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402)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8. 12. 02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그린비출판사에서 나 왜 이러고 사니? - 인문학 인생역전의 의미라는 트랙백이 달렸다. 아마도(? 나의 생각이다) "책읽기의 달인(? 개인적으로 이 제목은 맘에 들지 않는다)"이란 내용때문에 달린 트랙백이 아닌가 싶다. -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인생역전'이라는 제목에 대해 느낀 점이 아니라 '달인'이라는 제목에서 느낀 닭살(?)이라고 할까. 누구나 '달인'이 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02_ 2009년 나눔달력을 블로그에 달고 공부방 아이들을 웃게 해주세요~ 이전 나눔배너, 나눔배너 2.0과 같이 2009 나눔달력을 블로그에 달면 공부방 아이들을 위해 1000원, 여기에 매칭펀드 방식으로 1000원이 더해져 총 2000원이 기부됩니다. 기부라는 말이 어색하지않은 이 시점에 나도 배너를 .. 2008. 11. 30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링크도 블로거의 허락을 받아야 할까!? 굳이 그럴 필요가 있을까 내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 찔린다. 02_ WBA 플라이급 전 챔피언 김태식은 소나기 펀치로 한때 로망이었다. 무슨 이유인지 갑자기 없어진 그가 다시 노출되는 이유는 광고때문인가? 아니면 향수가 남아있나. 인터뷰를 보니 예나 지금이나 매니지먼트가 문제이다. 올바른 에이전시 문화가 없는 우리에게는 더욱 더 힘들다. 항간에 나오고 있는 블로그마키팅도 미천한 에이전시문화에 기인한것이 아닐런지 하는 부질없는 생각이 든다. 03_ 관광적자 치료 의료관광이 나섰다는 기사를 보았다. "새 외화벌이 산업 부상", "정부서도 신성장산업 추진", "외국인 환자 유치 위한 의료법 개정안도 국회 상정"등의 내용이 나와있다. 왜 이시점에 이러한 기사를 보도.. 2008. 11. 26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앙깡님의 악어와 악어새를 보면서 공생일까?라는 생각을 하였다. 악어와 악어새는 공생관계인데 과연 제약회사와 의사가 공생관계인지 의문입니다. 그러한 관계라기보다는 주종의 관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누가 주이고 누가 종인지는 생각하기 나름이겠지만요.. 02_ 소프트뱅크-SKT의 미국 RockYou 투자 소식을 보면 위젯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모바일로 가면서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이 된 것이다. 데세는 위젯인가? 03_ 맛난 것이 먹고 싶다. 문제는 맛난 것이 무언지 모른다는 것이다. 04_ '노건평 몫' 의혹 김해상가는? 누구 것일까? 노건평씨 것이라면 문제이고 만일 아니라면 그것도 문제다. 이래 저래 구설수를 몰고 다닌다. 盧정권 초기에도 청탁(딱 3번의 의미)으로 도마에 오른 적도 있었다.. 2008. 11. 25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한국MS도 “액티브X 되도록 쓰지 말라” 공개적 언급했다고 한다. '책임논쟁'보다 앞으로의 대응방안이 더 중요하다. 신규개발부터 안쓰면 되지않나.. 꼭 써야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02_ 네이버 "오픈소스로 간다"…웹기술 大개방한다. 김평철 부문장은 “네이버의 콘텐츠 유통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장기적인 수익 목표”라고 설명한다. 왜 그럴까? "검색시장이 커지면 이득 보는 것은 결국 네이버다"라는 자신감 때문이다.결국 재주는 곰이 피우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는 논리가 되나. 03_ 알라딘 TTB2를 묶었다. 