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상에 외치기

(2511)
미래의 문맹자는? 미래의 문맹자는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지를 모르는 사람이 될 것이다. _ 라즐로 모홀리나기 (1928년) 앞으로 문맹자는 이미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라, 상상할 줄 모르는 사람이 될 것이다 _ 임헌우 (2007년)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상상할 수 없다. 고로 문맹자다 _ 心香 (2008년) Imagine - John Lennon Imagine there's no heaven It's easy if you try No hell below us Above us only sky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for today...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
가끔은 하늘을 보자 지리한 장마가 시작되었다. 무가지 노컷뉴스에서 칙칙한 우산은 가라며 밝고 환한 우산을 보여주었다. 고단한 삶속에서 장마비까지 내리면 우리네들 삶은 얼마나 더 피곤할까? Tibor Kalman이 1992년에 디자인한 Sky Umbrella가 생각났다. 비가 억수같이 내려 하늘을 보지 못해도 또 삶에 힘들어 하늘을 보지 못해도 가끔은 하늘을 보자. 장마 - 박광수 며칠동안 쉬지 않고 왠 비가 이리오나 내리는 빗소리가 처량히 들린다 내 인생도 장마인가.먹구름만 끼었네 저 산은 아직 높고 날이 어둡구나 하지만 저 산 너머 새로운 길 열리고 차디 찬 눈밭 새로 파란 싹이 트듯이 비에 젖은 내인생도 말 없이 걷다 보면 언젠간 맑게 개인 하늘을 보리라
창현 (장남) 신문에 나오다 우연하게 보게되었다. 제5회 문화재 사진촬영 강습회 개최라는 제목으로 올댓뉴스에 사진이 올라가 있었다. 날자를 보면 4월 21일이다. 2달이 지났다. 중요한 사진도 아니지만 (물론 출처는 남겼지만)원래 사진이 포스팅 된 곳에 사후에라도 알려주는 것이 기본이 아닐까 싶다. 그래도 사진의 출처는 적어 놓았다. 물론 링크는 없다. ㅎㅎㅎ 어제 리뷰를 쓴 의 송숙희씨는 기사를 보고 기자에게 메일을 보내라고 했는데 보낼까 싶다. 댓글로 먼저 알려주셨다면 더 좋았을텐데요. 그리고 링크는 달아주셔야지요. ㅎㅎㅎ 웃으니 뱃속은 편하다.
2008. 06. 18 -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00_ 꽃잎 - 정경화 01_ 며칠 동안 여러권의 책을 읽었다. 일관되는 키워드는 창조, 상상력 그리고 꿈이다. 쉽지가 않은 세상이다. 유형적인 것도 이해하기 힘든데 무형을 이해하고 도출해 내어야 한다. 02_ 저번주(6/13)에 오픈 소셜 컨퍼런스에 참석하였다. 안철수연구소에서 후원(아니 주최인가?)을 하는 행사이다. 한데 행사 당일 새벽 4:14에 참석을 부탁하는 문자가 왔다. 지연이 되어 그럴 수도 있겠다고 하였다. 하지만 새벽에 선잠을 자게되었다. 한데 06/19 01:16에 같은 문자가 왔다. 13일의 행사를 다시 일깨워주는 문자이다. 너무 과잉친절 아닌가? 참석인원이 450명 정도이니 많지도 않은 인원이다. 대행사에게 물어 이런 실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원인을 파악해야 하지 않으라 싶다. 03_..
재미있는 자판기 자판기 음료수의 가격이 500 ~ 700원 사이이다. 한데 600원을 넣고 '아무거나'를 선택하면 랜덤하게 음료수가 나온다. 재수가 좋으면 700원짜리 그럭저럭 기본이면 600원짜리 재수가 지지리도 없으면 500원짜리가 나온다. 100원에 재미있지 않나. 운세도 점쳐 보고... 이런 자판기가 있을까 없을까? 있다면 나 같은 놈 빼고 할 사람이 있을까? 덧붙임_ 만일 어렵지 않다면 이런 자판기가 있었으면 좋겠다. 가격대는 100원차이가 아니라 좀 더 컸으면 좋겠다. 직원들과 같이 하면 재미있지 않을까?
'목적'에 맞는 글쓰기 : 돈이 되는 글쓰기 "돈이 되는 글쓰기"란 결론적으로 '쓰기' 자체보다는 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송숙희씨의 책을 3번째 읽었다. 최근에 읽은 워딩파워(어느정도의 일관성을 있지만)을 제외하고는 '돈 되는 글'이라는 일관성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저자의 말을 빌리면 자기보다 먼저 말한 죠셉 퓰리처의 쓰기의 법칙이 이 책의 전반에 있다. 무엇을 쓰든 짧게 써라. 그러면 읽힐 것이다. 명료하게 써라. 그러면 이해될 것이다. 그림같이 써라. 그러면 기억속에 머물 거이다. 저자는 여기에 더해 돈이 되는 글쓰기에 관한 법칙을 말한다. 목적에 충실하게 써라. 명료하게 써라. 구체적으로 써라. 숫자로 써라. 짧게 써라. 그림같이 써라. 재미있게 써라. 모방하고 인용해서 써라. - 내 생각과 다르지만 '목적'에 맞는 글이기에 타..
50-50-90 법칙 50-50-90 법칙 '50-50-90 법칙'이란 정해진 시간 내에 일을 해낼 확률이 반반이라면, 그 시간의 90%를 대개 잘못 써버린다는 것을 말합니다. SERI의 설문조사 항목이다.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아도 맞는 말이다. 90%이상을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다. GTD를 충실히 이행한다면 아마도 이런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다. 2분이내에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판단하여 바로 처리하거나 이양하면 이런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덧붙임_ GTD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보려면 세아르님의 블로그를 보면 된다.
