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상에 외치기

(2790)
광고 글 잘 쓰는 방법 중앙일보에 재미(?)있는 기사가 나왔다. 사실 기사라 하기보다 기사를 가장한 광고(?같은) 글이다. 꼭 그렇게 평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자신이 주최하는 행사를 자신의 지면에 쓴다고 어느 누가 뭐라 할 수 있겠는가. 그보다는 이 기사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간접광고(PPL)를 잘 묻어낸 기사이기 때문이다."제51회 한국 실용글쓰기 시험"을 안내하는 기사다. 기사의 제목은 "글 잘 쓰는 방법"이다. 전문가의 의견을 빌어 글 잘 쓰는 방법에 관하여 말한다. 그저 글 잘 쓰는 방법을 썼다면 그만이겠지만, 고등학교 생활기록부에 쓸 수 있는 자격증, 즉 자격증 및 인증 취득 기입란에 국가공인인증서와 같이 쓸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다음으로 취업준비생에게는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합니다 (40장) 티스토리 초대장 배포합니다. 48장 남았더군요. 8장은 예비로 남겨두고 40장 배포합니다. 꼭 메일 주소를 댓글로 남겨주세요. 가능하면 사생활 보호에 따라 비밀댓글이 낫겠지요. 초대장은 댓글 달린 순서대로 보내드립니다. 메일 주소는 나중에 변경 가능합니다. 하지만 신청할 때는 꼭 필요합니다. 구구절절한 사연은 필요 없습니다. 필요하신 분 신청하세요.덧_ 신청하시고 트위터 @1bangblues 팔로잉 부탁합니다. 리미트에 걸려 더는 추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페이스북 하시면, 구독이나 친구 신청해도 무방합니다. 덧붙임_ 두 번 댓글 쓴다고 두 번 보내지 않습니다. 한 번만 써주세요. 그리고 aaaaaa@다음 이렇게 메일주소를 적으면 수정해야 하는데 제가 그 정도로 성의 있지 않습니다. 메일 주소를 꼭 적어..
아듀 Jack Bruce 같은 하늘 아래 사는 이가 하나둘 사라진다. 같은 하늘 아래 살았던 추억이 그때를 기억한다.Cream의 베이시트이자 보컬 잭 브루스가 71세 나이로 2014년 10월 25일 사망했다. 크림은 최초의 슈퍼그룹이며, 잭 브루스(B), 에릭 클랩튼(G) 그리고 진저 베이커(D)의 3인조 밴드다.덧_크림(밴드)Jack Bruce, Cream’s Adventurous Bassist, Dies at 71 Cream - Sunshine Of Your Love (Farewell Concert - Extended Edition) (1 of 11)
올바르게 생각하는 방법 사려思慮 여러 가지 일에 대하여 깊게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군주의 국가 흥망에 대한 생각은 눈앞의 단기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문제에도 미쳐야 한다. 공자는 "사람이 앞날을 고려하지 않으면 반드시 눈앞에 근심이 생기는 법이다."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자는 문제를 생각할 때 자신이 놓여 있는 지위와 직권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 된다. 이른바 '사思'는 올바른 지력을 찾는 것을 가리키고, 이른바 '려慮'는 생각을 거듭해 가면서 사물의 계획을 세우는 것을 가리킨다. 이 자리에서가 아니면 이 자리의 일을 생각해서는 안 되고, 이 일이 아니면 이러한 계책을 사용할 것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중대한 일은 어려운 것부터 시작해야 하고, 비교적 사소한 일은 쉬운 것부터 손을 대야 한다. 그러므로 어떤 일이 ..
사람 본성을 알아내는 일곱 가지 방법 知人性 인간의 본성을 파악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은 없다. 사람마다 선과 악의 정도가 다르지만, 그 본성과 외모도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온화하고 선량해 보이지만, 행실이 간사한 사람도 있고, 겉으로는 공손하고 겸허해 보이지만, 마음속이 기만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도 있다. 또 겉으로는 용감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나약하고 겁 많은 사람도 있고, 최선을 다하는 것 같지만, 따로 도모하는 게 있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사람 본성을 알아내는 일곱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 어떤 일의 옳고 그름에 관해 물어보고 그의 포부와 관점을 관찰한다. 둘째, 일부러 트집을 잡아 난처하게 만든 뒤 그의 기백과 도량, 임기응변 능력을 관찰한다. 셋째, 어떤 책략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고 그의 학식을 관찰한다. 넷째, 큰 재난..
