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완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앞서서 나가신 님, 민중의 배짱 백기완선생 추모시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앞서서 나가신 님, 민중의 배짱 백기완선생 추모시—김태철(시인)벗이여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새벽녘 향불 내음마저 떠나고 나 떠나는 꽃상여 소리에 울지 말아요 민중 승리의 맨 마루에서 우주의 깊이보다 더 깊은 민중의 배짱에 무지개 불을 지펴줘요 인류 최초로 돈과 분단과 학벌과 엘리트라는 저 제국의 공고한 벽을 허문 육개장처럼 얼큰하고 알싸한 일하는 사람들의 배짱과 그 맵고도 독한 노동 존중의 절정을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않게 노래, 노래를 해 주오여러분 혁명이 뭔 줄 아시죠 세상 사람들은 손바닥을 확 뒤집는 거이 혁명이라 하지만 난 혁명이란 손바닥에 흙 한 줌 고이 쥐.. 아, 백기완 선생님... 이젠 편히 쉬소서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아, 백기완 선생님... 이젠 편히 쉬소서오늘(2월 15일) 아침 일찍 백기완 선생의 부고를 접했습니다.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입원해 계시다는 소식은 여러 경로를 통해 들었습니다만 코로나19로 뵙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잠잠해지면 가까운 동지들과 병문안을 가기로 약속해 두었는데... 이렇게 가시다니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백 선생님은 우리 후배들에게 만년 청년으로 각인되어 있었습니다. 청년 때의 기백이 고스란히 유지되고 있는 이유가 클 것입니다. 사람들은 맑고 젊은 정신을 육신의 강건함과 혼동하는 우(愚)를 종종 범합니다. 또 일평생 민중적 삶과 생각이 변하지 않은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뒤에 뉴스를 찾아보니 오늘.. 아, 리영희 선생 - 백기완 리영희(李泳禧), 1929년 12월 2일~2010년 12월 5일 아, 리영희 선생—백기완리영희가 도대체 누구인데 그의 죽음을 두고 그리 시끄러운 거요 이름도 처음 듣는다는 이의 말에 시끄러운 게 아니지요 또다시 목숨을 걸고 한마디 하시는 거지요 그러구선 나는 먼 날을 더듬었다 어느덧 서른 해가 지났는가 선생이 내 병문안을 왔다가 백선생, 나 대포집이요, 나오시오 그때 일어서지도 못하고 죽도 못 삭이는 날 불러내던 그분은 뉘시던가한살매 목숨을 걸고 불러내던 분이다 분단이 쇠벽이 될 땐 겨레 넋을 불러대고 온몸을 묶을 땐 자유혼을 불러대고 되는 마을엔 새벽을 여는 이가 있듯이 내리친 어두움은 우주가 아니라고 외치고 날강도의 거짓부리기는 우상이라 외치고 할 말을 버린 붓끝은 곧.. 주머니에 단돈 5천원…법정 안팎의 의인 백기완 - 한승헌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추모글 _ 한승헌 변호사21일 오전 경기도 남양주시 모란공원에서 열린 고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 삼우제에서 유족들이 절을 하고 있다.고인이 되신 백기완 선생이 겪은 수난 내지 박해엔 법정이라는, 일반에 알려지지 않은 특수 공간을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변호인인 나는 증언자의 소임까지도 염두에 두어야 할 때가 있다.박정희의 폭주가 끝날 줄 모르자 대학가 반정부 시위가 격화됐고, 1973년 12월엔 마침내 함석헌·윤보선 등 지도급 인사를 망라한 ‘개헌청원운동본부’가 장준하, 백기완의 주도 아래 ‘유신헌법 폐지 100만 인 서명운동’에 돌입했다.박 정권이 최악의 위기를 벗어나려는 대증요법으로 긴급히 내놓은 조치가 ‘대통령 긴급조치 제1호’였다. .. 장산곶매 같았던 백기완 선생의 민주 · 통일 한평생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황해도 장산곶 마을에 깃든 매 한 마리. 약한 동물들 괴롭히지 않고, 한해 딱 두 번 자기 둥지 부수고 대륙으로 사냥 나가던 장수매. 어느 날 대륙에서 거대한 독수리가 쳐들어와 마을을 쑥밭으로 만들자 장산곶매 날아올라 피투성이 되도록 싸웠다. 독수리를 물리치고 낙락장송 위에 앉은 장산곶매. 이번엔 큰 구렁이가 매를 노리고 나무를 오르기 시작했다. 마을 사람들은 소리치며 기진맥진한 매를 깨우려 했다.백기완 선생의 삶에는 동시대를 거친 누구나 마찬가지로 우리 현대사가 응축돼 있다. 황해도가 고향인 선생은 해방 뒤 서울로 내려왔다가 남북이 갈리는 바람에 이산의 아픔을 겪었다. 식민통치와 전쟁으로 얼룩진 유소년기에는 마땅한 학교 교육도 받지.. 백기완 선생 장례 ‘사회장’으로 엄수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통일운동가 백기완 선생 별세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15일 투병 끝에 별세했다. 향년 89세. 1933년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서 태어난 그는 1950년대부터 농민·빈 민·통일·민주화운동에 매진하며 한국 사회운동 전반에 참여했다. 15일 오전 빈소가 마련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 고인의 영정이 놓여있다. seephoto@yna.co.kr(서울=연합뉴스) 문다영 기자 = 15일 오전 타계한 백기완(향년 89세) 통일문제연구소장의 장례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등 5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주축이 된 ‘노나메기 세상 백기완 선생 사회장’으로 엄수된다.