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402)
기역이야 기윽이야 뭐가 맞는 것인지 ... 개뿔 가장 기본인 자음의 이름을 내가 잘못 알고 있었다니. 이제 어떻게 읽어야 하며 아이에겐 뭐라고 이야기할까? 'ㄱ, ㄷ, ㅅ' 이름(기역, 디귿, 시옷), '기윽, 디읃, 시읏'으로 하루빨리 바꿔야 한다고 하지만 뭐가 맞는지. 훈민정음학의 권위자 김슬옹 교수의 글을 옮겨 놓은 것을 읽었다. 지금까지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하지만 읽어보니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게 잘못된 것으로 생각된다. 몇 가지 내용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기역 · 디귿 · 시옷' 자음 명명법은 한글의 과학성을 부정하는 이름이다. (쌍기역, 쌍디귿, 쌍시옷도 마찬가지) 비합리적이고 잘못된 이름을 관습이라고 유지하는 것은 잘못이다. 현대 한글 기본 자음 14자 가운데 세 명칭만 규칙에서 벗어나 있다. 다른 자음은 '니은, 리을'처럼, 모음..
네이버가 주는 달콤한 사탕에 다른 많은 것을 포기하고 있다 때로는 한 권의 책보다 사전이 개념 정리에 유용할 때가 많다. 여러 권이라면 더 좋다. 이러한 면에서 인터넷이란 유용한 존재이다. 네이버가 주는 달콤한 사탕에 다른 많은 것을 포기하고 있다. 네이버에 얶매여 다른 좋은 서비스를 경험할 기회를 스스로 버리고 있다."네이버의 불공정한 검색 방식 때문에 이용자들이 불법복제한 자료를 네이버 내부에 쌓고, 정작 콘텐츠를 생산한 사람이나 다른 인터넷 사이트는 굶어죽는다." 이로서 네이버가 쳐놓은 ‘그물’ 안에서 해결된다. 편하니까 이용자들은 몰리고, 네이버라는 ‘가두리 양식장’ 안에는 더 많은 콘텐츠가 쌓이고, 다시 네이버 쏠림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진다. ‘네이버 제국’ 뭇매 자승자박인가 재갈물리기인가라는 질문은 무색하다. 현재 언론(조중동)과 네이버의 상황을 가장..
80만 원 보다 차라리 무죄가 더 솔직하다 “정치인 벌금선고, 왜 80만 원이 많을까?”라는 물음은 어리석은 물음이다. 100만 원이면 당선 무효 해당, 90만 원은 봐줬다고 오해 살까 봐 80만 원 벌금형을 내린다고 한다. 80만 원이면 봐줬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고 판결을 내린다면 그건 판사의 자기만족에 불구 하다. 관례慣例 : 전부터 해 내려오던 전례(前例)가 관습으로 굳어진 것. 전례前例 : 이전부터 있었던 사례.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일 처리의 관습. 관습慣習 :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 내려와 그 사회 성원들이 널리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 법원은 “의원직을 박탈할 만큼 중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관례로 벌금 80만 원을 선고하는 추세”라고 한다. 반대로 어떤 일이 의원직을 유지할 만큼 미미한 것인지 묻고 싶다. 관..
책 장사꾼은 여느 장사꾼과 다르다 “여느 장사꾼들과는 분명 다른 분들이니까?”라는 말을 곧이곧대로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기자는 이렇게라도 그들에게 읍소를 하는 것인지 아니면 조소 섞인 웃음을 보내는 것일까? 자체적인 콘텐츠로는 자생할 수 없다고 보이는 어떤 집단이 다른 것에 빌붙어 (좋은 말로 하자면 공생하며) 살고 있다. 얼마 전에는 《레미제라블》, 지금은 《위대한 개츠비》이다. 기존에 나와 있던 책은 18개월 10% 할인이라는 규제를 벗어나 절반 이하 가격으로 판매한다. 기왕에 찍어낸 것이고 많이만 판다면 대부분 이익이 된다. 이런 호재를 다른 출판사가 놓칠 리는 만무하다. 하지만 18개월이란 족쇄가 있다. 이 족쇄를 교묘히 피해 많은 책을 판 출판사가 있다. 세계문학 전집을 발행하며 18개월에 적용되지 않는 실용서로 신고했다...
우리 아이는 행복하다고 생각할까? 아이의 행복과 조화로운 성장에 가장 결정적이라는 ‘놀기’의 면에서라면 독재자 시절보다 못한 걸 넘어 비참한 지경이다. 독재자의 시절에는 아이가 오후 내내 뛰어놀았지만 이제 아이는 뛰어놀기는커녕 오후 내내 혹은 밤늦도록 컨베이어 벨트 위의 부품처럼 학원을 돌며 시들어간다. 왜 아이들은 독재 시절 아이들보다 행복하지 않을까? 김규항은 묻는다.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그래서 곰곰이 생각했다. 학원 안 가고 길거리에서 뛰어논다고 행복할까? 학원 다니는 아이는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가? 아이의 부모는 그때 행복했을까? 개그처럼 단지 ‘그때가 좋았지’일 뿐인가? 진보적인 시민은 체벌이나 억압적 교육 같은 권위주의 교육엔 단호히 반대하지만, 아이가 학원을 돌며 시들어가는 신자유주의 교육 상황은 ‘어쩔 수 없는 ..
