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우소 (443) 썸네일형 리스트형 역사교과서 논란은 왜 일어나는가?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이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왕조나 정권의 정당성을 위해 과거를 기록한다. 지금 역사교과서가 논란이 되는 이유는 단 한 가지, 승자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와 상황이 비슷했던 베트남에서 역사, 과거의 기록 때문에 논란이 일어났다는 것을 들은 바 없다. 신채호가 역사를 아와 비아와의 투쟁이라 했듯이 지금의 상황은 각자의 처지에서 비아와의 투쟁의 연속이다. 논란을 종식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누군가 승자가 되는 일뿐이다. 역사학자는 역사적 사실에 기초한 내용만을 인정한다고 말한다. ‘역사적 사실’이라는 기록이 진실을 기록한 것인가에 대해 누가 맞는다고 말할 수 있나. 이중텐은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를 사불동이리동事不同而理同이라 했다. 뜻을 보면 "일은 다르지만, 이치는 같다"이다. 역사도 .. 우리 모두가 '죄 없는 잘난 사람'이 아닐까 틀림없이 정통성과 정당성이 결여된 권력의 출현은 사회 · 문화 · 경제 · 교육, 기타 여러 분야에 그릇된 영향을 주고 그 본질을 왜곡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또한 틀림없는 것은 사회 여러 분야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을 때 그런 부당하고 부정한 권력이 출현할 수도 있다. 현실성 없는 예가 될지 모르지만 이른바 신군부 세력이 워싱턴이나 파리나 런던에 출현했다고 가상해 보자. 한 정보사령관과 몇몇 장성이 몇천 명의 군대를 풀어 워싱턴 · 파리 · 런던을 장악하고 각료를 연금했다고 해서 미국이나 프랑스 · 영국에 우리 식의 5공이 생겨났을 것 같지는 않다. 다시 말해 우리에게서만 유독 5공이 가능했던 대는 우리 사회 전체가 책임져야 할 부분도 있는 셈이 된다. 그런데도 우리의 5공 문제 처리는 철두철미.. 진짜 좋은 책은 사람이다 의사 유태우의 글을 보았다. '서재는 소모품'이라고 한다. 소모품이라 해 의아하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공감 간다. 저에게 서재는 한마디로 소모품입니다. 서재가 소모품이라고 하면 조금 이상하게 들리실지 모르겠지만, 서재뿐만이 아니고 저는 제가 가진 모든 소유를 소모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모품이라는 뜻은 없어진다는 것이거든요. 책도 없어지고, 지식도 없어지고, 제 머릿속에 있는 지식도 계속 항구적으로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없어졌다가 다시 채워지기도 하고, 새것으로 대체되기도 하고. 모든 지식, 모든 책도 다 그렇게 돼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내 서재는 소모품입니다. 의사 유태우가 추천하는 '내 인생의 책'중에서 진짜 좋아하는 책이 있다. 책 형태를 보인 책이 아닌 '사람'이다. 마지막으로 제가 .. 선인장에 핀 꽃 가시를 뚫고 올라 온 꽃. 기척도 없이 피었다. 48,000원 그리고 품절 48,000원이 부담스러워 몇 년째 사지 못한 책이 있다. 늘 책은 구할 수 있으니 안 샀다. 하지만 늘 예상은 예측을 비웃는다. 48,000원이 부담스러운 금액이 아니라 책 한 권에 48,000원이 상대적 크게 느껴진다. 요모조모 따지지 않아도 그 정도 가격이 나올 거라는 건 안다. 그럼에도 한 권에 48,000원은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같은 경우가 또 생기더라도 안 산다. 그 책을 사서 읽기보다는 책장에 꽂아두고 스스로 만족을 느낄 게 분명하다. 그렇다면 차라리 소주 몇 병을 먹는 게 나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번에 샀다고 하더라도 매번 이런 일은 반복될 것임이 틀림없다. 내 것이 아닌 것은 커 보인다. 더욱이 잡을 수 없는 것은 더 크게 보이고 아쉽다. 그래서 일 년에 한 번만 펼치더라도 내 방 책장.. 봄맞이 봄맞이 난 몇 개 장만했다. 난이라 하니 거창하지만 난이다. 화분 심지 않고 쟁반에 넣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물 주면 된다. 작년 3개 중에서 둘을 죽이고 하나만 남았다. 왼쪽 두번째가 그것인데 이름은 모른다. 새로 장만한 것은 아주머니가 친절하게 적어주셨다.내년 봄에 6개를 모두 보는 게 소박한 소망이다. 적으나마 집안에 봄 기운을 전해준다. 진실을 담아내는 사진작가 최민식 별세 책과 사진으로만 보았던 최민식, 이제 그를 기억할 방법은 그가 남긴 진실한 삶의 얼굴을 가진 사람의 사진과 글뿐이다.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의 모습이다. 이 사진을 보면 지금 우리 세대의 얼굴은 어떻게 기록될까? 