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상에 외치기

(2517)
외래어 표기에서 관용을 허용함이란 적당히 알아서 쓰라는 말이다 노신을 루쉰으로 부른다. 아니 루쉰을 노신으로 부른다고 말하는 게 옳겠다. 외국어 표기법의 혼란으로 같은 이름을 다른 이름처럼 부른다. 이름뿐 아니라 지명도 마찬가지이다. 우리가 부르는 이름이 그나라 사람이 자국민이 말하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을까? 아니다. 특히 중국 지명과 인명은 더욱 그러하다. 《노신 평전》(실천문학사)의 역자 김태성의 '일러두기'는 무심코 넘기기말고 곱씹어 생각해야 한다. 잉글랜드(아니 이것도 유나이티드 킹덤으로 불러야 맞다)는 영국, 아메리카는 미국으로 부른다. 반면 중국은 차이나가 아니라 중국으로 부른다. 일본도 재팬이나 니폰이 아닌 일본으로 부른다. 왜일까? 이유를 알 수 없다. 일관된 규칙이 없다. 독일은 독인인데 프랑스는 불란서로 부르면 안된다. 무슨 기준인지 모르지만 그..
멍멍 ... 누더기를 걸친 사람이 지나가면 발바리는 컹컹 짖어댄다. 하지만 이것이 개주인의 뜻이거나 주인이 시켜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발바리는 종종 그의 주인보다도 더 사납다. _노신 이석기 의원에게 ‘승리’를 안겨준 게 아니라 강기갑 대표 체제에서 봉사할 수 있도록 ‘노역형’을 명한 것이다. 이석기 · 김재연 의원은 자숙하고 가장 낮은 자세에서 우리 당의 혁신을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 줄 것을 간절히 호소한다. _김제남 멍멍 ... 개는 그 본성이 좀처럼 변하지 않는다. _노신 멍멍 ... 모든 여우는 꼬리가 끝내 드러나기 마련이다. _노신 여우든 개든 상관없다. 물에 빠진 개는 때리지 말아야 한다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욱 때려야 한다는 것이다. (...) 나는 사람을 무는 개라면, 땅에 있건 물 속에 있건 모조..
나는 이런 편견들을 부숴 버리고 싶을 뿐이다 : 내일도 우리 담임은 울 삘이다 문제아의 문제가 단지 그들의 문제라 생각한다. 아니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그렇게 생각한다. 왜? 문제아이니까. 너희들의 시선 _정준영 내가 공고에 다닌다고 그렇게 쳐다 볼 일 아니잖아 내가 공고에 다닌다고 그런 말 해도 되는 거 아니잖아 그런 어른들의 시선이 우릴 비참하게 만들잖아 너희 학교는 공고니까 비웃듯 말하는 네 표정이 너랑 나랑 이젠 다르다는 말투가 '내가 왜 그랬지'라는 하지 않아도 될 생각을 하게 만들잖아 자꾸 그렇게 볼 수록 정말 난, 네가 말하는 내가 되어 가고 있잖아 하지만 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사람들은 실업계를 어떻게 생각할까? 무식하고 사고 치고 예의 없고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왜일까? 바로 실업계라는 것 때문이다." 편견이다. 우리의 마음 속에는 잣..
유저 활동의 중심이 콘텐츠의 생산이 아니라 수집에 있다 : 《큐레이션의 시대》 페이스북 다음은 누가 될까? 답이 뭐라고 아무도 말할 수 없다. 다만 정답에 가까운 서비스는 핀터레스트이다. 이 핀터레스트의 특징은 유저 활동의 중심이 콘텐츠의 생산이 아니라 수집에 있다. 이것은 아주 중요한 변환점이다. 블로그가 콘텐츠 생산의 장벽을 낮추었다. 이제는 생산에 대한 피로감이 넘치는 정보의 수집으로 관심이 넘어가고 있다. 모두가 프로그래머가 되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없듯이 모두가 콘텐츠를 생산할 필요도 그럴 수도 없다. 이제 만드는 사람, 찾아내는 사람, 그 둘의 관계가 새롭게 부각되었다. 만드는 사람이 없으면 물론 찾아내는 사람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찾아내는 사람이 없으면 만드는 사람도 결코 세상에 알려지지 않는다. 우리는 무엇을 본다거나 즐긴다고 할 때, 그 안에는 언제나 ..