글은 오래 멀리 전해져서 가리거나 마멸시키지 못한다 대체로 마음은 한 치 가슴속에 감추어져 있고, 말은 깜짝할 사이에 나오는 것으로, 마음은 허물이 있더라도 사람이 혹 다 보지 못하고, 말은 실수가 있더라도 또한 일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글이란 그렇지 못하여 한 번 먹물로 종이에 쓰면 오래도록 멀리 전해져서 이미 가리거나 마멸시키지 못한다. 찌라시 기사가 난무한다. 기자 이름별로 기사를 볼 수 있다면, 자신의 이름을 걸고 글을 쓸 수 있을까? 말도 안 되는 낚시질하는 기사를 보면 신문사를 이름을 본다. 하지만 정작 그 주체는 그 기사를 쓴 기자가 책임져야 한다. 그게 자신의 의사와 무관할지라도. 사실 이런 경우는 없겠지만. 기자만이 아니다. 많이 배웠다는 (가방끈이 길다는 것 외에는 어떤 의미도 없겠지만) 먹물도 더 했으면 했지 결코 덜 하지 않다..
“김미경 논란”, 진짜 문제는 사람이다. 찌라시가 날뛴다. 앞뒤 말을 짤라 자기 입맛에 맞추어 재단한다. 자기 입맛에 맞추면 주관이 있다고 말하겠지만, 낚시질하려고 대중에게 던지는 밑밥이다. ‘김미경 논란’이라는 제목으로 낚시질하고 있다. 밑밥을 덥석 물은 나 또한 그들의 낚시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논란의 내용은 방송 중 “저는요 자기계발서 같은 걸 안 읽어요. 저는 인문학 서적 읽어요.”라고 말하는 젊은이들에 대해 “어디 갖다 쓰려고?”라고 반문했다. 이어 “인문학은 지혜를 만들기 위해 읽는 것이고, 그 사람의 지혜가 300페이지 서적으로 쓰이면 그게 자기계발을 해온 거고, 그게 자기계발 서적이다. 근데 안 읽는다고? 웃기고 있어. 시건방 떨고…"라고 했다. 기사 내용만으로도 논란거리가 안 된다. 가끔은 나무가 아까운 책도 많다. 하지만 대..
졸업식과 졸업장 수여식 2월에 큰 아이의 초등학교 졸업식이었다. 졸업식에 참석한 게 대학 졸업식 이후 처음이다. 사실 초등학교 졸업식이라는 게 별다른 게 없다는 건 해본 사람이면 다 안다. 졸업 선물은 미리 다 받았고 몇몇 친구와 사진 찍고 식구와 함께 중국집에 가서 짜장면 먹는 게 전부다. 졸업식장에 가보니 ‘졸업식’이 아니라 ‘졸업장 수여식’이라 걸려있었다. ‘졸업식’이 ‘졸업장 수여식’의 줄임말이었던가? 잠시 생각했다. ‘졸업식’과 ‘졸업장 수여식’의 차이를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 큰 차이가 있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하지만 둘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만큼 크다. ‘졸업식’은 졸업생이 주인공이다. 그간 다닌 학교에서 후배, 선생님과 부모님을 비롯한 친지가 축하해주는 자리이다. 공부를 열심히 했건 졸업장을 받기 위해 ..
진보정의당은 구걸하듯이 ‘양보’를 구할 게 아니다. 노회찬이 이해할 수 없는 법으로 국회의원직을 박탈당해 그의 지역구 노원병에서 보궐 선거가 치러진다. 노회찬의 부인 김지선 씨가 보궐 선거 후보로 나온다. 유시민의 정계 은퇴로 도로 진보신당 탈당파만 남게 되었다.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진보정의당의 처지에서는 고육지책이다. 안철수는 귀국하여 노원병의 보궐선거에 나오려 한다. 노회찬이 당선된 지역이니 여권보다 야권이 강해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여의도로 연착륙하려 시도한다. 안철수의 처지에서는 쉽게 가는 길을 택하는 게 부산에서 예측할 수 없는 선거보다 나을 수 있다. 안철수의 선택을 논하기 전에 진보정의당의 대응이 더 문제이다. 김지숙은 안철수에게 “이번 선거는 거대권력에 대한 국민심판의 의미가 큰 만큼 안 전 교수에게 양보해 달라고 말하고 싶다”고 말..
편견은 애초부터 비이성적이다 꽃밭을 지나며 이렇게 많은 꽃들이 그들 몰래 피어 있다니! _송기원 다시 꽃밭을 지나며 저렇게 많은 꽃들이 그들에게 들켜 시들어 버리다니! _송기원 그 꽃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_고은 인간은 같은 사물을 보고 각기 다르게 느낀다. 같은 ‘꽃’이란 사물을 보고 다르게 표현한 글이다. 많은 이가 송기원의 그것보다 고은의 것이 좋다고 말할는지 모르지만 고은보다도 송기원이 더 절절하다. 아직도 송기원이 바라본 ‘꽃’이 많은 세상이다. 고은이 차라리 그 ‘꽃’을 보지 않았으면. ‘꽃’을 보고 생각한 게 아니라 송기원과 고은을 보고 ‘꽃’을 바라보며 생각했다.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글보다도 다른 편견으로 보고 있다. 편견은 “생활환경 속에서 사회적으로 학습되어 간다. 타당한 증거나 직접적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