연예인의 가식적인 얼굴이 시대를 대변할 거라 생각하니 한숨만 나온다. 신문에 난 부고 기사로 그의 삶을 말 할 수 없다.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 1세대 작가 최민식 씨가 12일 오전 8시40분 부산시 남구 대연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5세." 최민식의 '모든 예술은 진실해야' 한다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이다. 사람에게서 희망을 볼 수 있고, 사람이 곧 삶이다. 사진(寫眞)은 말 그대로 진실을 찍는 거에요. 찍고 나서 트리밍이나 포토샵 같은 조작을 절대 하지 않아요. 그.. 갈 길 멀고 어리석은 나에게 밤은 왜 이리 길고도 깊은가 길을 잃은 사람은 자기가 어디에 있는지를 묻지 않는다. 대신 어디로 가면 좋겠냐고 묻는다. 마찬가지로 의미를 묻는 사람도 그것은 무슨 의미인가를 묻기보다는 그 의미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를 물어야 한다. _새뮤얼 애드셰드, 《소금과 문명》 앞뒤 짤라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읽고, 읽고 또 읽었다. 몇 번을 읽었나. 잘못된 질문에 올바른 답이 나올 수 없다. 나는 제대로 된 질문 하면서 살고 있는가? 갈 길 멀고 어리석은 나에게 밤은 왜 이리 길고도 깊은가.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길이 멀 듯이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에게 생사의 밤길은 길고도 멀어라 _《법구경》 2012년 12월 19일 그리고 12월 22일 2012년 종말론은 마야력에 따른 것이다. 마야력은 360일을 1툰, 7,200일을 1카툰, 144,000일이 1박툰이라 부른다. 13박툰에 해당하는 1,872,000일을 하나의 거대한 주기로 생각했다. 전문가를 따르면 기원전 3114년 8월 11부터 제1박툰일이 시작한다고 한다. 13박툰이 끝나는 날이 2012년 12월 21일이다. 이 거대한 주기가 끝나는 것을 두고 많은 사람이 2012년 종말론을 말한다. 하지만 12월 22일 새로운 해가 떴다. 2012년 12월 22일은 마야력의 한 주기가 끝나고 새로운 주기가 열리는 날이지 세상의 종말을 뜻하는 게 아니다. 지금은 회갑잔치를 하지 않지만 회갑은 인생의 새로운 주기의 시작이라는 의미에서 잔치를 열고 새로운 주기를 맞이하는 날이었다. 끝이 꼭 마지막을..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합니다. (140장) 티스토리 2012 우수블로그 에 선정되어 초대장 100장이 생겼습니다. 총 145장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다고 이자가 붙는 것도 아니고 배포하는 게 도리라 생각합니다. 꼭 메일 주소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가능하면 사생활 보호에 따라 비밀댓글이 낫겠지요. 초대장은 댓글 달린 순서대로 보내드립니다. 메일 주소는 나중에 변경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청할때는 꼭 필요합니다. 구구절절한 사연은 필요 없습니다. 필요하신 분 신청하세요. 덧_ 신청하시고 트위터 @1bangblues 팔로잉 부탁드립니다. 리미트에 걸려 더 이상 추가 불능 상태입니다. 덧붙임_ 두 번 댓글 쓴다고 두 번 보내드리지 않습니다. 한 번만 써주세요. 그리고 aaaaaa@다음 이렇게 메일 보내주시면 수정해야 하는데 그렇게 제가 성의 있지 않습니다.. '안 팔린다'와 '안 읽는다' 대부분 제조업체나 유통업체는 장사가 되지 않으면 물건이 팔리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단 한 군데만 "요즈음 독자는 책을 읽지 않는다. 책을 사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한편으로 이해는 가지만 공감할 수 없는 말이다. 매출 문제는 소비자가 아니라 판매자의 몫이다. 유통질서, 즉 출판시장의 왜곡을 말하지만 어느 유통도 그만큼 왜곡되지 않은 업종은 없다. 시장의 왜곡을 만든 것도 자신이기에 해결도 자신이 해야 한다. 사자 위장에 탈이 나면 풀을 먹듯이 병든 인간만이 책을 읽는다. 오늘날의 사람만이 그런 것이 아니라 인류 역사에서 책을 읽은 이는 전체 숫자와 비교하면 몇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우리는 책을 읽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린다. 대다수 사람이 행하고 있다 하여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며, 압도적 .. 맥스무비 4,000원 할인권 사용하세요 맥스무비 4,000원 할인권입니다. 유효기간은 오늘이 마지막입니다. 필요하신 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쿠폰번호 ->ZEIJ-3519-4981 이전 1 2 3 4 5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