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외치기 (2711) 썸네일형 리스트형 7천만 겨레 앞에 머리 숙여 인사를 올립니다 - 故 늦봄 문익환 목사 부고광고 문익환(文益煥), 1918년 6월 1일 ~ 1994년 1월 18일 7천만 겨레 앞에 머리 숙여 인사를 올립니다“통일의 선구자 故 늦봄 문익환 목사 겨레장”에 참여하셔서 비통한 마음을 함께 나누고, 유가족을 위로하고, 통일위업 완성의 결의를 다지신 모든 분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해내외에서 여러분이 분향소를 차리고 애도해 주셔서 깊이 감사드립니다. 김일성 주석과 국제사면 위원회(엠네스티인터내셔날)를 비롯한 많은 단체와 여러분이 목사님의 큰 뜻을 기리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조전을 보내주셔서 고맙습니다. 또한 북녘에서 조문단을 파견코자 노력하셨음을 감사드리며, 그 방문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민중의 벗"이신 문목사님을 잃은 슬픔을 딛고 일어나 다시 서기 위해서 우리는 다가오는 4월 .. 김지하는 암흑시대를 밝힌 촛불 하나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 김지하 시인의 갑작스러운 부고에 문단 및 문화계 인사는 큰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들에게 김지하는 촛불이었고, 민족 예술 1세대의 대선배였으며, 한편으로 인간 생명을 재해석한 시인이자 철학자였다. 시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문화계 인사 4인의 육성(肉聲)을 싣는다.●이문열(소설가)젊은 시절 내 소설 ‘황제를 위하여’를 읽고서 보자고 해 만났다. 그때 난초 한 포기를 그려준 것이 첫 만남이었다. 술자리에서 “사람들이 자꾸 나보고 내가 죽기를 바라는가보다, 왜 죽지 않느냐고 생각하는 거 같다”면서 그는 괴로워했다. ‘한때 헹가래를 받으며 솟구쳤다가 다시 떨어져 냉담한 대접을 받는 사람 기분이 이렇겠구나’ 생각했다. 2005년.. 생각을 깊게 만드는 질문 연습법 5가지 - 질문커뮤니티 질문은 문제의 본질로 다가가는 방향 감각을 키운다.질문은 답을 얻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생각을 확장하는 힘이다. 잘 던진 질문 하나가 모호한 문제를 선명하게 하고,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길을 찾게 만든다. 그렇다면 좋은 질문을 하는 능력은 어떻게 길러질까? 다음 다섯 가지 방법은 질문력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인 연습이다.① 자주 쓰는 앱에 질문 던지기무심코 스쳐 지나갔던 인터페이스를 의식적으로 바라보며 질문하라. “왜 이런 디자인을 택했을까?” “이 버튼은 꼭 필요한가?” 이런 질문은 의도를 추적하는 연습이다.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사용자 관점으로 사고하는 습관이 생긴다.② 사이드 프로젝트는 팀으로 하기협업은 최고의 질문 연습장이다. 누군가와 함께 작업한다는 것은 내 시선과 다른 관점을.. 시대와 불화했던 마광수 교수 별세 마광수(馬光洙), 1951년 4월 14일~2017년 9월 5일 ‘마광수’가 죽었다. 외람되게도 부고에서 이름 석 자만 쓴 것은 마광수라는 이름이 우리의 한 시대를 상징하는 기호였기 때문이다. 소설가 김연수가 “대뇌의 언어로 말하던 사람들이 갑자기 성기의 언어로 말하던 시절”이라고 회고했던 1990년대 들머리, 마광수는 스스로 시대를 드러내는 아이콘이었다.명문 대학 교수가 “야한 여자가 좋다”라고 떠들고 다녀서, 또는 “장미여관으로 가자”라고 뭇 여성을 꾀어서 마광수에 열광했던 것은 아니다. 