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行間/향기로운 시와 소설

(91)
붉은 빗방울 눈썹에 스치는가 싶네 : 난설헌 삼월 초아흐레, 꽃샘바람이 잦아든 건천동 후원 연못가, 밤새 추적추적 내린 비로 한두 잎 낙화한 목련 화판이 처연하다. 촛논이 되어 흘러내리는 붉은 눈물이 세상을 적시며 흘러간다. 난설헌의 죽음을 표현한 책의 마지막 대목이다. 그미의 시구 "이따금 붓을 쥐고 초생달을 그리다보면 붉은 빗방울 눈썹에 스치는가 싶네"를 연상하게 한다. 난설헌을 읽으며 신사임당을 떠올렸다. 난설헌도 신사임당처럼 결혼후에도 본가에서 10년을 살았다면 난설헌의 시詩는 더욱 뛰어났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신사임당을 떠올린 것은 생가가 강릉이라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난설헌의 본가는 건천동이고 시댁은 옥인동이기 떄문인지도 모를 일이다. 조선 중기로 들어가면서 여성의 입지는 점점 더 줄어들어 남존여비가 더욱 더 강해져 난설헌이..
이 세상은 섹스로 이루어져 있다 교보문고에서 라는 책을 보았다. 책을 보다가 '왜 세상은 마광수를 싫어하는지' 궁금했다. 그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단하지도 않고 위대하지도 않다. 단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말한 것 뿐이다. 사람마다 좋아하는 것이 있다. 좋아하는 것을 행行하는 사람도 있고 마음 속에만 담고 평생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있다. 어떤 이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의 신념에 목숨을 건다. 누구는 자신의 의지에 따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한다. 또 다른 이는 몸으로 행하기 힘들면 자신의 의지를 글로 나타낸다. 그들이 글쟁이다. 내가 생각하는 마광수는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그냥 글로 표현한 사람이다. 왜 사람들은 솔직하게 말하면 싫어할까? 섹스에 갈망하지 않은 사람이 있겠는가. 단지 500년 성리학 이념하에 있는 백..
1927. 11. 27. 김수영 2011. 11. 27. 서울 1927년 11월 27일 서울 종로 김수영. 1968년 6월 16일 종로 청진동에서 마지막 술자리 후 서강 종점 김수영. 죽은 사람의 생일은 없는 거라 했으니 오늘은 아무 날도 아니다. 이 세상을 살다간 어떤 이가 세상에 나온 날이다. 모든 실험적인 문학은 필연적으로 완전한 세계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진보의 편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모든 전위 문학은 불온하다. 그리고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문화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어령과의 불온시에 대한 논쟁의 일부분이다. 68년이나 2011년 지금도 불온함은 존재해야 한다. 그들의 불온한 노래가 멀리 울려 퍼져야 한다. 김수영의 시적 주제는 자유이다. 그는 자유를 시적 시적, 정치적 이상으로 생각하고, 그..
결코 "없는 사람들이 가진 자들에게 손을 내미는 것"이 아니다. : 서늘한 여름 이것이 가난이다. 사람들은 흔히 가난을 뻔뻔스러움으로 잘못 보고 있지만, 실은 피할 도리가 없는 부끄러움이다. 다시 말해서, 없는 사람들이 가진 자들에게 손을 내미는 것은, 그들이 특히 뻔뻔해서가 아니라 방금 너희들처럼 부끄러우면서도 어쩔 도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 이문열, 이문열의 에 나온 가르침(?)의 한 부분이다. 가난 공부 제 1과 부끄러움을 가르치는 부분이다. 제 2과는 인내이다. 약수동 병신과 신촌 백치들에게 들려주는 말이다.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약수동 병신들이며 신촌 백치이다. 저자 이문열은 병신과 백치들에게 가르침을 알려주는 소설 속의 형이다.- 그것이 가난이다. 더구나 너희들이 받는 괴롱무은 대개 꼭 필요하지도 않은 것을 원하는데서 온 것이고, 또 잠시동안이다. 돌아가면 부유한 아버..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한병태에게 처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읽고 한 20년 후 (지금쯤이다) 속편이 나왔으면 어떨까라고 생각했다. 물론 이문열과 일면식도 없기에 전달할 수도 전달할 생각도 없는 술자리 안줏거리에 불과한 생각이었다. 그런 점에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한병태에게"는 개인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저자가 (발표 기준으로) 15년이 지난 시점에 한병태 또는 그의 자식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게 편지를 보냈다. 자신의 작품을 빌어 자신의 변명이나 생각을 전하고 있다. "너는 무죄한 현실의 표상이 아니라 정리되어야 할 일부가 되었다. 내가 새삼스레 네게 이런 편지를 내는 것도 바로 그런 시대가 주는 압박 때문일는지 모른다." 길지 않은 이 단문을 여러 번 읽었다. 그의 변명(이라기보다는 생각과 회한)을 옹호하..