로딩이 너무 느려 취한 조치다. 알라딘의 공지가 없다. 사소한 문제인가? 나만 그런가 했는데 오늘 알라딘 TTB2 책광고가 안보이네요를 보니 공통적인 것으로 보인다. 깨진유리창이 될 농심 : 짜짜.. 2008. 11. 23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그린비출판사에서 '에로스 혁명 선언문'을 만들어 주세요!라는 이벤트를 한다. 출간 기념으로 혁명(?)을 꿈꾼다. 그린비출판사는 블로그마케팅에 대한 논란이 많은 이 시점에 대행사(? 맞나)를 통하지않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계속하여 내고 있다. 02_ 드림위즈 이찬진 사장의 iTunes App Store에서 dreamwiz를 검색해 보세요. ^^를 보았다. 새로운 방향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좌절과 실패로 부터 자유로와 보인다.그의 행보에 관심이 간다. 하지만 결과는 의문이다. 터치커넥트 - Touch redefines mobile을 보면행보에 대한 개략적인 모습이 보인다. 03_ 대학원 설문에 답하였다. 그리 오래걸리지 않는다. 논문에 어떻게 적용될지는 나의 의사와는 무관하지만 좀 더 나은 방향.. 2008. 11. 19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앙깡님의 TNM도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란 사실을 누구에게 말하고 싶은지(읽어보면 알 수 있다.). 더불어 '착한기업'컴플렉스는 왜 생기는 것일까? 컴플렉스는 자기 자신이 자기에게 멍에처럼 씌우는 것이 아닐까. 왜 구글이 달라야 하는가? 처럼 구글도 선하지않고 기업일뿐이다. 왜 다르다고 생각하고 한정지을까. 02_ 알라딘의 상술(?)에 놀아나고 있다. 물론 알라딘뿐만이 아니라 전 온라인 서점이 마찬가지다. 벌써 두번째 오늘의 반값을 구매하다. 최민식의 사진이란 무엇인가에 이어 개념어사전을 주문하다. 합리적이지 못한 인간이다. 03_ 구글에서 호스팅 하는 LIFE 매거진의 미공개 사진들을 보았다. 한국관련(Korea, Seoul)을 검색하니 대부분 한국전쟁관련이다. 찌질한 사진들뿐이다. 그래도 그나.. 2008. 11. 17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닭보다 알이 먼저 생겼다로서 논쟁의 종지부가 찍히나. 02_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결자해지를 촉구합니다. 에 대한 답글을 읽었다. 심상정 공동대표님의 글에 대한 저의 생각입니다. 그게 사실인가요? 논쟁을 지켜보는 것은 즐겁다. 하지만 이번 논쟁은 그리 유쾌하지 못하다. 노무현 "심 대표, 李대통령 어리석은 사람 아닙니다" - 동아일보 03_ 노공이산님의 추천-평가 제도를 좀 고치면 좋겠습니다.라는 글은 그 사이트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추천'이라는 단순하고 맹목적(?)인 것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 여러모로 민주주의2.0은 재미있는 사이트다. 04_ 구글과는 광고제휴, MS와는 서비스제휴… '다음'의 굿 전략은 멋지다. 적의 적은 친구. 영원한 친구도 적도 없다. 살아남는 자가 강한자다. N사는 .. 2008. 11. 16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배기성 "크라운J와 주먹질하다가 친해졌다" 찌라시에 낚이다. 02_ 박노자님의 저의 혁명론: 제1회를 보다. ‘근본적 변혁’이 더 현실적이다에 대한 반론을 겸하고 있다. 세계혁명, '거창한 얘기'하기 전에 : 박노자 ‘근본적 변혁’이 더 현실적이다 : 정병호 03_ 심상정대표가 FTA에 대한 '훈수'인가 '고해성사'인가를 말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결자해지를 촉구합니다. 04_ 독자가 취재비 대는 인터넷신문 미국서 등장: 스폿터스 : 지역사회가 지원하는 저널리즘(community-funded journalism) - 흥미롭다. 05_ 꼬리가 길면… 물린다는 롱테일이 적절하지 않다는 말이다. 