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949) 썸네일형 리스트형 왜 왜 왜? 나는 매일 궁금하다 : 백설공주는 왜 자꾸 문을 열어 줄까 왜? 왜? 왜? 나는 여전히 불쑥불쑥 솟아오르는 의문과 의심에 불편해하면서 살고 있다. 나는 매일매일 궁금하다. 이 책에 담긴 이야기들은 내 의문과 의심의 기록이다. 책을 읽고 많은 고민에 빠졌다. 우리가 알고 있는 수많은 이야기들이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무언가를 주입하려는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동화이기에 그런 의심에서 한 발 비켜서 있었다. 저자는 이러한 우리의 무관심 그리고 비겁함에 펜을 들었다. 인터넷 서점에서 검색하면 사회학일반, 인문 에세이에 분류되어 있다. 이 책은 어느 부류에 속하게 해야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민했다. 인문학과 교육학에 분류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동화를 있는 그대로 받아드린다면 너무 순진하다. 그 내면에 있는 주입하고자 하는 내용을 생각하는 것이 동화를 읽는 묘미이다. 적.. 익명의 섬은 필요할지도 모를 일이었다 뉴요커에 이문열 소설 이 실린다는 기사를 보았다. 신경숙의 미국 진출이 성공적이라는 기사를 오래전에 보았다. 이번 기사는 독자의 한 사람으로 기쁘다. 이문열이 보수주의 처지를 대변하고 페미니스트를 싸잡아 비판하는 등 한동안 논란의 한 가운데 있었다. 그 이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언론 보도는 전달의 의미가 강하다. 물론 단편소설이 번역되어 실리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겠느냐마는 만일 민족시인이라 불리는 이의 시 몇 편이 번역되어 실렸다면 이런 반응일까? 또 부질없는 상상을 한다.내용은 잘 알려졌다. 비교적 짧은 단편이다. 병신이라 불리는 깨철이는 그 마을을 유지하는 익명의 섬이다. 성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누구에게나 익명의 어떤 것이 필요하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이다. "그때, 착각이었을까, 나는.. 밀리언셀러를 반기지 못하는 현실 밀리언셀러가 나오면 출판계가 활성화 될까? 거창한 출판계의 활성화는 차치하고 몇 권의 책이라도 더 팔릴까? 아마도 아니라는 쪽에 한 표를 던지고 싶다. 잘 팔리는 책만 생길뿐이다. 파이를 키워 전체 시장을 키운다는 원론적인 이야기만으로 치부하기엔 현실은 그리 녹녹하지 않다. "1등만 ‘독주하는’ 구조 탓에 팔리는 책과 팔리지 않는 책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것"이 현실이다. "책의 다양성, 창의성, 의외성이 급격히 사라지고 있"다. 천만 관객의 영화가 나오는 해에는 순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하는 영화가 넘쳐나는 해이다. 천만 관객이 다양한 영화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없앤다. 멀티플렉스에는 선택의 폭은 좁아지고 그로 인하여 영화관에 가는 관객이 줄어든다. 되는 놈만 되는 양극화의 길로 접어든다. 밀리언셀러를 반기.. 마라톤에서 몇 등 하셨나요? - 마라톤에서 몇 등 하셨나요? - 등수는 의미가 없어요? - 그러면? ??? - 완주를 목표로 하는거지요. 등수는 의미가 없지요. 하하하 - !@#$%^&* 우문현답이다. 방송에서 카메라를 드리대고 물어본다. 항상 순위에만 집착 온 그 사람들이 몇 등이냐고 묻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질문이다. 1등부터 순서대로 줄세우는 것은 당연하다. 아무런 생각없이 자신만의 잣대로 우스운 질문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이 참가한 마라톤에서 등수는 의미가 없다. 자신과의 싸움, 즉 완주인가 아닌가가 최대의 목표이다. 어쩌면 이것도 아닐지도 모른다. 마라톤에 참가하는 것에 의미를 둘 수도 있다. 상대방과 소통하려면 그들이 무엇을, 왜 하려는지 고민하고 말하여야 한다. 자신의 잣대로 상대방을 평가하거나 재단하여서는 안된다.. 당신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하다 전화번호를 몇 개나 기억하는가? 기념일을 알람에 의지하지 않고 기억할 수 있는가? 어쩌다 이렇게 되었지라 탓해 보지만 어쩔 수 없다. 도무지 기억할 수가 없다. 아니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고 뇌가 나에게 지시한다. 메모하고 알람에 등록한다. 노트도 필요없다. 스마트폰에 등록하면 PC에서도 자동으로 싱크되어 확인할 수 있다. 점점 바보가 되어간다. 어른들은 게임 중독이라고 청소년만 탓할 일이 아니다. 당신의 스마트폰 중독도 위험하다.