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상에 외치기

(2517)
한국에 대하여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나? : 이것이 차이나 책을 읽고 느낀 한 줄. 이것이 차이나 - 45번째 구매. 책의 내용은 접어두고 다른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 책이다. 이 책으로 하여금 나를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책을 읽고 바로 한 줄로 표현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직관적이지만 다듬어지지않은 하지만 수정은 하지않으려 한다. 그 느낌이 가장 근접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책을 읽기 전의 첫 느낌을 같이 적으려고 노력중이다. 아직은 시도를 할 뿐이다. 이것이 차이나 미녀들의 수다에 나오는 손요의 책이다. 지금도 나오는지는 알지 못한다. 내 개인적으로는 그러한 프로가 왜 계속 하는지에 의문을 가지고 있다. 좌우지간 그 프로에 나오는 중국유학생이 손요가 쓴 책이다. 내용은 별게 없다. 중국의 일반적인 것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아..
2009. 06. 09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승부사! 이세돌의 징계에 대한 글을 적었다. 이세돌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 어이없는 일이다. 이세돌 9단이 아니라 한국기원이라는 곳을 말한다. 기사제도를 개선하여 발전적인 방법을 모색하여함에도 구태의연한 말만 일삼는다.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으면 변화는 없다. 02_ 알라딘 3기 서평단을 발표합니다. 1기, 2기에 이어 3기에 선정되었다. 알라딘 2기 서평단을 마치며 에서도 말하였지만 생각치도 않은 책을 보는 기쁨이 있다. 03_ '책을 책이 되도록' 하는 헌책방 : 새책방은 새책방의 구실을 하고 있는가? 헌책방은 헌책방 나름으로 구실을 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공감한다. 예전에 작성한 글로 내가 바라는 미래의 작은 책방과 헌책방이 출판의 위기를 부추기나?도 같은 견지다. 책에서 사람을 보아야 합..
책편집에 대한 의문점 책 아니 출판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그에 대한 의문점이 있다. 요즈음 출간되는 책의 대부분은 각주 또는 미주가 책의 뒷부분에 몰아서 편집되어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 길이 없다.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그렇다. 왜 일까? 물론 몇몇 책은 주석이 하단 또는 좌,우측에 놓여진 편집도 있다. 하지만 극히 일부의 책이다. 대부분 판형이 큰 책일 경우가 많다. 이유는 무엇일까? 출판으로 밥을 먹고 사는 사람도 아니고 책을 쓰는 사람도 아닌 내가 판단하기는 무척이나 어려운 문제다. 예전의 책은 각주를 읽는 재미가 책의 그 내용을 읽는 것과 마찬가지로 흥미로운 적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뒤부분에 몰아져 있기때문에 뒤의 주를 보고 다시 돌아오는 것은 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이유로 ..
유시민이 대안이 될 수 있나 유시민 어록이라는 포스팅을 보았다. 유시민 전 의원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어쩌니 어쩌니 등등 여러가지 말들이 많다. 그러고 보니 나 또한 그에 대한 허접한 말들을 늘어 놓았다. 별반 관심 밖의 사람이었던 유시민이었지만 복지부장관이후 그에게 호감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전까지의 모습이 아닌 장관으로서 모습을 보았던 것이다. 유시민의원 기사를 보고...에서 처럼 '사람이란 자리에 따라 변하게 마련이다. 천성이야 변하지 않겠지만 어느정도 변해야 하는것이 당연한 일 아닌가?' 변하지 않는다면 그는 그 자리에 설 자격이 없는 것이다. 다시 유시민스럽다 : 캠프가 망했어요. 유시민은 앞으로 무엇을 해야하는가? '흥행사'를 자처한 유시민 : 점점 좋아진다. 유시민처럼 철들지 맙시다 과연 유시민스럽다 : 출마의 전제조..