고지식하고 점잖은(혹은 그러한 척만 하는) 사회와 혼자만의 방식으로 맞짱을 뜬 혈혈단신이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응답하라’로 시작하는 TV 드라마가 동화처럼 어여쁘게 그려낸 그 시절, 마광수는 문화 게릴라였고 민주화..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앞서서 나가신 님, 민중의 배짱 백기완선생 추모시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앞서서 나가신 님, 민중의 배짱 백기완선생 추모시—김태철(시인)벗이여 쩡쩡 참나무 얼어 터지는 날 새벽녘 향불 내음마저 떠나고 나 떠나는 꽃상여 소리에 울지 말아요 민중 승리의 맨 마루에서 우주의 깊이보다 더 깊은 민중의 배짱에 무지개 불을 지펴줘요 인류 최초로 돈과 분단과 학벌과 엘리트라는 저 제국의 공고한 벽을 허문 육개장처럼 얼큰하고 알싸한 일하는 사람들의 배짱과 그 맵고도 독한 노동 존중의 절정을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않게 노래, 노래를 해 주오여러분 혁명이 뭔 줄 아시죠 세상 사람들은 손바닥을 확 뒤집는 거이 혁명이라 하지만 난 혁명이란 손바닥에 흙 한 줌 고이 쥐.. 당신의 부고는 당신이 직접 쓰라 … 죽기 전 최고의 글쓰기 타인의 부고를 쓰는 것 혹은 읽는 것은, ‘애도’라는 여비를 지불하고 한 인간의 인생 터널을 관람하는 ‘가성비 높은’ 체험이다. 수많은 죽음을 접한 그가 살아있는 이들에게 당부하는 것은 무엇일까?바로 ‘당신의 부고는 당신이 직접 쓰라’다.만약 부모가 병석에 누워 돌아가실 날을 기다리고 있다면, 하루라도 빨리 부모를 인터뷰해서 그들이 인생에서 이루고자 했던 것을 기록하라고 권유한다. 가족의 인생 이야기조차 쓰기 전까지는 세상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행히 제임스 R. 해거티가 쓴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에는 망자를 묘사하는 신랄하고 유머러스한 수많은 부고가 샘플로 등장한다.오토바이로 사망한 형을 향해 ‘다정한 사람’이자 ‘어쩌면 동부에서 가장 지독한 짠돌이였을지도 모른다’고 묘사하는 동생, 시.. 짐을 내려놓고, 부디 좋은 방 얻어 편히 주무시라 - 김영현 작가 별세 김영현 작가가 25년 5월 9일 별세했다. 향년 70세. 싸우는 법을 배워야지 쉽게 타협하지 않고 타협을 두려워하지 않고 말할 수 있을 때까지 말하고 독초처럼 퍼렇게, 여우같이 독사와 같이 가시나무같이 살아 이기는 법을 배워야지. —「싸움꾼의 노래」 中김영헌은 시보다 소설을 먼저 알았다. 아마도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일 것이다. 「풀빛판화시선」으로 나온 『겨울 바다』로 그를 읽었다. 몇 년 후, 『남해 엽서』를 보았다. 그와의 기억은 끝이다. 소설집은 어디로 가버렸고, 시집은 두 권을 가지고 있다.그 후론 오랫동안 책장에 있었다. 어쩌다 실천문학 대표이사로 취임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렇게 나에겐 잊힌 이름이었다. 그의 부고 기사를 보았다. 그래도 젊은 시절 한때나마 같이 있었던.. 오직 살아 있어 아름답다,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신경림 1주기 신경림(申庚林), 1936년 4월 6일~2024년 5월 22일 살아있어야 희망을 찾을 수 있고, 희망이 있는 곳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아직 살아 있어, 오직 살아 있어 아름답다.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시인은 발견하는 사람이다. 늘 보던 것에서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이다. 늘 다니던 길에서 안 보이던 것을 발견해내는 이다.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는 사람이다.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을 보는 사람이다. 