2012년 7월 3주 새로 나온 책 논어 주석서인 이 책은 철저한 고증을 거쳐 최대한 균형잡힌 시각에서 논어를 풀어냈다는 점에서 다른 논어 책들과 차별화된다. 죽간과 백서, 금석문 분야의 권위자인 저자 리링(李零) 베이징대 중문과 교수는 논어에 대한 기존 주석서와 죽간, 금석문, 현대의 논어 해설서 등 고증학적 지식을 총동원해 2천여 년 전 집필된 논어의 진면목을 가감 없이 현대의 언어로 되살려냈다. 책에는 파격적인 부분이 적지않다. 고고한 성인(聖人)의 모습으로 묘사돼온 공자에 대한 해석도 상당히 파격적이다. “’논어’를 읽고 난 뒤 나에게 남은 느낌은 두 글자, 즉 고독이다. 공자는 매우 고독했다. (중략) 공자는 성자가 아니라 사람이었을 뿐이며 출신은 비천했지만 고대의 귀족으로서 입신의 표본이 된 사람이었다. (중략) 그는 ’옛날의 ..
애플은 전보다 덜 불가사의하게 됐다 : 《인사이드 애플》 애플에 있는 모든 이는 밖으로 나가기를 원한다. 그리고 밖에 있는 모든 이는 애플 안으로 들어가기를 원한다. 애플이 애플일 수 있는 이유는 단 한가지이다. 스티브 잡스가 있기 때문이다. 잡스가 떠나고 애플이 계속 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많다. 이 책은 그러한 우려와 애플의 비밀스러움에 관한 이야기이다. 애플이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방법은 다른 회사와 달라 사람들은 그들이 호박벌 같다고 말해왔다. 호박벌은 공기역학 구조상 날 수 없는 데도 실제로는 날아다녀 불가사의한 존재로 여겨진다. 이처럼 애플은 앞으로도 계속 하늘 높이 날 것이다. 하지만 애플이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 하는 점은 전보다 덜 불가사의하게 됐다. 잡스의 애플은 경이로움 그 자체였다. 애플이 잡스이고 잡스가 곧 애플이었기 때문이다. 하지..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일 수 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 가난 해결을 위한 두 가지 시선이 있다. 하나는 가난은 구조적 문제이기 때문에 원조를 통한 선순환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해외원조 찬성파이다. 제프리 삭스는 2005년 출간한 《빈곤의 종말》에서 부유한 나라들이 2005년부터 2025년까지 연간 1,950억 달러의 원조를 제공한다면 2025년 끝날 무렵에는 빈곤이 완전히 사라질 거라고 주장한다.다른 하나는 부패와 태만을 불러일으키는 원조보다는 자유 시장 시스템을 통한 동기부여가 해결책이라고 말하는 해외원조 반대파이다. 원조는 득보다 실이 많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원조는 독자적인 해결책 마련을 막을 뿐 아니라 피원조국의 여러 기구를 부패로 내몰고 기반을 약화시킨다. 나아가 원조 기구가 영속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게 만든다. 가난한 나라의 입장에서 가장 유리..
갤럭시탭이 아이패드 카피캣이 아닌 이유는? 영국 법원이 삼성전자의 갤럭시탭이 애플의 아이패드를 베끼지 않았다고 판결했다. 또한 이런 판결 내용을 웹사이트와 영국 언론을 통해 공지하라고 명령했다. 애플은 반발했다. 겉모습은 삼성이 이긴 것으로 보인다. 언론도 대부분은 삼성이 이겼고 '애플의 굴욕'을 보도하고 있다. 애플이 지고 삼성이 이긴걸까? 언론 보도만으로 전부를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한국 언론 대부분이 삼성을 무죄를 보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언론에 보도된 베끼지 않은 이유를 보면 삼성이 이겼다고 볼 수 있을까? 판사는 갤럭시탭과 아이패드의 디자인은 혼동되지 않으며 갤럭시탭의 디자인이 아이패드만큼 멋지지 않기 때문 (not as cool)이라 말했다. (번역의 오해 소지가 있긴 하지만) 판사의 판결내용은 갤럭시탭의 디자인이 not a..