11월은 빛 고운 사랑의 추억이 나부끼는 달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아라파호족) 산책하기에 알맞은 달(체로키족) 기러기 날아가는 달(카이오와족) 많이 가난해지는 달(모호크족) 빛 고운 사랑의 추억이 나부끼는 달(정희성)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빛 고운 사랑의 추억이 남아 있네 그대와 함께한 빛났던 순간 지금은 어디에 머물렀을까 어느덧 혼자 있을 준비를 하는 시간은 저만치 우두커니 서 있네 그대와 함께한 빛났던 순간 가슴에 아련히 되살아나는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 빛 고운 사랑의 추억이 나부끼네 * 아메리카 원주민 아라파호족은 11월을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이라 부른다. [출처 : - 정희성] 정희성의 「11월은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 달」을 배달하..
평생 걸어가고 싶은 거리만큼 책을 읽고 싶다 쇼펜하우어는 "독서는 사색의 대용품으로 정신에 재료를 공급할 수는 있어도 우리를 대신해서 저자가 사색해줄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한다"고 말했다. "다독을 피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라고 했다. 인간은 누구나 쉬운 길을 선호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동일한 사색도 나의 개인적인 사색보다는 책을 통해 작가의 사색을 좇는 것을 더 좋아한다. 눈앞에 놓인 가시밭보다 작가의 발자국이 선명하게 찍힌 평탄한 길을 더욱 사모하는 것이다. 다독의 함정이 바로 여기에 있다. 지나친 독서는 현실에 대한 감각을 떨어뜨리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_ 中 시인의 말처럼 "나는 책을 읽었다고 말하면 안 되겠다." 또한 "책을 읽는다고 말하지 않겠다." 다만 "책이 넓다는 것을 깨달았으니" 나도 "평생 걸어가고 싶은 거..
김수영의 詩는 읽지 못하고 詩 김수영만 읽다 가을이라는 이유로 을 빼들었다. 예전에는 김수영이 난해하다고는 생각했지만 어렵다고는 느끼지 못했다. 몇 년만에 꺼내 본 김수영은 어려웠다. 그의 시가 바뀐 것도 아닌데 어려워졌다. 이유는 아직도 모른다. 또 몇 년 후에는 어떻게 다가올지 궁금하다. 김수영전집을 옆에 두고 를 꺼내들었다. 김수영의 詩를 보고자 한 것이 아니라 김현의 해설이 보고 싶었다. 김수영의 詩 보다는 김현이라도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었다. 김수영의 시적 주제는 자유이다. 그는 자유를 시적 시적, 정치적 이상으로 생각하고, 그것의 실현을 불가능케하는 여건들에 대해 노래한다. 그의 시가 노래한다라고 쓰는 것은 옳지않다. 그는 절규한다. 결국 김수영을 들추다가 옆에 있는 김준태를 꺼내들었다. 이다. 거기서 생각치도 않았던 김수영을 만났다. ..