시는 그것들과 만나는 것이다. 미미한 것, 숨어 있던 것, 드러나지 않던 것, 하찮은 것들과 만나는 것이다. 만나서 일으켜 세우는 것이다. 존재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존재 자체로 의미 있다는걸 알게 하는 것이다.신경림 시인은 “시 쓰기 역시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 최동원 14주기, 우리 마음의 마운드 위에 최동원(崔東原), 1958년 5월 24일~2011년 9월 14일 9월 14일은 한국 프로야구의 ‘영원한 레전드’, 부산 시민이 가장 그리워하는 사람, 불멸의 투수 최동원의 14주기다.그는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혼자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를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후 롯데는 1992년에 한 차례 더 우승한 뒤, 지금까지 33년째 정상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열심히 해서, (한국시리즈) 전 경기에 다 나가더라도 이길 수 있는 게임은 이기고 싶습니다.” 27살의 안경 쓴 까까머리 투수는 1984년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승리투수가 된 뒤 이렇게 말했다. 이날 그는 138구를 던져 4-0 완투승을 거뒀다. 그저 호투가 아니라, 사투였다. 사람들은 생각했다. ‘아무리 그래도 전 경기엔 못 나가겠지.’ .. 나의 부고 기사를 준비하는 법 얼마 전 만난 모 신문사의 국장은 자기 담당이 아닌데도 부고 기사를 가끔 쓴다고 했다. 자신과 친분이나 추억이 있는 어르신이 돌아가셨을 때 그분을 만나본 적도 없고 잘 모르는 젊은 후배보다는 자신이 정확하고 애정을 담아 부고 기사를 쓸 수 있기 때문이란다. 인터넷을 뒤져 요약한 자료와는 달리 잘 쓴 부고 기사는 고인을 위한 마지막 선물이기도 하다.며칠 지나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서 부고 기사, 즉 어떤 사람의 죽음을 지인에게 알리는 기사 담당인 제임스 R. 해거티가 쓴 『그렇게 인생은 이야기가 된다』란 책을 읽었다. ‘부고 전문기자가 전하는 삶과 죽음의 의미’란 부제가 더 마음에 와닿는다.독자에게 죽기 전에 스스로 부고 기사, 아니 부고를 써보라고 권한다. 남에게 기억되는, 왜곡되었거나 뻔한 부고.. 피델 카스트로의 전기, 50년 쿠바 대통령 피델 알레한드로 카스트로 루스(Fidel Alejandro Castro Ruz), 1926년 8월 13일 ~ 2016년 11월 25일 피델 카스트로는 1959년 쿠바를 무력으로 장악하고 거의 50년 동안 독재자로 군림했다. 서반구 유일의 공산국가 지도자로서, 카스트로는 오랫동안 국제적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주요 사실: 피델 카스트로- 주요 경력: 쿠바 대통령, 1959–2008- 출생: 1926년 8월 13일, 쿠바 오리엔테주- 부모: Angel Maria Bautista Castro y Argiz, Lina Ruz González- 사망: 2016년 11월 25일, 쿠바 아바나- 학력: 산티아고 데 쿠바 Colegio de Dolores, 하바나 Colegio de Belén, 하바나 대학교- 배우자.. 아, 백기완 선생님... 이젠 편히 쉬소서 백기완(白基琓), 1932년 1월 24일~2021년 2월 15일 아, 백기완 선생님... 이젠 편히 쉬소서오늘(2월 15일) 아침 일찍 백기완 선생의 부고를 접했습니다.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에 입원해 계시다는 소식은 여러 경로를 통해 들었습니다만 코로나19로 뵙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잠잠해지면 가까운 동지들과 병문안을 가기로 약속해 두었는데... 