모든 것에 우선하여 人이 먼저다 : 신기전 오랫만에 영화를 보았다. 신기전이 실제로 있었다고 한다. 세종 때 90개가 제조되어 의주성에서 사용된 기록이 있다. 실제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영화에 나온 모습과 같은 모습일까? 이러한 의문이 들게 한다. 정재영은 좋아하는 배우다. 정재영은 에서 인지하게 되었다. 약간은 모지란듯한 행동 그리고 어눌한 말투가 그의 매력이다. 왠지 모르게 착해 보이는 모습이 좋다. 예쁜 한은정은 CF만 생각난다. 하지만 영화에서의 한은정은 예쁘고 아름답다. 와 유사한 감성을 느끼게 하지만 불쾌감을 느끼게 한 와는 다르다. 역시 영화는 '멜로라인'이 살아야 한다. 영화는 삶의 연장이고, 산다는 것이 모두 다 '사랑'의 연장이 아니었더냐. 나라를 위하여 백성을 위하여 죽어갈 것인가? 그것을 위하여 묵숨을 바쳐 신기전을 완성해야..
인간에 대한 연민 : 인간실격 인간의 조건은 무엇일까? 요조는 찌질한 인간 군상들 사이에서 그 군상들을 속이고 놀리면서 살아가는 것이 전부라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러한 거짓 행동으로 사람을 속이는 것을 당연하다 여긴다. 그러면서 점점 더 폐인이 되어 간다. 원래 관인이었으며 폐인이었다. 저자가 말년에 자서전으로 쓴 소설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결국의 소설에서 예측한대로 저자는 얼마후 39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게된다. 이러한 인간이 있을까? 연민을 가져야 하는지 의문이다. 저자가 말하는 광인은 바로 저자다. 하지만 달리 생각하면 저자 다자이 오사무나 요조는 모두 인간에 대한 연민이 깊은 사람일지도 모른다. 그 애증이 너무 깊어 허위와 잔혹에 찌들어져 있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그로부터 받은 상처를 치유받지 못하여 결국 ..
원래 유럽이었다 : 이제는 유럽이다 이제는 유럽이다 지금의 유럽은 그들 나름대로 애증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으나 '유럽'이라는 이름으로 묶이고자 한다. 미국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한 유럽에 대하여 한불상공회의소 이준 필립의 회장이 소개하고 있다. "위기의 시대, 새롭게 떠오른 대안 '유럽형 모델' 유럽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통찰하는 최고의 책"이라는 책 소개 카피는 맞지 않다. 그저 우리가 유럽에 대하여 좀 더 아는데 도움을 주는 개요서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그 관점에 책을 본다면 좋은 책이다. 만일 카피에 속아(?) 책을 보았다면 아마도 나쁜 아니 안좋은 책이라 느낄 것이다. 우리(아니 나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겠다.)가 유럽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스로마 신화가 생각난다. 근세대에 ..
2009. 06. 03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꿈꾸는 서재를 보니 "책방주인은 얼마나 행복할까. 그러면 술집주인은."라고 묻는다. 나는 아니다. 정말 행복할까? 다시 곰곰히 생각해 보아도 답은 '아니다'. 02_ [김지하 칼럼] 나의 이상한 취미를 보면 얼마전 내가 한 말이 정확히 맞을지도 모른다. 그들은 자기들이 바라든 바라지않든 간에 한 방향으로 흘러 지내왔다. 소몰이꾼이 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하여 앞에 세운 한마리의 소는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한다. 03_ [진중권 칼럼] 유인촌 장관에게 묻는다 문화부는 '인터넷 낭인'들의 꼭두각시인가 를 보았다. 유인촌에게 대한 정면 승부다. 이것을 위하여 진보신당도 탈퇴를 하여고 한 모양이다. 04_ 앱스토어 무료SW, '새 수익모델 급부상' 모바일도 PC의 전개방법과 유사하다.