한국에서 공자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중국의 일반 민중, 특히 이른바 어리석은 민중은 공자 성인이라고 말하기는 하지만 성인이라고 느끼는 것은 아니다. 공자를 공손하게 대하기는 하지만 친근하게 여기지도 않는다. 내 생각에는 중국의 어리석은 민중처럼 공자를 잘 이해하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 그렇다. 공자는 물론 뛰어난 치국의 방법을 고안했지만, 그것은 모두 민중을 통치하는 사람, 즉 권력가를 위한 방법이었고, 민중을 위한 것은 하나도 없다. 이것이 바로 "예는 서민에게는 미치지 않는다. 禮下下庶人"라는 것이다. _노신 《차개정잡문이집》 한국에서 공자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2천여 년 전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論語가 21세기 한국 출판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논어를 번역한 원전 뿐 아니라 기업 경영이나 자기 개발을 접목한 해설서 등 논어 ..
비굴하면 비겁한가? 비굴하면 비겁한가? 비굴함과 비겁함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혹자는 '적당히 비굴하면 사람이 모인다'고 했다. 하지만 '적당히 비겁하면 사람이 모인다'고 하면 이상하게 들린다. 그렇다면 비굴함과 비겁함은 차이가 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見義不爲 無勇也 견의불위 무용야 의를 보고 행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知而不爲 是無勇也 지이불위 시무용야 알고도 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공자는 《論語》에서 용勇을 말하고 있다. 용기勇氣가 없는 것이 '비굴'한 것인지 아니면 '비겁'한 것일까? 먼저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설명을 살펴보자. 비굴卑屈하다 : 용기나 줏대가 없어 남에게 굽히기 쉽다. 굽히다 : 뜻, 주장, 지조 따위를 꺾고 남을 따르다. 비겁卑怯하다 : 비열하고 겁이 많다. 비열卑劣하다..
2012년 7월 2주 새로 나온 책 인간의 눈을 현혹시키는 채소의 색깔에 관한 이야기. 소를 풀어놓으면 초록색 짙은 풀은 놔두고 옅은 색 풀을 뜯어 먹는다고 한다. 유심히 살펴보면 색깔 짙은 풀 옆에는 소똥이 있다. 소똥의 질소 성분을 흡수한 풀은 빨리 자라고 색깔도 선명해 인간의 눈에는 더 싱싱해 보이지만, 소는 본능적으로 옅은 색 풀이 자신의 몸에 더 좋다는 걸 알고 있는 셈이다. 그럼 흙은? 저자는 우선 흙에 남은 '비료의 독(肥毒)'을 빼내야 한다고 말한다. 땅을 파보면 화학비료는 흙에 섞이지 않고 뚜렷한 층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 이 층은 온도도 차갑고 딱딱해 '죽은 흙'이라는 것. 이를 갈아엎고 밀·보리 등을 심어 몇 해를 지나면 뿌리가 흙을 파고들며 잘게 부수고, 미생물이 활동을 하면서 흙이 부드럽고 따뜻해진다고 한다. 이런 ..
베스트셀러란 많이 팔아야 할 책의 다른 이름이다 한국인은 1만 원짜리 책에서 2만 원어치 값어치를 뽑고 싶어한다. 그래서 소설보다는 오바마 · 잡스 같은 성공한 사람의 자기계발 평전이 더 잘 팔린다. 한국인은 전쟁, IMF 같은 힘든 일을 많이 겪어서 마음 편히 볼 수 있는 에세이를 좋아한다. 한번 베스트셀러가 되면, 읽든 안 읽든 모든 사람이 책을 사는 것도 신기하다. 출판사에 근무하는 벨기에 출신 출판기획자가 생각하는 한국인의 책에 관한 그의 편견(?)이다. 그가 모든 외국인을 대변하지는 않지만, 그의 편견이 공감가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많이 팔린 책이 좋은 책일까? 그것은 결코 아니다. 더구나 팔린다고 꼭 읽힌다는 보장도 없으니 측정의 기준이 없다. 철저하게 자본주의 체계로 접어든 출판업계는 많이 팔기 위하여 끊임없이 마케팅을 한다. 그 ..

반응형