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폰 세상에서 깊은 사유와 생각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 스마트폰이 스마트한 삶을 가로막는 아이러니를 절감한다. 초인적인 의지로 억제하지 않으면 고요나 평온, 사유가 설 자리가 없는 것"이다. 인터넷 사이트와 서비스에 익숙해지고 의.. 이렇게 살 수도 없고 이렇게 죽을 수도 없을 때 서른 살은 온다 혹시 라고 아는가? 지금은 기억에서 멀어졌지만 2~30년전에는 영어, 영한 그리고 한글판 이렇게 간행되었다. 인기도 많았다.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장점은 소소한 소시민들의 감동적인 이야기를 나열한다. 마치 그 사람이 나인 것처럼. 를 보니 리더스 다이제스트가 떠올랐다. 그 책의 패턴을 고스라니 따르고 있다. 어디서 본 것 같은, 어디서 들었을 것 같은 이야기를 담백한(?) 문체로 기술하고 있다. 김이열의 를 보고 검색을 하였더니 최승자의 도 검색이 같이 된다. 사의 첫 구절과 책의 제목은 같다. "이렇게 살 수도 없고 이렇게 죽을 수도 없을 때 / 서른 살은 온다."이 정도면 같다고 표현해도 된다. 책의 어디를 보아도 제목에 관한 이야기는 없다. 저자가 몰랐거나 표절이거나 둘 중 하나일거다. 아쉽다. 하나.. 휴 그란트의 노팅힐 서점 사라진다 영화 노팅힐에 나온 서점 가 사라진다. 책장 하나 없어지는 것이 뭐 큰 일은 아니지만 기분이 않좋다. 우리나라의 책방도 없어지는 것이 부지기수이고 남아있는 책방의 갯수를 헤아리는 것이 빠를 수도 있다. 그래도 노팅힐에 나온 서점이 없어진다고 하니 우리동네 서점이 없어진 것과 같은 허전함을 느낀다. 평소에는 잘 가지도 않던 동네 책방이 장사가 안되어 문을 닫는다고 하니 괜히 책이라도 한 권 팔아주어야 할 것 느낌이다. 나의 현실이 아니다. 나부터도 오프라인 서점에서 책을 사지않는다. 볼 뿐이다. 오프라인 서점이 살아남으려면 .... 내가 바라는 미래의 작은 책방도 대책이 되지않고... 누가 뽀족한 묘책을 가진 사람 어디 없나. 김대중과 김영삼을 빗대어 구술한 현대사 : 김대중 vs 김영삼 김대중 曰 김영삼 씨는 대단히 어려운 일을 아주 쉽게 생각한다. 김영삼 曰 김대중 씨는 쉬운 문제를 대단히 어렵게 생각한다. 기자의 질문에 서로 상대방을 이야기 한 말이라고 한다. 사실의 진위를 떠나 두 명을 가장 잘 표현한 말이다. 위의 관점에서 두 명을 바라고 그들의 행보를 살펴보면 많은 것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연관된 인물들이 많이 살아있고 영향력이 있기에 전직 대통령들에 대한 평전을 찾아볼 수 없다. 이번에 나온 은 김대중과 김영삼을 빗대어 구술한 야사野史이다. 김대중이 나으냐 김영삼이 나으냐의 문제를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을 빼고는 한국 현대사를 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가 알고 있기로는 선거중에서 가장 극적인 것이 2번 있는데 그 둘다 김영삼과 김대중이 있었다.. 서평으로 논쟁하는 광장이 필요하다 논쟁은 불구경, 싸움구경과 함께 재미있는 것 중 하나다. 한 발 빠져나와서 이기는 편이 우리 편이라는 유치한 생각을 한다면 좀 더 재미있다. 한 발 빠지지말고 적극 참여하여 논쟁의 중심에 서 있으면 또 그 나름 흥미진진한 일이다. 김영하-조영일 논쟁 : 작가론, 문학론 생산적 논쟁이 되었으면도 있었고 장정일과 조영일의 것도 있었다. 올바른 논쟁이 활성화되려면 논쟁의 중심지가 필요하다. 우리는 논쟁이라는 것에 약하다. 논쟁은 좋지 않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모든 것은 일제가 조선 시대 당쟁사를 조선 망국의 원인으로 인지시켰기 때문이다. 논쟁을 통하여 더불어 발전할 수 있으며 자기 세를 넓힐 수 있다. 논쟁과 토론은 상대방을 이기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상대방과의 논쟁을 통하여 자기를 지지하는 세력.. 누군가에게 진지함을 주고 있는가. 반대로 누군가의 진지함을 받고 있는가. 강신주의 글을 보고 출판에 대한 저자의 의무라든지 편집자와 저자 그리고 대표와의 미묘한 파워 게임을 말하고 싶지 않다. 나는 여기서 인간 관계를 보았다. 나는 누군가에게 진지한가. 누군가는 나에게 진지한가. 이 물음에 비겁함을 느낀다. 그럴 수밖에 없다는 이상한 말로 나의 비겁함을 감추려 한다. 누군가에게 진지함을 주고 있는가. 반대로 누군가의 진지함을 받고 있는가. 이 물음에 당당하게 '예'라고 말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주위의 사람이 점점 없어지는 것을 느낀다. 사실은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없는 것을 깨달아 가는 과정인데 그것을 지금 깨달았을 뿐이다. 적은 사람이나마 소중히 여기고 진지하게 대해야겠다. 문자라도 한번 보내야 하나. 덧_ 아래 글을 읽다가 궁금한 의문점. 출판사 사..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