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9. 05 2009년 5월은 12권 구매하고 서평단에서 5권을 받다. 5월 초 파주 출판단지 책축제에서 전혀 알지 못하던 책을 몇 권 구매하였다. 그런 책을 알고 구매하여 읽을 수 있는 것에 행복함을 느낀다. 여행관련 책을 매달 1권씩 읽기로 하였다. 이번 달에는 1권을 읽었다. 여행기에 관련된 책은 늘 나에게 새로운 감성을 느끼게 한다. 언젠가는 여행을 갈 수 있지않겠냐는 희망이 나를 기쁘게 한다. 논의의 출발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는 와 숲에서 나서 숲으로 돌아가는 그들에게서 배우는 가 이번 달 읽은 책중에서 제일이라 말하고 싶다. 꼭 순위를 둔다는 것이 아니라 꼭 읽어야 할 책을 권해 달라고 하면 먼저 권하고 싶다. 01월 : 07권 (책을 어떻게 읽었나 - 2009. 01) 02월 : 08권 (책을 어떻..
2009. 05. 31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1_ 구글이 제안하는 미래의 e-mail 시스템 Google Wave 어디까지 진화할까? 시스템의 구분이 없다. 융합이 가야할 방향이다. 02_ 알라딘 3기 서평단 모집이 나왔다. 더불어 알라딘 2기 서평단 활동 종료되었다. 1기에 이어 2기도 종료되었다. 아쉬운 점은 설문을 작성하여야 하니 미루자.. 03_ 아파트에 한옥이라, 멋지다. 하지만 아파트에 한옥이라 멋지긴 한데 이렇게 하면서 아파트에 살 필요가 있나? 04_ 이세돌 징계? 왜 이래 이거 아마추어같이? 나는 징계에 반대한다. 이세돌 징계에 대한 뉴스다. 조직에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한다고 징계를 한다. 물론 조직이 중요하다. 하지만 권위적이고 개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조직을 위한 것이라면 탈퇴하는 것이 맞다. 05_ 벽을 이용한 책장 너..
알라딘 2기 서평단을 마치며 알라딘 2기 서평단이 종료되었다. 3기 서평단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1기가 끝나고 2기 모집때에도 말했듯이 선정되기 힘들듯 하다. 책을 받는 것은 기쁜 일이다. 더욱이 내가 고르지 않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책을 읽었을때 그 기쁨은 상상 이상이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다. 하지만 기쁜 경우가 더 많기에 좋다. 2기 서평단은 총 15권의 책을 받았다. 그중에서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른지만 5~6권이 자기계발서이거나 그와 유사한 내용의 책이다. 자기계발서를 폄혜하거나 좋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좀 많다. 1기가 끝난 후에도 말했지만 다른 분야를 몇 권 섞어 보낸 주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한다. • 서평단 도서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책과 그 이유 쿠오바디스 한국 경제 : "제 말만 옳다고 주장할 생각은..
'관문이론'을 아시나요? : 도시락 경제학 관문이론(Gate Theory)을 아시나요? 마리화나를 금지하는 이론이 되는 '관문이론'이라는 말도 안되는 것이 있다. 마리화나 자체는 위험하지 않지만 마리화나를 피우게 되면 쉽게 헤로인이나 코카인 같은 강성 마약에 손을 댈 것이라는 별 거지(?)같은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마리화나를 불법화하고 있다. 물론 헤로인 중독자의 50% 이상이 마리화나를 피웠다고 한다. 하지만 헤로인 중독자의 90% 이상이 담배나 술을 애용하고 있다. 그러하다면 담배와 술도 불법화 하여야 하는 것 아닌가? 김원장 기자의 도시락 경제 물론 표면적으로는 마리화나의 중독성을 말한다. 하지만 실제 중독성은 알고 있는 실제와는 다르다. 담배는 32%, 술은 15%에 비하여 마리화나는 9%에 불과하는 연구보고가 있다. (70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