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상에 외치기

(2511)
수학과 국력 그리고 인문학 교보문고에 수학관련 책들이 많이 보인다. 왜 갑자기 '수학'인가 궁금했다. 수학이 기초학문이고 모든 인문학의 기초임을 잘 알고 있지만 팔리는 책은 아닐진데 대수학, 미적분 책들이 눈에 띄였다. 신문 칼럼의 한 구절이 모든 것을 말해준다. "수학 점수만 갖고 보면 진작 선진국에 가 있어야 할 우리가 왜 아직도 언저리만 맴돌고 있는 것인지" 얼마전 수학이 인문학이 아니라는 댓글을 받았다. 나는 수학이 인문학이며 모든 학문의 기초라 생각한다. 수학이 자연과학이며 우리가 말하는 인문과는 다르다는 요지다. 물론 이 말은 본론을 벗어나 편협한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학문의 이름은 후대가 그 편리성에 따라 나눈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인문학은 인간의 삶과 세상의 이치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학을 단순계산하는 ..
드라마를 가진 이야기의 힘이 나꼼수 흥행의 성공 요인이다 나꼼수는 호불호가 명확하다. 인터넷을 비롯한 SNS에서 그들의 영향은 지대하다. 나꼼수에 대한 몇 가지 ...에서의 생각과 같이 호好보다는 불호不好에 가깝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드라마와 관련된 것이다. 김어준은 대중을 이끄는 힘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그것을 기반으로 오늘의 나꼼수가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는 나꼼수의 호불호를 떠나 나꼼수가 가지는 인기의 비결을 다시 돌아보며 대중 선동(?)에 필요한 비결을 알아보자. 김어준은 약(?)을 어떻게 팔아야 하는지 잘 알고 있는 장돌뱅이다. 장터에 모인 대중이 무엇에 호기심을 가졌는지, 무엇을 보여주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다. 나꼼수의 가장 큰 장점을 '드라마'라 말한다. 드라마는 이야기의 힘이다. 이야기는 스스로 자라 새로운 이야기가 탄생한다. 이것이..
올블로그, 위드블로그 서비스 통합 올블로그, 위드블로그 서비스 통합이라는 메일을 받았다. 미디어U가 포기(?)한 블로그코리아는 도메인만 유지하고 있고 올블로그도 통합되니 멬블로그로 남은 것은 다음뿐인가? 자기의 콘텐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서비스는 존재하기가 어려운가. 다음이 남은 것은 총알의 문제인가. 총알의 문제보다도 블로그 메타서비스의 한계를 지금까지 끌고 온 것은 아닌가 한다. 구글에서 검색하면 다 나오는데, 다음에서 보면 다 보이는데 굳이 블코나 올블에 가서 같은 콘텐츠를 볼 필요가 없다. 그냥 검색에서 다른 것과 같이 보면 된다. 블로그가 살아남는 길은 좋은(?), 낚시를 잘하는 콘텐츠로 검색이나 다음 View에서 많이 노출되거나 아직 한국이라는 나라에서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블로그가 팀블로그의 형태로 독자 미디어로 살아남는 방법..
장년에 배우면 노년에 쇠하지 않는다 : 지적으로 나이드는 법 지적으로 나이드는 법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 아직 죽음을 생각하기엔 어린(?) 나이이지만 가끔 어떻게 죽는 것이 '이상적인 죽음'인지 생각한다. 와타나베 쇼이치는 자신이 생각하는 이성적인 죽음은 책을 펴놓은 채 잠든 듯 숨을 거두어 있는 것을 아내나 딸이 발견하는 것이라 말한다. 평생 책을 사랑해온 사람이니 책과 함께 죽는다면 좋지아니한가라 말하는 것이다. 노학자 와타나베 쇼이치가 인생의 후반을 좀 더 지적으로 살아가는 것에 대하여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그 마지막이 이상적인 죽음에 관한 것이다. 후반을 지적으로 살는 이유가 이상적인 죽음을 맞이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 와타나베 쇼이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시대와 개인에 따라 이상적인 죽음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아마도 그 모습은 한 사..