2014년 10월 3주 새로 나온 책 ‘15세 청년’이나 ‘20세 소년’이라는 표현은 어색하다. 누군가 이런 말을 쓴다면 기본적인 지적 능력을 의심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100여년 전만 해도 ‘소년’과 ‘청년’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았다. 이기훈 목포대 사학과 교수는 1900년대 초에는 “운산군 남면 제인리 거주 이종준씨를 20여세의 소년이라고 하고, 도쿄 유학생 최남선씨를 18세의 청년이라고 해도 어색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이 교수가 쓴 는 190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이 땅에서 ‘청년’의 개념이 어떤 식으로 변했는지 살핀 책이다. 책에 따르면 ‘청년’은 근대의 발명품이며 당대 지배권력의 의도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역할과 의미가 달라졌다. 조선시대에는 나이가 어린 사람을 ‘소년(少年)’이라 부르는 게 일반적이었다. 청년(靑年)이라..
《움직이는 마케팅 페이스북》은 없다 끌리는 제목이다. 하지만 제목이 말하는 《움직이는 마케팅 페이스북》은 없다. 내가 동의하는 것은 "마케팅이란 내가 가진 것을 팔아야 하는 동시에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주는 것"뿐이다. 아이러브스쿨과 비교한 부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페이스북이 미국 하버드대학에서 시작하지 않았더라도 이 정도로 인기 있는 서비스가 되었을까? 동의한다. 내 생각으로는 아이러브스쿨은 과거를 찾았고, 페이스북은 미래를 찾는다. 과거를 찾는 만남은 차츰 시들해지지만, 미래는 현재를 포함해 살아갈 날이 많다. 새로운 인연을 찾는다. 아니 찾고 싶다. 이 차이다. 책으로 엮기에는 내용이 아쉽다. 필요와 호기심으로 빌려 읽었지만, 책으로 읽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블로그 포스팅으로 축약해서 읽었다면 충분했을 것을. 페이스북을 사..
《올재 클래식스》 열두 번째 시리즈 임진왜란 특집으로 꾸며진 《올재 클래식스》 열두 번째 시리즈가 나온다. 예전과 달리 인터넷 교보문고와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10/16(목) 오전 11시부터, 10/17(금) 오전 11시부터 전국 교보문고 매장에서 판매한다. 세 권 모두 제목만 알고 있는 책이다. 매번 올재에서 나오는 책은 사두지만 정작 읽은 책은 손으로 꼽을 정도이다. 이 책도 쌓아두기만 할지 걱정이다. 《난중일기》 이순신 저, 이은상 역 《징비록》 유성룡 저, 구지현 역 《쇄미록1, 2》 오희문 저, 이민수 역 《쇄미록 瑣尾錄》 _한국민족문화대백과오희문이 한양을 떠난 1591년(선조 24) 11월 27일부터 환도한 다음 날인 1601년 2월 27일까지 만 9년 3개월간 임진 · 정유 양란을 피해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면서 지내던 일을 기록한..
2014년 10월 2주 새로 나온 책 삼성TV도 냉장도고 아닌 삼성 그 자체에 대한 '사용설명서'가 나왔다. '삼성사용설명서'? 무려 7가지 방식이다. 각 방식을 제안한 사람들은 국내 유명 경제학자들이다. 어느 하나의 '삼성사용설명서'를 택한다는 건 삼성을 어떻게 이해하느냐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삼성을 이해한다는 건 우리나라만 사용하는 '재벌'이라는 단어가 갖는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그 단어가 내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궁극적으로 한국 경제정책의 문제로 이어진다. 장하준 교수는 "삼성이니 여기까지 왔다. 삼성을 잘 써먹자. 정부와 삼성은 조금씩 양보해라"는 주장으로 익히 알려졌다. 김상조 교수는 "무슨 소리, 삼성 즉 재벌로 집중된 대한민국 경제가 위험이고 성장을 가로막는다"며 개혁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의견을 중심에 ..
글이 반드시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호불호가 극명한 이문열의 글쓰기에 관한 생각이다. 그의 산문집 《사색》에서 글쓰기에 관한 글이 아니라 글(단상)을 모아 놓았다. 일관성이 있거나 긴 글은 아니지만 공감이 가는 내용이다. 행보와 글의 색깔을 떠나 유려한 글쓰기는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그가 말하는 '좋은 글'이란. - 글이 아름답다는 것과 비유를 많이 쓴다는 걸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은유법이나 의인법의 남발은 산문을 어색하게 만드는 지름길이다. - 글이 반드시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아름다움에 욕심부리지 말고. 하지만 흔하지 않은 방식으로 써야 한다. 글이 지루하고 답답해지는 것은 대개 무언가 흔해빠진 방식을 답습했기 때문이다. 문장 구조든 어휘든 운율이든 서술방식이든······. - 같은 단어는 특별히 강조하기 위해..