이렇게 가시다니 몸 둘 바를 모르겠습니다.백 선생님은 우리 후배들에게 만년 청년으로 각인되어 있었습니다. 청년 때의 기백이 고스란히 유지되고 있는 이유가 클 것입니다. 사람들은 맑고 젊은 정신을 육신의 강건함과 혼동하는 우(愚)를 종종 범합니다. 또 일평생 민중적 삶과 생각이 변하지 않은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입니다.뒤에 뉴스를 찾아보니 오늘.. 죽음을 앞두고 있다는 몇 안 되는 장점 제인 캐서린 로터3기, 2C 단계 자궁내막암이 간과 복부로 재발 전이된 상태에서 죽음을 앞두고 있다는 몇 안 되는 장점 중 하나는, 스스로 자신의 부고를 쓸 시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장점이라면 더 이상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필요도 없고, 콜레스테롤 수치 걱정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겠지요.) 그러니 시작하겠습니다.저는 1952년 8월 10일 시애틀 노스게이트 병원(지금은 철거됨)에서 태어났습니다. 쇼어라인에서 자라 쇼어크레스트 고등학교에 다녔고, 1975년 워싱턴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열아홉 살 때 8개월 동안 뉴욕에서 살았던 일을 제외하면 평생을 시애틀에서 보냈습니다. 그 시절 저는 B. 알트만 백화점의 전화 주문 부서에서 즐겁고 거리낌 없이 일했지요.직업적으로 저는 프리랜서.. 지하 형님의 추억, 그리고 작별 - 김지하를 추도하며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김지하를 추도하며 ③—이동순 시인1. 담시 ‘오적’이 준 충격1970년 가을 어느 날, 마침 정주동 교수의 ‘홍길동전’ 수업을 마치는데 진보적 서클 현대사상연구회의 멤버인 동기 K가 상기된 얼굴로 무언가를 돌렸다. 그것은 프린트 등사본으로 된 김지하 시인의 담시 ‘오적(五賊)’이었다. 구멍이 숭숭 뚫린 거친 갱지에 인쇄된 작품의 어법은 당차고 소름이 돋았다.시를 쓰되 좀스럽게 쓰지 말고 똑 이렇게 쓰럇다. 내 어쩌다 붓끝이 험한 죄로 칠전에 끌려가 볼기를 맞은지도 하도 오래라 삭신이 근질근질 방정맞은 조동아리 손목댕이 오물오물 수물수물 뭐든 자꾸 쓰고 싶어 견딜 수가 없으니, 에라 모르겄다 볼기가 확확 불이 나게.. 김지하로 가는 길 - 김지하를 추도하며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김지하를 추도하며 ② —정지창 평론가·전 영남대 교수김지하(金芝河), 뭇생명의 숨통을 틀어쥐고 있는 죽임의 문화에 온몸으로 저항한 비극의 주인공이 마침내 무대에서 퇴장했다. 1941년부터 2022년까지 그는 동학농민군의 마지막 생존자로, 분단된 한반도의 남쪽에서 피투성이가 되도록 ‘새 하늘 새 땅’을 찾아 헤매었으나, 끝내 그가 갇혀 있던 감옥을 탈출하지는 못했다. “어두운 시대의 예리한 비수를 / 등에 꽂은 초라한 한 사내”(「1974년 1월」)의 이마에는 슬픔과 고통과 투쟁과 명예와 패배와 배신의 낙인이 찍혀 있다.「황톳길」과 「타는 목마름으로」를 비롯한 빼어난 시편들을 절규처럼 토해낸 저항시인, 「오적(五賊)」을 비.. 타는 목마름으로, 지하를 다시 생각한다 - 김지하를 추도하며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 본명은 김영일(金英一)김지하를 추도하며 ①—도올 김용옥 T. S. 엘리엇의 시를 읽을 때마다 나는 이런 생각에 잠기곤 한다. “우리에게는 엘리엇보다 더 훌륭한 시인이 있었다.”시인을 놓고 누가 누구보다 더 위대하다는 말을 할 수는 없는 이야기이지만, 최소한 시라는 것은 일상적 언어가 미칠 수 없는 감정이나 느낌의 향연이 바로 지금 여기 우리 삶 속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시의 자격이 없다고 말할 수는 있을 것 같다. 그 향연을 위해 일차적으로 필요한 사태는 언어의 공유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한국인의 시는 한국어로, 다시 말해서 한국인의 마음으로 쓰이지 않으면 안 된다.