익명의 섬은 필요할지도 모를 일이었다 뉴요커에 이문열 소설 이 실린다는 기사를 보았다. 신경숙의 미국 진출이 성공적이라는 기사를 오래전에 보았다. 이번 기사는 독자의 한 사람으로 기쁘다. 이문열이 보수주의 처지를 대변하고 페미니스트를 싸잡아 비판하는 등 한동안 논란의 한 가운데 있었다. 그 이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언론 보도는 전달의 의미가 강하다. 물론 단편소설이 번역되어 실리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겠느냐마는 만일 민족시인이라 불리는 이의 시 몇 편이 번역되어 실렸다면 이런 반응일까? 또 부질없는 상상을 한다.내용은 잘 알려졌다. 비교적 짧은 단편이다. 병신이라 불리는 깨철이는 그 마을을 유지하는 익명의 섬이다. 성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누구에게나 익명의 어떤 것이 필요하다. 소설의 마지막 부분이다. "그때, 착각이었을까, 나는..
이들과 공감하기에는 난 너무 많이 떨어져 있다 : 클릭 미 (고예나)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을 마지막으로 기억하는 것은 2000년 이만교의 이다. 먼저 기억에 남는 것은 이문열의 이다. 고예나가 2008년에 작가상을 받았으니 한 세대 이후의 작가의 책을 읽었다. 세월이 많이 지나갔음을 새삼 느끼게 한 책이다. 고예나는 84년생이다. 20대 후반의 젊은 작가의 책을 내가 이해하기가 힘들정도가 되었다니 서글프다. 섹스를 이야기해도 서글프다. 아마도 최인호나 박범신의 신간을 읽어야 공감이 가려나. 그래도 김영하의 책은 공감이 많이 가고 신선함을 느꼈다. 고예나의 이 책은 공감대가 전혀없다. 주인공과 몇 명의 여자 친구들의 일상을 말한다. 일상이라는 것이 찌든 삶과 섹스다. 섹스를 나쁘다고 말하고 싶지않다. 당연하다. 예전에도 섹스는 존재했고 앞으로도 존재할 것이다. 채팅과 인스턴..
남의 속도 모르면서, 우주를 말할 것인가? 남의 속도 모르면서, 섹스를 논할 것인가? 한기호의 글을 구독하고 있다. 그의 책도 보았다. 그와 나와의 관계는 이것이 전부이다. 하지만 나는 그의 글에서 通함을 전달된다. 진정성을 느끼는 몇 안되는 글쟁이다. 라는 단편집에 관한 율려국의 섹스문학상이라는 포스트이다. 도발적인 제목이라 읽어나갔다. 율려와 섹스라 멋진 궁합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율려라고 하니 김지하가 떠오른다. 율려와 섹스가 잘 어울리는 이유는 김지하의 말을 들어보면 알 수 있다. 김지하의 한 마디 율려는 치유다. 우선 병든 인간, 그를 둘러싼 사회적 예절, 그 다음에 정치, 경제적 구조, 지구생태계, 우리를 둘러싼 태양계와 은하계의 여러 이변들의 전체적 변화의 이치를 깨닫고 그 이치의 구조에 합당하게 삶을 치료, 개혁할 수 있는 기본 출발점을 인간 내면에 있는 춤성과 음악성으로부..
혹성탈출의 원작은 소설 혹성탈출이다 : 책 권하는 心香 올 여름 개봉하는 혹성탈출의 원작을 찰톤 헤스톤 주연의 영화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혹성 탈출'은 원래 프랑스 소설가 피에르 불의 소설이다. 전 세계에서는 이미 수백만 권이 팔린 베스트셀러이나, 한국에서는 이제야 책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1963년 프랑스에서 초판이 출간된 지 48년 만이다. 인간이 지구의 주인이 된 것은 얼마되지 않은 일이다. 그전에는 공룡이 한동안 주인이었다. 그렇다면 다음의 주인은 누구일까? 아무도 알 수 없다. 핵전쟁이 일어나도 살아남는 종은 바퀴벌레라고 하였는데 미래의 주인은 바퀴벌레일지도 모른다. 혹 영화처럼 우리안에 가두고 바나나를 던져주는 원숭이가 인간 다음으로 지구의 주인이 될지도 모른다. 오만한 인간에 대한 경고이다. + 서기 2500년, 앙텔 교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