2012년 2월 1주 새로 나온 책 유니클로 이외에 자라(ZARA), H&M 등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SPA브랜드들의 현실은 다를까? * 저자의 말이다. "패션에 관심 없던 내게 유니클로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하지만 책을 통해 낮은 연봉을 받으며 혹사당하는 점장을 비롯한 직원들의 실상, 중국 공장 노동자의 현실을 보고 나니 생각이 달라졌다. 야나이 회장의 독단적인 모습도 알 수 있었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1월 13일 지난해 말 일본 유니클로사가 서울문화사를 상대로 제기한 출판금지가처분신청에 대해 모든 항목에 대해 “이유 없다”며 기각 결정을 내렸다.(가처분신청 기각 결정문 요지 참조) 법원은 가처분 신청 기각 결정문에서 "어떤 표현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더라도 그 표현이 공공의 이해에 관한 사항으로서 그 목적이 주로 공공의 이익을 ..
詩가 죽은 세상에서 황지우의 <발작>을 읽다 98년 12월 초판 발행인데 99년 3월에 8쇄다. 시詩가 팔리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詩가 죽었다. 내가 詩를 사지 않으니 詩가 죽었다고 말해도 좋다. 정희성을 좋아하고 지하를 존경하며 백석을 전부라고 생각했다. 내가 황지우를 알게된 것은 생일에 후배에게서 시집을 받고 나서였다. 라는 황지우의 시집이다. 시집 뒷편에는 후배의 글이 있다. "형. 생일 축하하우. 항상 태어나는 아픔을 ... 일천구백팔십육년 일월 십구일" 그 이후 황지우는 정희성에 버금가게 좋아했다. 지금은 세월과 함께 잊었지만 내 머리 속에는 황지우의 이해하지도 못하는 구절을 외우곤 했다. 이제는 다시 정희성과 황지우의 책을 손에 잡고 그의 글을 읽는다. 후배는 지금 어디서 뭘하고 있을까. 왜 지금은 만나지 못하고 있을까. 책을 보면늘..
사이버전쟁 독도대전 오랫만에 읽어보는 쟝르소설이다. 30여년 전에 알리스 테어 맥클레인의 를 읽은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제목밖에 모르는데 검색하니 나온다. 대단한 사이버 세상에 우리가 살고 있다.) 핵 잠수함이 나오는 내용인데 여자가 한명도 나오지 않는 책이었다. 냉전시대가 배경이었기에 소련과 미국이 나온 것 같다. 이에 반해 은 독도를 둘러싸고 일본과의 전쟁을 다룬 소설이다. 이 책에는 여자가 단 2명 나온다. 미래 전쟁은 물리적인 군사력과 사이버 군사력이 필요하다. 즉 사이버 대전이라 불리는 것이 미래의 전쟁이다. 전설적인(?) 해커의 도움으로 일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다. 너무나 실력이 뛰어난 해커가 강호에 나타나 그의 의도대로 전쟁을 이끌어 간다. 너무 뛰어나 부담스럽다. 이현세의 의 업그레이드 버전, 시즌2를 ..
아름다운 강산 - 대한민국 신중현의 싸이키델릭 록 사운드 원제 로 신중현의 음악이 재발매되었다. 한국이 아니라 가사를 이해하지 못하는 외국에서다. 신중현의 재발매 앨범중에 가장(?) 좋은 음질이다. 엽전들의 노래가 없다. 별도의 음반으로 재발매된다고 하니 그때를 기약하자. 재발매사 사장 맷 설리반의 인터뷰에서 신중현에 대한 설명은 다른 어떤 말보다 적절하다. - 그의 음악이 다른 기타리스트와 어떻게 다르다고 생각하나? 그의 사이키델릭 사운드는 그야말로 온 몸의 신경을 자극하는 듯 경이롭다. 솔직히 음악은 말로는 설명이 안 된다. 아마도 신중현의 기타 연주를 들어본 사람이라면 내가 말하는 뜻을 곧 이해할 것이다. 특별히 그가 경험한 힘겨웠던 고난이 그의 음악을 더욱 풍성하고 아름답고 성숙하게 가꾸었다고 생각한다. 에릭 크랩튼이 아들을 잃은 후 엄청나게 많은 히트..
