 대화다. 큰아들 : 엄마. 반 친구들이 산타클로스가 선물을 주는 것이 아니래. 이상하지. 엄마 : 그러면. 누가 준대. 큰아들 : 엄마가 준대. 엄마 : ... 큰아들 : 이상하지... 유치원생인 작은아이는 당연히 산타의 존재를 믿는다. 아직 산타의 존재를 믿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 큰아이. 어떻게 생각해야하나. 나는 믿을 수 있을때까지 믿는 것은 좋다고 생각한다. 어릴때 꿈이 너무 빨리 깨지면 너무 서글퍼 질것이다. 며칠전 산타에게 원하는 선물을 포스트잇으로 창문에 붙어 놓았다. 손꼽아 기다리던 크리스마스가 다가오고 있다. 산타가 선물을 가져다 주길 두 아이는 기다리고 있다. 요즈음에는 유치원생들도 산타의 존재를 믿지않는다고 한다... 위젯을 달아야 하나 위젯이란 참 좋은 것이란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것이 어떠한 형태이든 좋은 것이라 생각되었다. 전제조건은 도움이 되거나 재미있어야 한다. 블로그에 왜 "서울시 문화행사 위젯"을 설치하여야 하는가?에서 처럼 왜 스폰서위젯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그중에서 순위위젯은 젤 맘에 안든다. 물론 스폰서위젯은 아니다. 순위를 메긴다는 것도 맘에 안들지만 방식 또한 맘에 안든다. 위젯의 노출(?)로 순위를 결정한다. 초기 설치자에게 유리하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통이 없다. 다른 방식은 없나. 그것보다는 고민의 부재라 보인다. 그냥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감(?)에 만든 것이라 보인다. 기계적인 대응방식이다. 결국 하루만에 떼어버렸다. ㅎㅎㅎ 2008-12-23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구글은 포털이 아니다 구글은 포털이 아니다. 맞나? 개인포털, igoogle을 내세우는 구글이 포털이 아니라니 아이러니하다. 구글 "한국적 서비스 많이 내놓을 것"이라 하였는데 포털이 아니라 검색이라 "포털 자율규제협의회 출범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한다. 자율규제(?)라는 말에 불참을 한것은 아닐런지. 좁디 좁은 한국시장을 시장(?)으로 생각하는 것인가. 중국시장을 위한 테스트로 생각하는 것은 아닐런지. 구글은 언제까지나 'Not Evil'이 아니다. 2008-12-22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믿을 줄 아는 사람이 믿음을 받을 수 있다 를 다시 보다. 난 이 영화가 좋다. 5번은 보았다. 대부 이외에 이렇게 많이 본 영화는 없다. 매번 볼때마다 새롭다. 이번에 다시 새롭게 느낀점. 제리(에이젠트)를 믿어주는 고객이 없다면 제리(에이젠트)는 성공할 수 없었다.역설적이다. 항상 고객을 사람하는 마음을 가진 에이젠트라야 성공한다고 생각을 했다. 그 반대를 생각하니 의외로 답은 간명하다.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믿음을 받을 수 있다. 믿을 줄 아는 사람이 믿음을 받을 수 있다. 역지사지. 이 경우에 맞는 말이다. 말처럼 쉽지않다. 덧붙임_ 르네 젤위거는 언제나 귀엽다. 덧붙임_둘 자유로운 두 영혼(이 말은 영화안에서 누군가 제리에게 한 말이다.) 마일스 데이비스와 존 콜트레인의 음악이 나온다. 이것도 새롭다. 잊어먹었나 아니면 인지를 못.. 2008. 06. 18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0_ 꽃잎 - 정경화 01_ 며칠 동안 여러권의 책을 읽었다. 일관되는 키워드는 창조, 상상력 그리고 꿈이다. 쉽지가 않은 세상이다. 유형적인 것도 이해하기 힘든데 무형을 이해하고 도출해 내어야 한다. 02_ 저번주(6/13)에 오픈 소셜 컨퍼런스에 참석하였다. 안철수연구소에서 후원(아니 주최인가?)을 하는 행사이다. 한데 행사 당일 새벽 4:14에 참석을 부탁하는 문자가 왔다. 지연이 되어 그럴 수도 있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새벽에 선잠을 자게되었다. 한데 06/19 01:16에 같은 문자가 왔다. 13일의 행사를 다시 일깨워주는 문자이다. 너무 과잉친절 아닌가? 참석인원이 450명 정도이니 많지도 않은 인원이다. 대행사에게 물어 이런 실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원인을 파악해야 하지 않으라 싶다. 03_..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 2008. 03. 05 00_ Cloud 9 - George Harrison With Eric Clapton & Band 01_ [도서관 인물열전 5] 김일성 : 도서관을 통해 체제를 유지하다 "행군도서관" 멋진 아이디어다. 세상이 바뀜을 느끼다. 좋은 사례이다. 하지만 국보법에 위반이 되는 것은 아닌지.. 이런 생각을 하는 것도 주입의 효과라 생각된다. 02_ 한국의 블로그 산업화에 대한 기대를 말하지만 제목대로 '기대'만을 말한다. '산업화'란 '상업화'와는 다른 것이다. 산업으로서 인정을 받기위하여 "블로그산업협회(가칭)"를 준비한다고 한다. 긍정적인 시도이다. 03_ 개인적으로 전여옥의원에 대해서는 아무런 생각이 없다. 하지만 이런 저런 사람이 모여 정치를 하여야 하기에 그 같은 인물도 필요해 보인다. 영등포 갑에서 총.. 이전 1 ···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