우리에게 지금 더 많은 문학이 필요한 이유 시인 _김남주 세상이 몽둥이로 다스려질 때 시인은 행복하다 세상이 법으로 다스려질 때 시인은 그래도 행복하다 세상이 법 없이도 다스려질 때 시인은 필요없다 법이 없으면 시도 없다 김남주 시인은 "세상이 몽둥이로 다스려질 때" 행복하다고 했다. 오늘 시인이 살아있었다면 시인은 많은 詩를 우리에게 줄 수 있어 행복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창작'하고 '비평'해야 할 때이지만, 누가 부여한 권위인지 알 수 없는 노벨상에 헛꿈을 꾸고 있다. 당연하고 다행스럽게도 노벨 문학상은 프랑스 작가가 수상했다. 세월호 관련 《눈먼 자들의 국가》가 나온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누군가 지겹다고, 잊고 싶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우리에게 아직 위로와 다짐이 필요"하다. "진실에 대해서는 응답을 해야 하고 타인의 슬픔에는 예..
일은 다르지만, 이치는 같다 책(시나리오)이 좋다고 꼭 잘되거나 좋은 영화가 되는 것은 아니다. 좋은 감독이 책을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따라 영화의 질을 결정한다. 물론 감독 혼자 힘은 아니다. 감독의 의중을 이해하고 성실히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는 배우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거기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의 몫을 다하는 스태프의 힘을 더하지 않는다면 결코 좋은 영화가 될 수 없다. 책(공약집)이 좋다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는 것은 아니다. 훌륭한 대통령이 책을 어떻게 구현하는가에 따라 나라의 격이 달라진다. 사불동이이동事不同而理同. "일은 다르지만, 이치는 같다."라고 했다. 더불어 배우는 책(시나리오)을 선택하는 혜안이 있어야 하고, 국민도 마찬가지로 책(공약집)을 선택하는 혜안을 키워야 한다. 결국, 배우는 책을 잘 선택해야 ..
2014년 10월 1주 새로 나온 책 흔히 ‘강인한 잡초정신’을 말하지만, 잡초는 원래 약한 식물이다. 약한 그들이 힘센 식물들도 발붙이기 어려운 환경에서 번성하는 것은 역경을 오히려 제편으로 만들어 성공의 조건으로 삼는 지혜가 있기 때문이다. 고정관념을 깨고 보면 잡초의 지혜로운 생존전략이 보인다.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 하류 강변을 따라 조성된 좁다란 시민공원의 열악한 조건을 뚫고 돋아나 온갖 꽃을 피워내는 야생초. 이른 봄부터 늦가을까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틈새를 비집고 올라온 이들이 제법 무성해져 보기 좋을 만하면 어김없이 예초기에 밑동부터 잘려 누렇게 말라가는 건초 더미가 된다. 작업 인부에게 “도대체 풀을 이렇게 깎아버리는 이유가 뭐냐?”고 질문을 하면 대답은 한결같다. “위에서 그렇게 하라니까 한다.” 왜? “자전거 타는 사람에게..
박근혜는 참 좋은 대통령이다 지난 대통령이 모두 말도 안 되는 갖가지 핑계로 수많은 기업인을 특별 사면했다. 경제 활성화, 국제스포츠 유치 그리고 보은 등의 이유였다. 모두 국민의 정서와는 동떨어진 이유였다. 하지만 참 좋은 박근혜 대통령은 "대기업 지배 주주, 경영자의 중대 범죄에 대해 사면권 행사를 엄격하게 제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기업인이 대통령의 사면으로 풀려나는 것은 먼 옛날 이야기로만 할 수 있다. 사람은 하나를 보면 열 가지를 알 수 있다. 한 가지 약속을 지키는 사람이 다른 약속을 지키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인간 된 도리이다. 이것만으로도 박근혜는 후세에 남을 참 좋은 대통령이다. 그것뿐이 아니다. "최악의 정치는 국민과 약속하고 지키지 않는 정치"라고 말했다. 약속을 지키고, 원칙을 준수하는 대통령이다. 지금..
1등 "모두가 1등이 되는 세상"이 정말 행복한 세상일까. 모두 1등 하면 누가 2등하고 꼴등할까.모두가 1등인 세상이 아니라 꼴등도 행복한 세상이 진정 행복한 세상이다. 그게 사람사는 세상이다. 덧_ '1등이 되는'이 아니라 '1등 하는'이 적합하다.