사는 방법이 이렇게 다릅니다 폭설 뒤에 맹추위가 이어져서 설경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눈을 이고 섰는 소나무를 무겁다고 무겁다고 할텐데 그저 묵묵합니다. 소나무는 눈이고 서서 묵묵한 이웃에, 바람타는 대나무는 벌써 눈을 다 내려 놓았습니다. 사는 방법이 이렇게 다릅니다. 사는 것이 별 다른 것이 있겠는가. 그저 생긴대로 묵묵히 살다보면 어깨를 누르고 있는 눈도 지 풀에 지쳐 녹아 없어질 것이다. 생김새가 다르듯 사는 모양도 각기 다른 것이 당연한 이치다. 왜 다르냐고 묻기 전에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이철수는 이렇게 간명한 이치를 말하고 있다.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세상이 우리가 살아가야 할 세상이다.
마흔이 내게 준 선물 ... 개뿔 이 책에 대해 말하기 전에 예전에 읽었던 글귀가 생각나 먼저 적어 본다. 퇴직금을 노리는 사기꾼이 가장 군침을 흘리는 상대가 누굴까? 경찰서장, 대령 그리고 기자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현직에 있을 때 상당한 권력을 행사하며 풍부한 경험으로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잘 꿰뚫고 있을 거라고 기대되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들이 오히려 사기 범죄에 가장 취약한 이유는 무엇인가? 세상일을 두루두루 다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제데로 아는게 없다. 그 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우습지만 공감가는 이야기라는 생각이다. 왜 일까? 이 책의 저자는 20년 정도 조선일보 기자를 하다 퇴직하고 새로운 삶을 찾았다. 마흔이 넘어 새로운 삶을 찾은 괘적을 다른 이에게 들려주고자 하는 것이 책의 의도라 여겨진다. 한데 그렇게..
지구온난화 진실은 무엇인가? : 책 vs 책 상반된 의견의 보았을 때 어느 의견에 손을 들어야 하는가. 황희처럼 니 의견도 맞고 또 다른 이의 의견도 맞다고 말해야 하는가. 이 책을 보면 이 의견이 맞아보이고 저 책을 보면 그 의견이 옳아 보인다. 하지만 둘 중의 하나는 틀린 아니 잘못된 견해일 것이다. 인간의 정신은 오랜 시간 걸쳐서 일어나는 변화는 보지 못한다. 그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범위가 너무 큰 사건이나 육안으로 찾아보기에 너무 작은 것들도 역시 보지 못한다. 우리는 자기 눈앞에서 일어나는 것들에만 초점을 맞추고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 제한된 시각 범위 밖의 것들은 무엇이나 그 시각 안에 맞도록 바꾸어서 짜맞추어버린다. - 지구온난화(위키백과) 원인 온난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지만, 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온..
2012년 1월 4주 새로 나온 책 이제 다수 대중을 향해 무차별 난사하는 블록버스터가 아니라, 전략적으로 소수 마니아를 노린 '니치버스터'가 성공하는 시대라고 말한다. 니치버스터는 여러 부류의 대중에 대한 홍보에 열 올리기보다는 자기만의 독특한 뭔가를 만드는 데 주력한다. 니치 시대 승자는 소비자가 아닌 숭배자를 양산한다. 애플이 대표적이다. 힐러리는 2008년 대선 민주당 경선 때 중간층 유권자 공략에 주력했지만 오바마는 SNS를 통해 자발적 열혈 지지 그룹을 끌어모아 승리했다. 틈새 시대에도 위험은 도사린다. 인터넷 둥지는 자기 위치만을 지나치게 강화하기도 한다. 유유상종이다. 남의 말은 귀담아듣지 않는 폐쇄 공간이 될 수도 있다. 또한 곳곳에 남겨놓은 디지털 발자국을 통해 구글은 우리의 다음 걸음까지 예측해낸다. * 세스 고딘의 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