한동안 풍미하던 이론이지만 지금도 유효한가. 양극화의 심화가 이 이론의 종말(?)을 더 빨리 재촉한것은 아.. 2008. 11. 11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올블로그가 한동안 장애가 났다. 장애에 대한 공지가 왜 없는 것일까? 자의(?)가 아니니 당당한 것인가? 올블을 보고 있으면 '깨진유리창'이 될지 모른다는 생각이 자주 든다. 예전 올블로그의 입사 취소와 마찬가지로 솔직하고 진솔한 모습이 보이지 않고있다. 블코와 비교를 하게 됨은 나만의 생각일까? 시스템과 사람의 차이를 느낀다. 02_ 오늘은 빼빼로데이다. 기업의 상술인지 알면서도 팔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런 현상을 기존 경제학은 어떻게 해석할까? 합리적(?) 인간은 존재하지 않는가. 03_ INIP2P가 많이(?)이용되고 있다. 택배서비스도 p2p로 간다라는포스트를 보았다. 흥미로운 서비스다. 하지만 몇 가지 우려 사항도 있다. 카풀과 비슷하군요. 한데 택배라는 것이 한국사람의 성격상 시급성을.. 2008. 11. 09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여름하늘님의 태터미디어와 쓰레기 블로그들은 다소 격앙된 논조를 가지고 있지만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더불어 좀비님의 쓰레기를 양산하는 마케팅?도 알지만 말하지 않는(? 못하는 것이 아니다) 이야기 중 하나다. 두 글 모두 '쓰레기'를 말한다. 우연인가 필연인가. 좋은 리뷰를 권하는 한국사회만 존재한다면 다양성이 부족하지 않으까? 더불어 던져주는 단무지에 현혹되는 관행을 이야기 한 블로그 마케팅, 돈가지고 "지랄"하는 것과 "상업화"을 혼동맙시다도 의미있는 말이다 파워 블로그는 '한국전력 홍보 블로그'라 말한다. 나는 그보다는 '파워콤 홍보 블로그'라 말하고 싶다. 02_ 책 읽기에 관한 좋은 강연이 있다. 동대문구 정보화도서관에서 주최한다. 책,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독서의 달인들에게 배우는 .. 2008. 11. 06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파벌싸움 교수님…A학점 제안 다른 교수 수업거부 유도를 한다니 세상이 어찌되려고 이러나. 무슨 대학인지 알고 싶다. 저 밑에서 무엇을 배우려나. 그냥 책이나 읽는 것이 도움이 되지않을까. 똥떵어리들... 서울북부지법 형사4단독 박상현 판사는 “A학점을 주겠다는 것은 소극적인 행위라 업무방해로 보기 힘들다”고 판결했다. 법원의 판결도 우습다. '소극적인 행위'라니 대학에서 수업이외에 무엇이 중요하다는 말인다. 미친... 02_ 오바마의 승리 요인은 무엇일까?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스토리가 있다. 저는 케냐 출신 흑인 남성과 캔자스 출신 백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저를 키워준 백인 외할아버지는 2차 세계대전 때 패튼 군단에서 복무했고, 할아버지가 바다 건너 전쟁터에 가 있는 동안 백인 외할머니는.. 2008. 11. 04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제갈공명’ 신드롬에 묻힌 고구려 역사는 맞는 말인것 같기도 하지만 자세히 보면 다른 점이 많다. 민족혼 되찾기를 강조하고 있다. 삼국지가 "중화사상을 퍼뜨리는데 원천이 된 것"은 맞다. 나관중의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면 더 그럴 것이다. 하지만 책이란 보는 이의 관점이 더 중요한 것이다. 그가 말하듯이 삼국지때문에 동북아공정에 무기력한 것은 아니다. 02_ 마이크로탑10의 발행자가 쏜다 이벤트 아이디어가 좋다. 12월31일까지 길~게 진행된다. 하지만 결과는 바로. 단순한 아이디어지만 재미있고 여러번 응모를 가능하게하여 서비스의 취지에 맞다. 하지만 현재 당첨된 현황이나 남은 현황이 없다. 주인장 마음이다. 물론 남은게 없다고 하면 12월 말까지 이벤트를 할 의미가 없겠지. 그러니 알려주지 않을 ..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