우리말을 이대로 두어도 괜찮겠습니까? "우리말을 이대로 두어도 괜찮겠습니까?"라는 중앙일보 광고를 보았다. 광고 의도가 무엇인지 몹시 궁금하다. 세상이 하 수상하여 본래 의도를 의도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옆으로 바라보는 나쁜 버릇 때문이다. 우리 국민 정서의 흐름이 '단칸방'은 초라하게 느끼고, '원 룸'은 좋다고 느끼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 이것이 작은 씨앗이 되어 우리나라에 큰 흐름으로 번져나가기를 바랍니다.오죽하면 이런 광고를 냈을까? 한편으로는 이해하지만, 광고 효과, 의도가 무엇인지 등 여러가지 궁금한 점이 많다. 그중에서 왜 '서울대 지질학과 62학번'인지 제일 궁금하다. 달리 말하자면 '서울대 지질학과 62학번'이 왜? 궁금증을 갖기보다는 광고에 나온 글을 한번 더 읽는 게 광고를 한 사람이나..
다시 책을 독서는 마음의 산책이다. 산책할 때 뚜렷한 목적지를 두지 않듯 책을 읽는 데도 별 목적은 없다. 목적지가 있는 행위였다면 독서가 아니고 공부라 불러야겠다. 굳이 스스로 산책의 배경을 살핀다면 아마 궁금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세상은 왜 이렇게 생긴 상태로 나와 만나고 있는 것일까 하는 궁금증._서현 한동안 책을 잡지 못했다. 딱히 일이 있어서가 아니라 기복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어 어디다가 쓸 것인가? 이런 의구심이 들면서 책을 잡는 시간이 줄어들고 필요에 의해서만 책을 찾았다. 처음부터 큰 목적이나 이유가 있어서 책을 읽은 게 아니다. 책을 읽은 원동력은 '딱히 몰라도 해가 없고, 알아도 득이 없는' 것에 대한 호기심이다. 호기심이 없다는 것은 무색무취한 것과 같다. 모든 것에 관심을 갖고 애착이 ..
2014년 8월 4주 새로 나온 책 세 종교가 있다.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이 세 종교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첫 번째는 세 종교가 다 유일신을 믿는 일신교라는 점이다. 아브라함은 인류 최초로 유일신을 믿은 사람이다. 이 세 종교가 자신들 종교의 최고 조상으로 아브라함을 섬기게 된 이유이다. 유일신을 부르는 이름은 각기 다르다. 여호와라고 부르는 하느님이 모세에게 가르쳐 준 이름은 ‘나는 나다 I am what I am’라는 의미의 ‘에헤으 아세르 에헤으’였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신의 이름을 함부로 불러서는 안 된다고 믿어서 히브리 에는 신의 이름을 ‘YHWH’로 기록해 두고 있다. 그래서 성경을 읽을 때 유대인들은 이를 ‘아도나이(나의 주님이란 뜻)’라고 읽고, 기독교에서는 ‘야훼’ 혹은 ‘여호와’로 읽고, 이슬람교는 ‘알라’라고 ..
그 애들도 나를 자랑스러워했으면 참 좋겠다 :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박완서를 언제 알았을까? 정확한 기억은 없지만 30년이 훌쩍 넘었다. 처음 만나게 된 게 무엇이었을까? 궁금하다. 궁금하지만 꼭 알고 싶지 않다. 그저 궁금하다. 대부분의 초기 단편집은 가지고 있다. 요즘처럼 깨끗한 인쇄가 아니라 활판으로 찍은 책이다. 누군가가 하나씩 글자를 맞추어 선생과 나를 이어주었다. 그래서 낡은 바랜 그 책을 버리지 못한다.《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는 선생의 생전 마지막 산문집이다. 2010년 선생이 작고하기 1년 전이다. 내가 구매한 것은 그로부터 2년이 지난 다음이다. 또 2년이 지난 후 책을 읽었다. 서문만 읽고 이 책을 접어 두었다. 조금씩 천천히 읽고 싶었다. "또 책을 낼 수 있게 되어 기쁘다. 내 자식과 손자에게도 뽐내고 싶다. 그 애들도 나를 자랑스러워했으면 참..
事在易而求諸難 事在易而求諸難(사재이이구저난) _ 《孟子》, 어떤 일이든지 그 해결책은 아주 단순하고 쉬운 것으로부터 단계적으로 나가야 함에도 어렵고 힘든 것이 해결책으로 잘못 생각하는 문제점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민번호 수집 금지' 통신업계의 고민이라 말하는데 간단한 해결책이 있다. 선급으로 받으면 요금 수납에 아무런 문제 없으련만. 수익이 줄어드는 것과 지금까지 누려온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으려니 답을 구하지 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