문제는 창조적 사고다 : 허병두의 즐거운 글쓰기 교실 2 허병두의 즐거운 글쓰기 교실 2 1권은 텍스트를 쓰는 방법에 관한 책이고 2권은 텍스트를 사고하는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1권은 텍스트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2권은 비슷한 류의 책이 너무 많다. 희귀성이 떨어짐을 느낀다. 저자는 "눈에 뜨이는 모든 것들을 자세히 살피는 습관을 가져라",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라" 그리고 "따뜻한 가슴으로 바라보라" 등 현실을 바라보는 시각의 남다름을 요구한다 아니 갖기를 바란다. 많은 것을 "함께 해봅시다"라는 것으로 권유하고 있다. 그중 몇가지는 해보고 싶은 것이다. 마음에 드는 책 목록 확보하고 정리하기 관심을 갖지 않던 분야의 책 살펴보기 → 책 제목을 자기 관심 분야에 응용 신문을 보면서 자기와 상관없는 이와 가상대화 또는 편지 보내기 많은 부분 '..
선인에게서 듣는 독서법 : 조선 지식인의 독서노트 에서 옛 선인들의 독서에 관한 내용을 엮어낸 책이다. 책 읽기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로 어렵고 힘든 일이다. 선인의 책과 독서에 관한 방법을 지금 시대에 다시 적용해 보고자 한다.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고 또 찾는 것은 요령을 피우거나 시간과 수고를 줄여보고자는 속셈이 아닙니다. 내 안에 나를 살피고 돌보고 이끌고 채찍질하는 치열함입니다. 독서는 모르는 것에서 앎이 생겨나고, 잘 아는데서 모르는 것이 생겨나도록 해야 한다. 한정록 - 허균 시험을 위해 공부하는 것은 어리석지만, 시험을 망치는 것은 더욱 어리석습니다. 세상이 당신을 시험할때 당당하고 가볍게 실력과 여유를 보여주세요. 오해는 아직 모르는 것 모르는 것보다 한참 더 모르는 것 에서는 "생각하고 생각하고 또 다시 생각하라. 생각해서 통하지 않..
어떻게 하여야 "워딩파워"를 갖게되나 워딩파워 북세미나에서 진행하는 감전 시켜라 : 워딩파워 세미나를 먼저 들었다. 책을 읽다 보니 세미나에서 나온 내용이 거의 들어 있었다. 포스팅의 제목처럼 어떻게 하여야 "워딩파워"를 갖게되나에 대한 원초적인 내용은 없다. 기본적인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글을 많이 써야한다. 하지만 워딩파워는 준비한다고 꼭 되는 것이 아니다. 몸과 마음에서 묻어 나오는 것이다. 저자는 명쾌하게 말하지 않는다. 힘들다. 나는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중에서 워딩의 힘에 주목했다. 그래서 한 마디의 워딩으로 대중을 사로잡는 능력에 대해 책을 쓰기로 했다. 목표 대중을 사로잡고 의도한 대로 그들을 움직이게 하는 결정적 힘에 대한 내용이다. 이제부터 나는 그 힘을 워딩파워라 부르기로 했다. (서문) 세미나에서 워딩파워의 중요한 ..
천천히 읽기 : 책을 읽는 방법 '슬로리딩'이란 차이를 낳는 독서 기술이다. 여기서 '차이'란 속도나 양의 차이가 아니라 질의 차이를 말한다. (서문)저자는 슬로리딩에는 '특별한 훈련은 전혀 필요없다. 그저 느긋한 마음으로 좋아하는 책을 읽으면서, 조금만 신경을 쓰면 그것만으로도 내용 이해가 배가된다'고 말한다. 이 말에 희열을 느낀다. 도서를 즐기를 비결은 '속독 콤플렉스'에서 해방되는 것이다. (서문) 저자는 음독보다는 묵독을 요구한다. 또 평소 베껴쓰기에 대해 의문을 품고 있었는데 그것에 관하여 "베껴쓰기는 비효율적(77쪽)"이라고 말한다. 이유는 음독과 같아 '베껴쓰기' 작업에 집중하게 되는 나머지 내용이나 문장에 대한 이해는 조금도 깊어지지 않는 난점이 있다. 이 말이 전적으로 옳지는 않지만 집중에 면에서는 타당성이 있는 말이..
보고 듣고 느낀 한마디 - 2008. 06. 16 00_ 싫어 - 이정화 01_ 섣부른 낙관은 희망에 짓눌린다는 말을 다시 들었다. 스톡데일 패러독스를 안철수의장이 다시 말하였다. 02_ 날씨 정보 서비스에도 소셜 네트워킹인가? 어떤 방식으로 SNS로 연결이 가능할까? 의문이다.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충분한 사용자를 끌어들이면 흥미로운 공간이 될 수 있다. 특히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말하지만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 내 머리를 탓하면서 기사의 보도방식에 의문을 가진다. 03_ "네이버 지식 쇼핑"에 놀아나는 판매자들에서 보면 쇼핑몰을 준비하려고 한다. 그렇다면 오픈마켓의 판도는 어떻게 변할까? 04_ 병의원의 블로그 마케팅, 그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현재 의사들의 시각이 바뀌지 않는 한 또 단기적으로 효과를 얻으려 한다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