그렇다고 엘리엇의 시가 단순히 영어로 쓰였다는 이유로 김지하의 시보다 .. 광주의 학살자 전두환 사망... 끝내 사과 안해 전두환(全斗煥), 1931년 1월 18일~2021년 11월 23일 광주 민주화운동을 탄압하고 수많은 광주시민을 학살하도록 명령한 주범 전두환 씨가 23일 사망했다. 향년 90세.전 씨는 이날 오전 8시 45분께 연희동 자택에서 쓰러졌고, 부인 이순자 씨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이 오전 9시 12분쯤 그의 사망을 확인했다. 자택에서 사망 후 서울 신촌연세대세브란스 병원으로 이송될 예정이다.전두환은 악성 혈액암인 다발성 골수종 확진 판정을 받고 투병중이었다. 최근 건강 상태가 악화돼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통원 치료를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은 브리핑을 열고 “전 전대통령이 남긴 유언은 ‘북녘 땅이 바라다보이는 전방의 어느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있으면서.. 침팬지의 친구이자 영장류학자, 제인 구달 향년 91세로 별세 제인 구달(Valerie Jane Morris-Goodall), 1934년 4월 3일 ~ 2025년 10월 1일 (91세)그녀는 전 세계적 명성을 통해 줄어드는 침팬지 개체와 환경 파괴의 위험을 세상에 알렸다.제인 구달은 과학 교육을 전혀 받지 않았고, 대학 학위도 없었다. 23세 때 친구를 만나기 위해 케냐로 갈 돈을 모았을 뿐이었다. 그녀는 런던에서 비서로 일했고, 때로는 웨이트리스로 일했다. 어린 시절 읽은 『닥터 두리틀』과 『타잔』 소설 속 아프리카와 동물에 대한 낭만적 상상으로 마음이 들떠 있던 젊은 여성이었다.그러던 중 나이로비에서 세계적인 고인류학자 루이스 리키를 만나면서 인생의 방향이 바뀌었다. 그 만남은 그녀를 세계 최고의 영장류학자로 만드는 길로 이끌었다. 그녀가 관찰한 침팬지의 행동―.. 환경운동가이자 침팬지의 친구인 제인 구달 별세 제인 구달(Valerie Jane Morris-Goodall), 1934년 4월 3일 ~ 2025년 10월 1일 (91세)야생 침팬지에 대한 획기적 연구로 동물에 대한 인식을 바꾸었고 더 나아가 보호 활동을 촉발한 선구적 과학자1960년 말, 지금의 탄자니아 곰베 국립공원 지역에서, 당시 26세였던 제인 구달은 두 가지 중요한 발견을 하여 야생 영장류 연구자로서의 이름과 명성을 확립했다. 첫째는 침팬지들이 붉은 고기를 먹는 것을 관찰한 일이다. 그 이전까지 과학계의 통설은, 직접적 관찰 증거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침팬지는 초식성이라는 것이었다. 그다음으로는 더욱 예기치 못한 행동을 목격했다. 침팬지 수컷이 흙더미처럼 쌓인 흰개미 둥치 옆에 웅크려 앉아, 긴 풀대 줄기를 정교하게 손질하여 유용한 탐침 .. UN 가족은 제인 구달 박사의 죽음을 애도합니다 제인 구달(Valerie Jane Morris-Goodall), 1934년 4월 3일 ~ 2025년 10월 1일 (91세) Today, the UN family mourns the loss of Dr. Jane Goodall. The scientist, conservationist and UN Messenger of Peace worked tirelessly for our planet and all its inhabitants, leaving an extraordinary legacy for humanity and nature. 오늘, 유엔 가족은 제인 구달 박사의 죽음을 애도합니다. 과학자이자 환경운동가, 그리고 유엔 평화 사절로서 우리 행성 지구와 그 안의 모든 생명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이전 1 2 3 4 5 ··· 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