장례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 편지로 전하는 사랑 : 책 권하는 사회 편지를 써야 한다. 꼭은 아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편지를 쓰고 싶다. 어떻게 써야할지 도무지 쓸 수가 없다. 누구에게 편지를 쓴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연애편지 이후에 마음을 담아 다른 이에게 보낸 적이 있었던가? 이메일은 업무를 전달하는 도구로 전락한지 오래이고 전달하는 이의 따스함이 없다. 난 그런 따스함을 전해주고 또 전해 받고 싶다. 편지를 쓰기전에 가족에게 연인에게 보낸 편지를 읽고 따스함을 전달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 이태준의 서간문강화에 나와 있는 글을 보자. 반세기가 넘었지만 구구절절 옳은 말이다. 잘 쓴 편지란 어떤 것인가? 편지는 '남과의 대응'이란 말을 위에서 하였다. 또 편지는 '할 말이 있는데 그 사람을 만날 수 없으니까 쓰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면 '남을 좋.. 2009. 10. 23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네이트의 블독에서 블로그독에 리플달리면 내 블로그에도 리플이~달린다는 글을 보았다. 양방향이 아닌 문제 또는 아이디의 문제가 있지만 긍정적인 행태이다. 당장 티스토리와도 연계가 되지않는다. 물론 네이버나 다음과 연계를 하여야 효용성이 클터인데, 그것은 힘들어 보인다. 다음 VIEW의 댓글시스템이 거의 실패로 돌아간 이유가 연계의 부재라 생각했는데 접근방식은 긍정적이다. 현재 드림위즈에서 작업중인 트위터 계정과 댓글을 연계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굳이 댓글을 내가 꼭 가지고 있어야한다면이야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좋은 방안이다. 덧_ 블독의 공식 블로그는 이글루스나 사이월드 블로그가 아니고 텍스트큐브를 사용할까? 자신들도 자사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데 고객에게 권할 수 있을..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 2008. 02. 14 00_ 마부타령 - 신중현 01_ 사람 살리는 세상이 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는 좋은 뜻을 가지시오. 그리고 그 뜻을 품은 채 긴장하면서 사시오.초심을 지켜준 ‘긴장하는 삶’을 보면 통일운동가 백기완 선생으로부터 이중근씨가 새해 덕담을 들었다. 성냥불을 팍 긋듯이 수행하라올 한해 맘에 새겨할 어귀이다. 백선생님의 건승을 바란다. 02_ 이광재 의원 “청탁 아닌 추천… 잘못됐나?”는 참 어이없는 말이다. "솔직히 같은 값이면 잘 봐달라는 부탁"만 했다고 한다. '추천'과 '청탁'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하다. “청탁이 아닌 추천”盧측근의 궤변 릴레이에서 말하듯이 "자신의 인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대통령 최측근의 말을 단순한 ‘추천’으로 받아들일 간 큰 공무원이 얼마나" 될런지 의문이다. 이 의원은 .. 님을 위한 행진곡-두대의 '피아노'에 의한 연주곡 - 민족음악연구회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 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 데 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 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태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님을 위한 행진곡-두대의 '피아노'에 의한 연주곡 님을 위한 행진곡-두대의 '피아노'에 의한 연주곡 전에 "애국가"를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우리의 애국가는 진정 "국가"로서의 존재감이 있는가 하는 문제였다. 물론 음악에 문외한이다 보니 작품성이 좋다 나쁘다를 논하기는 너무 무지하다. 우리가 가져야 할 자긍심을 받쳐줄 수 있는 것이 "국가"로 가치가 있을 것이다. 한 나라의 국가를 바꾸는 것은 쉽지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진지하게 논의 해야 할 시기가 벌써 지난.. 통일꾼 - 백기완 선생님 "장산곶매 이야기" - 백기완 출판 안내 글 우리 겨레 위대한 서사시, 아니 세계인의 위대한 이야기 문학, 장산곶매 이야기 원본이 출간되었습니다. 노나메기와 연구소 사정으로 그냥 드릴 수는 없습니다만 노나메기 회원 여러분들에게 꼭 권하고 싶습니다. 백기완 선생님은 늘 아름다운 우리말을 끄집어 내서 널리 쓰시고 계십니다. 여러분들도 잘 아시는 (동아리, 새내기, 달동네, 새뚝이...)그 밖에도 많이 있습니다만 이번 책 장산곶매 이야기에도 선생님께서 끄집어 낸 아름다운 우리말은 1천5백개의 낱말로 정리를 하였습니다. 이 책을 가지겠다는 회원들께는 백기완 선생님의 친필 서명을 담아 정성껏 보내겠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며 주변에 널리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책 제목 : 장산곶매 이야기 1,2권 책 쓴이 : 백기완 책 값 : 각 권당 1만5천원 두 권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