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나온 책 (147) 썸네일형 리스트형 2011년 12월 5주 새로 나온 책 스승의 가르침을 따라 황상이 우직하게 걸어온 길은 출세가 아니었다. 다산은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조용한 곳에서 공부하며 사는 ‘유인(幽人)’의 삶을 일렀다. 제자는 산속에 거처를 마련해 농사를 지으며 책을 놓지 않았다. 1802년 10월, 유배 온 죄인이 주막집에 열었던 작은 서당에 산석(山石)이라는 이름만큼 둔해 보이는 열다섯 소년이 찾아왔다. “저같이 둔하고(鈍) 앞뒤가 꼭 막히고(滯) 답답한() 아이도 공부를 할 수 있나요?” 스승은 재빠르고(敏) 날카롭고(銳) 빠른(捷) 천재보다 미욱한 둔재의 노력이 훨씬 더 무섭다고 일깨워줬다. 다산(茶山) 정약용(1762~1836)과 그의 제자 황상(1788~1870)의 만남은 이렇게 시작됐다. 삶을 바꾼 만남 정민 지음/문학동네 일흔여섯의 제자 황상 … 우직.. 2011년 12월 4주 - 새로 나온 책 책의 스토리는 1948년 세계인권선언 탄생에서 시작된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미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그는 전쟁의 참상에서 벗어나 진정한 평화를 갈망했다. 갈망은 유엔헌장 채택으로 열매를 맺었으나 뭔가 부족했다. 2048 프로젝트는 2048년까지 세계인권조약을 각국이 체결하고, 이걸 세계헌법으로 선포하자는 것이다. 백일몽이 아닐까?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만도 이 난리인데, 법적 강제력까지 갖는 인권조약이라고? 맞다. 이걸 옆에 놓고 각국의 법정에서 인권 관련 재판을 진행하도록 한다는 놀라운 비전이다. 왜 분노하지 않는가 존 커크 보이드 지음, 최선영 옮김/중앙books(중앙북스) “인권조약, 세계헌법으로 선포하자” 1948년 이후 100년의 꿈 이뤄질까 + 저자가 볼 때 기부에 관한 견해를 밝힌.. 2011년 12월 3주 - 새로 나온 책 쓸모없는 아이디어란 없다. 정말 그럴까. 기발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어떤 아이디어든 무시하지 말고 그 잠재력을 가늠해 보아야 한다. 그리고 아이디어는 많을수록 좋다. "더 나은 방법은 없을까?" "우리가 만약 ...한다면 어떨까요?" "OOO라면 어떻게 했을까?" 늘 질문을 자주 하라. * 비즈니스의 세계에는 변하지 않는 진실이 하나 있다. 바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끊임없이 생긴다는 점이다. 따라서 문제가 있을 때 불평만 하기보다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직원은 회사와 경영자의 입장에서 소중한 자산이다. 이 책의 궁극적인 목표는 관리자가 직원 고유의 능력을 충분히 활용해서 획기적인 아이디어가 더 이상 직원들의 머릿속에서 썩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이런 방식으로 해결하면 직원들.. 2011년 12월 2주 - 새로 나온 책 스스로를 깊이있는 존재로 만들었는가? 미래세대를 위해 어떤 유산을 남겼는가? 세속적인 이 세상을 초월하였는가? 사랑했는가? 브룩스는 "인간은 누구나 행복해지고 싶어하지만 무엇이 진정으로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지 판단하는 데는 서툴다"고 했다. 우리는 일과 돈, 부동산이 행복에 기여하는 정도를 과대평가한다. 친밀한 유대감과 힘들게 노력하는 과정은 과소평가한다. 친밀함에 대한 갈망은 인간 존재의 핵심이다.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 것은 퇴근 후 친구들과 한잔하거나 애인과 섹스하는 것 같은 사회적 활동들이다. 출·퇴근처럼 혼자 하는 활동은 행복에 해롭다(294~295쪽). 브룩스는 "20대 시절부터 나는 줄곧 '사람들은 이성과 의식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감정과 무의식이 훨씬 막강한 것 아닐까' 하는 의문을 갖고 .. 2011년 12월 1주 - 새로 나온 책 글을 아는 새로운 인민이 개화기에만 있있던 것은 아닐진데 비약이 아닐까. 방영하고 있는 "뿌리깊은 나무"의 내용과 통한다. 글을 반포하고 500년후에야 적용된다는 것은 이해가 어렵다. 책을 봐야겠다. * 성리학을 기반으로 500여 년간 강력한 통치 체제를 유지했던 조선이 무너진 이유를 분석한다. 송 교수는 글자를 읽고 쓸 줄 아는 ’새로운 인민’의 출현에서 조선이 무너지게 된 근본 원인을 찾는다. ’인민은 통치의 객체이자 교화의 대상’이라는 조선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명제가 유효성을 상실하고, 인민이 역사의 객체에서 주체가 되는 순간 중세가 막을 내리고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는 것이다. 수동적인 객체였던 인민이 동학농민운동 등을 통해 정치 영역으로 나오고, 신분사회의 기초를 무너뜨리는 ’평등 의식’이 싹트.. 2011년 11월 4주 - 새로 나온 책 “어떤 왕이 자기 종들과 셈을 밝히려 하였다. 1만 달란트 빚진 사람이 끌려왔다. 왕은 ‘네 몸과 네 처자와 너에게 있는 것을 다 팔아서 빚을 갚으라’고 하였다. 종이 엎드려 ‘조금만 참아 주십시오. 곧 다 갚아 드리겠습니다’하고 애걸하였다. 왕은 그를 가엾게 여겨 빚을 탕감해 주었다. 그 종은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밖에 안 되는 빚을 진 동료를 만나자 멱살을 잡으며 ‘내 빚을 갚아라’ 하고 호통을 쳤다. 동료는 엎드려 ‘꼭 갚을 터이니 조금만 참아주게’ 하고 애원하였다. 그러나 그는 들어주기는커녕 빚진 돈을 다 갚을 때까지 감옥에 가두어 두었다.” 신약에 나오는, 예수가 인용한 우화다. 좀 길지만 이를 인용하는 까닭은 지금 돌아가는 현실과 흡사하기 때문이다. 부채, 그 첫 5,000년 데이비드 그.. 2011년 11월 3주 - 새로 나온 책 고려시대까지 넓게 보면 조선 초기까지의 자유연예는 언제부터 남녀칠세부동석이라는 이상한 것이 생겼을까. 임진왜란 이후라 알고 있다. 우리는 조선에 대해서 아는 것이 너무 없다. 그래서 흥미로운 책이다. 평소 신사임당이 현모일지 모르지만 양처는 아니라는 생각이 이 책에 나와 있다. * 신사임당은 남편을 잘 내조하고 아들을 잘 교육한 ‘현모양처’의 대명사로 인식되어 있지만, 정확한 사료를 통해 들여다보면 오히려 ‘자유부인’ 또는 ‘조선의 불량주부’에 가깝다. 신사임당은 시댁이 있는 서울에선 10년밖에 안 살고, 친정 강릉에서 인생의 대부분인 38년을 살았다. 그리고 자녀 교육보다는 그림 그리기 등 자기만의 세계를 파고들었다. 이런 신사임당이 유교적인 훌륭한 어머니로 만들어진 것은 율곡의 학통을 이어받은 송시열.. 2011년 11월 2주 - 새로 나온 책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기본은 지방과 도시에 있는 자원이다. 지방에 있는(없는) 자원과 그 지역이 당면한 문제, 도시에 있는(없는) 자원과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를 서로 연결해 이전에는 없었던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먼저 지방의 매력, 남아도는 것을 열거해보자. 상쾌한 공기, 녹음, 풍부한 자연, 명산품, 온천 등 여러 가지 자연자원이 떠오를 것이다. 도쿠시마현 가쓰우라勝浦군 가미카쓰上勝정에 있는 주식회사 ‘이로도리’는 산이나 집 뒤뜰에 떨어져 있는 ‘낙엽’을 고급 요릿집에 ‘장식 재료’ 로 제공해 2억 6000만 엔의 매상을 올렸다. 지방에 있는(없는) 자원, 도시에 있는(없는) 자원을 선택했다면, 그중에서 서로 한 가지(또는 2가지 이상)를 골라내 서로 짜 맞춰 연결함으로.. 2011년 11월 1주 - 새로 나온 책 ‘정보사회의 신경망’ 인터넷을 둘러싼 논의가 만만치 않다. 인터넷이야말로 미래의 인공지능을 탄생시킬 거대한 자궁이라는 철학적 낙관(케빈 켈리 『기술의 충격』)도 있지만, 신간 『과잉연결 시대』는 정반대의 시각이다. 인터넷은 재앙을 낳는 괴물로 자라날 것이며, 이미 위력적이라는 비관론이다. 책에 따르면 인터넷은 절반의 축복이다. 사회 부문과 개인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필요 이상으로 극대화시켰고, 그 결과 예측 불가능한 사회를 낳고 있다. 최근 경제위기·정치격변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저자 표현대로 “이게 다 인터넷 때문”인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경우 당초 전문가들은 이론적으로 문제없는 금융상품인 모기지(주택담보대출)를 개발했다고 호언했다. 책을 뒤지다 보면 가슴이 철렁해진다. 한국이야말로 연결과잉 .. 2011년 10월 4주 - 새로 나온 책 누군가에 의해 쓰여진 기사가, 누군가의 편집을 통해 걸러지고 다듬어지며, 선택된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언론의 메커니즘에는 반드시 그 “누군가”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때문에 사실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서 언론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주류 언론부터 소셜미디어까지 다양한 정보 습득의 방식이 넘쳐나는 시대에 언론에 대해 한번쯤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꼭 필요하고도 중요한 일이다. 기자의 양심, 사회적인 책임감과, 권력의 상징이자 거대한 돈벌이라는 자본의 논리가 미묘하게 얽혀 있는 언론의 문제는 명징하게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운 주제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언론이 마땅히 가져야 할 지향점이 없는 것은 아니며, 진정한 민주사회에서의 언론의 역할을 포기할 수.. 이전 1 ···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